발전원가 저렴해 산업경쟁력 확보 … 안전성 최대 강화해야
오는 3월 11일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지 2년째 되는 날이다. 이 사고는 전 세계적으로 원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국가는 원전 폐지를 선언하기도 했지만 대다수 원전 운영국들은 안전성을 대폭 강화했다. 원자력의 역할과 세계 각국의 동향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지식경제부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총 56건의 개선대책을 발굴,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5년까지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격납용기, 일본보다 5배 커 '안전' = △고리원전 해안방벽 증축 △월성 원전 진입교량 내진성능 개선 △사용후연료저장조 냉각기능 상실시 대책 △정지·저출력 중대사고 관리지침서 개발 △정기검사 등 안전검사 대폭 강화는 이미 완료했다.
또 △지진 자동정지설비 설치 △무전원 수소제거설비 설치 △격납건물 여과 및 배기설비 설치 △이동형 발전차량 확보 등은 2013~2015년 최종 마무리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우리나라 원전은 대부분 가압경수로(PWR)로, 일본의 비등수로(BWR)보다 안전하다"며 "원자로냉각수와 터빈을 돌리는 증기가 완전 분리돼 있어 비상시 방사성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격납용기도 일본 보다 5배쯤 커 압력상승시 완충작용을 하기에 충분하다"면서 "최악의 경우 연료손상으로 수소가 발생할 경우에도 전원없이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사용후연료저장조가 원자로건물 밖의 독립건물에 있어 비상시에도 계속 냉각할 수 있는 물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국내 계측지진 최고값은 리히터 규모 5.3이지만 6.5(0.2g)~7.0(0.3g)의 강한 지진에도 방사성물질이 주변 환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설계됐다.
국내 원전의 불시정지 건수는 2011년 7건, 2012년 9건으로 각각 호기당 0.35건, 0.39건으로 조사됐다. 2007년~2011년 고장정지율도 0.34건으로, 미국 0.90, 프랑스 3.08보다 낮다.
불시정지 건수가 적다는 것은 그만큼 사고없이 안전하게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원자력이 전력판매단가 크게 낮춰 =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만으로는 에너지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현실적인 부분도 원자력발전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원자력발전 1기인 100만kWh의 전기를 생산하려면 원자력은 여의도 면적 5분의 1정도의 부지가 필요하고, 판매단가는 kWh당 39.6원이다.
반면 풍력은 여의도면적의 70배, 판매단가 100.98원이며, 태양광은 여의도 면적의 15배, 599.3원에 이른다. 설비이용효율도 10~20%인 풍력·태양광과 달리 원자력은 90% 이상이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이 저렴한 것도 발전단가가 저렴한 원자력 비중이 30여%에 달해 전력 평균단가를 낮췄기 때문이다.
풍력이나 태양광에 의존한다면 일단 부지확보부터 어렵지만 발전단가가 치솟을 수밖에 없다.
한편 지난 25일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원자력발전에 대한 정부 입장이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2025년 이후 건립할 신규 원전과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충분한 공론화와 안전성 검토과정을 거친 후 방향을 결정키로 했기 때문이다.
◆일본, 원전제로에서 재가동으로 선회 = 일본은 2012년 5월 '원전 제로'를 선언했으나 심각한 전력난에 봉착, 두달 후인 7월 오이원전 2기를 재가동했다. 이어 2012년말 총선에서 자민당이 압승하면서 원전 재가동쪽으로 정책이 선회하고 있다. 한국과 같은 가압경수로형 원전인 이카타, 센다인 원전부터 재가동에 착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후쿠시마 사고발생 1년 후인 2012년 2월과 3월, 신규 원전건설을 승인했다. 미국 내부적으로는 1979년 스리마일섬(TMI) 원전사고 이후 33년만의 일이다.
현재 보글 3, 4호기(2016, 2017년 준공), 섬머 2, 3호기(2017년 준공) 등 20기가 넘는 신규 원전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첫 홍옌허 원전을 올 2월 18일 가동했다. 나아가 현재 원전설비 용량의 2.5배인 28.6GW(26기)의 신규 원전을 건설 중이다. 중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 프로젝트 승인을 보류했었으나, 종합 안전점검 결과 이상 없음을 확인하고 계획대로 추진키로 결정한 것이다.
