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우리금융 회장에 황영기 전 삼성증권 사장이 단독후보로 추천됐다.
우리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7일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금융 회장 단독후보로 황영기 전 삼성증권 사장을 만장일치로 이사회에 추천했다”고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재웅 후보추천위원장은 “기업 가치를 높이고 우리금융의 조기 민영화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황 전 사장을 추천하게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황 후보에 대한 금융계의 시각에는 기대 못지 않게 우려 또한 섞여 있다.
◆경영능력과 국제감각 겸비=우선 황 후보 개인만 놓고 본다면 금융산업에 대한 전문성과 CEO로서의 경영능력 등을 두루 겸비하고 있다는 데 금융계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황 후보는 삼성그룹 비서실 재무팀 이사, 삼성전자 상무, 삼성생명 전략기획실 전무, 삼성투신 사장, 삼성증권 사장 등을 거치며 실물과 금융 양면에서 경험을 충분히 쌓았다는 것. 게다가 런던대 정경대학(LSE)에서 재무관리 분야 경제학 석사를 따고 뱅커스 트러스트 인터내셔널 동경지점 등에서 일했고 삼성전자 상무 시절 해외 기업설명회를 주도했을 정도로 국제적인 감각도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공적인 민영화를 통해 공적자금을 회수해야하는 우리금융의 CEO로서는 적격인 셈이다.
특히 철저하게 성과를 우선시하는 삼성 그룹 출신인데다 은행권에서는 비교적 젊은 52세의 CEO라는 점에서 은행산업에 참신한 변화를 몰고올 것이란 기대도 적지 않다. 우리금융이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슬림화와 연공서열에 관계없는 능력위주의 발탁인사를 실시할 경우 경쟁은행의 기업문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얘기다.
또 시장 친화적 인물로 꼽히는 황 후보가 관료출신 인사를 제치고 단독 후보로 최정 결정됐다는 점에서 금융산업에 대한 정부의 관치가 사라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견해도 많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 관계자는 “한국 금융산업의 선진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는 금융권이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황 후보는 정부 출신이 아닌 민간인이라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의 금융산업 지배 우려=하지만 황 사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우선 황 후보의 등장이 ‘관치’ 불식의 신호탄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이다. 금융계에서는 황 후보와 이재웅 위원장, 또 후보추원위원회의 이장규위원 (중앙일보 대기자) 등이 서울고 인맥이라는 점에서 ‘서울고 파워’가 작용했다거나 이재웅 위원장이 성균관대 부총장까지 지낸 인물이라는 점에서 ‘성균관대와 삼성간 커낵션’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관치에서 벗어난 인사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결국 삼성이라는 국내 최대 재벌이 서울고와 성대 인맥을 활용해 금융산업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게 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히 우리금융이 민영화를 앞두고 있는데다 삼성그룹이 이미 우리금융지분 3%를 인수하기로 한 바 있어 이같은 해석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우리금융의 자회사인 우리은행의 경우 삼성을 포함해 LG 금호 두산 등 14개 그룹의 주채권은행 역할을 맡고 있다. 우리은행이 앞으로 삼성 계열사들을 감시 감독하는 주채권은행 고유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당연하다.
당장 우리은행은 다른 금융기관들과 함께 삼성차 부실 채권에 대한 보전으로 이건희 회장에게서 넘겨받은 삼성생명 주식 350만주에 대한 평가손을 삼성그룹으로부터 받아내야 하는 ‘이해상충’의 문제가 있다.
참여연대나 금융노조가 황 후보에 반대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참여연대는 최근 논평을 통해 “국내 최대 재벌그룹의 핵심멤버를 대형 금융지주회사의 회장으로 선임하는 것은 재경부 출신의 금융기관장 독식에 못지 않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특정재벌이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의 경영에 개입할 여지를 줌으로써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라는 대원칙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노조도 ‘특정집단에 편중된 인사’라며 황 후보 인선에 대해 반대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우리은행 노조는 황 후보의 우리회장과 우리은행장 겸임방침에 반대의사를 밝힌 상태. 노조는 황 후보와의 면담을 요청하고 노조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반대투쟁을 벌이겠다는 태세다. 특히 우리은행 직원들은 우리금융사주를 보유하고 있어 주총에서의 진통 또한 예상된다.
결국 이같은 금융계 안팎의 부정적인 시각을 어떻게 불식시키느냐의 문제는 황 후보가 향후 우리금융 경영을 지휘하는 과정에서 풀어가야 할 숙제일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계 시각이다.
우리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7일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금융 회장 단독후보로 황영기 전 삼성증권 사장을 만장일치로 이사회에 추천했다”고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재웅 후보추천위원장은 “기업 가치를 높이고 우리금융의 조기 민영화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황 전 사장을 추천하게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황 후보에 대한 금융계의 시각에는 기대 못지 않게 우려 또한 섞여 있다.
◆경영능력과 국제감각 겸비=우선 황 후보 개인만 놓고 본다면 금융산업에 대한 전문성과 CEO로서의 경영능력 등을 두루 겸비하고 있다는 데 금융계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황 후보는 삼성그룹 비서실 재무팀 이사, 삼성전자 상무, 삼성생명 전략기획실 전무, 삼성투신 사장, 삼성증권 사장 등을 거치며 실물과 금융 양면에서 경험을 충분히 쌓았다는 것. 게다가 런던대 정경대학(LSE)에서 재무관리 분야 경제학 석사를 따고 뱅커스 트러스트 인터내셔널 동경지점 등에서 일했고 삼성전자 상무 시절 해외 기업설명회를 주도했을 정도로 국제적인 감각도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공적인 민영화를 통해 공적자금을 회수해야하는 우리금융의 CEO로서는 적격인 셈이다.
특히 철저하게 성과를 우선시하는 삼성 그룹 출신인데다 은행권에서는 비교적 젊은 52세의 CEO라는 점에서 은행산업에 참신한 변화를 몰고올 것이란 기대도 적지 않다. 우리금융이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슬림화와 연공서열에 관계없는 능력위주의 발탁인사를 실시할 경우 경쟁은행의 기업문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얘기다.
또 시장 친화적 인물로 꼽히는 황 후보가 관료출신 인사를 제치고 단독 후보로 최정 결정됐다는 점에서 금융산업에 대한 정부