인도는 2050년까지 전체 전력의 25%를 원전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30년까지 원전 960만kW 건설을 위한 중기 전력개발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에 비해 독일은 원전의 존폐여부가 줄곧 정치적 쟁점이었으나 후쿠시마 사고 이후 악화된 여론에 따라 원전의 단계적 폐쇄를 결정했다. 총 전력생산 중 원자력발전 비중 23%, 풍력 17%이지만 2020년까지 대체에너지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하지만 최근 전기요금이 2배 이상 올라 기업경쟁력이 떨어져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오는 3월 11일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지 2년째 되는 날이다. 이 사고는 전 세계적으로 원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국가는 원전 폐지를 선언하기도 했지만 대다수 원전 운영국들은 안전성을 대폭 강화했다. 원자력의 역할과 세계 각국의 동향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지식경제부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총 56건의 개선대책을 발굴,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5년까지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격납용기, 일본보다 5배 커 '안전' = △고리원전 해안방벽 증축 △월성 원전 진입교량 내진성능 개선 △사용후연료저장조 냉각기능 상실시 대책 △정지·저출력 중대사고 관리지침서 개발 △정기검사 등 안전검사 대폭 강화는 이미 완료했다.
또 △지진 자동정지설비 설치 △무전원 수소제거설비 설치 △격납건물 여과 및 배기설비 설치 △이동형 발전차량 확보 등은 2013~2015년 최종 마무리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우리나라 원전은 대부분 가압경수로(PWR)로, 일본의 비등수로(BWR)보다 안전하다"며 "원자로냉각수와 터빈을 돌리는 증기가 완전 분리돼 있어 비상시 방사성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격납용기도 일본 보다 5배쯤 커 압력상승시 완충작용을 하기에 충분하다"면서 "최악의 경우 연료손상으로 수소가 발생할 경우에도 전원없이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사용후연료저장조가 원자로건물 밖의 독립건물에 있어 비상시에도 계속 냉각할 수 있는 물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국내 계측지진 최고값은 리히터 규모 5.3이지만 6.5(0.2g)~7.0(0.3g)의 강한 지진에도 방사성물질이 주변 환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설계됐다.
국내 원전의 불시정지 건수는 2011년 7건, 2012년 9건으로 각각 호기당 0.35건, 0.39건으로 조사됐다. 2007년~2011년 고장정지율도 0.34건으로, 미국 0.90, 프랑스 3.08보다 낮다.
불시정지 건수가 적다는 것은 그만큼 사고없이 안전하게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원자력이 전력판매단가 크게 낮춰 =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만으로는 에너지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현실적인 부분도 원자력발전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원자력발전 1기인 100만kWh의 전기를 생산하려면 원자력은 여의도 면적 5분의 1정도의 부지가 필요하고, 판매단가는 kWh당 39.6원이다.
반면 풍력은 여의도면적의 70배, 판매단가 100.98원이며, 태양광은 여의도 면적의 15배, 599.3원에 이른다. 설비이용효율도 10~20%인 풍력·태양광과 달리 원자력은 90% 이상이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이 저렴한 것도 발전단가가 저렴한 원자력 비중이 30여%에 달해 전력 평균단가를 낮췄기 때문이다.
풍력이나 태양광에 의존한다면 일단 부지확보부터 어렵지만 발전단가가 치솟을 수밖에 없다.
한편 지난 25일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원자력발전에 대한 정부 입장이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2025년 이후 건립할 신규 원전과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충분한 공론화와 안전성 검토과정을 거친 후 방향을 결정키로 했기 때문이다.
◆일본, 원전제로에서 재가동으로 선회 = 일본은 2012년 5월 '원전 제로'를 선언했으나 심각한 전력난에 봉착, 두달 후인 7월 오이원전 2기를 재가동했다. 이어 2012년말 총선에서 자민당이 압승하면서 원전 재가동쪽으로 정책이 선회하고 있다. 한국과 같은 가압경수로형 원전인 이카타, 센다인 원전부터 재가동에 착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후쿠시마 사고발생 1년 후인 2012년 2월과 3월, 신규 원전건설을 승인했다. 미국 내부적으로는 1979년 스리마일섬(TMI) 원전사고 이후 33년만의 일이다.
현재 보글 3, 4호기(2016, 2017년 준공), 섬머 2, 3호기(2017년 준공) 등 20기가 넘는 신규 원전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첫 홍옌허 원전을 올 2월 18일 가동했다. 나아가 현재 원전설비 용량의 2.5배인 28.6GW(26기)의 신규 원전을 건설 중이다. 중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 프로젝트 승인을 보류했었으나, 종합 안전점검 결과 이상 없음을 확인하고 계획대로 추진키로 결정한 것이다.
인도는 2050년까지 전체 전력의 25%를 원전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30년까지 원전 960만kW 건설을 위한 중기 전력개발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에 비해 독일은 원전의 존폐여부가 줄곧 정치적 쟁점이었으나 후쿠시마 사고 이후 악화된 여론에 따라 원전의 단계적 폐쇄를 결정했다. 총 전력생산 중 원자력발전 비중 23%, 풍력 17%이지만 2020년까지 대체에너지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하지만 최근 전기요금이 2배 이상 올라 기업경쟁력이 떨어져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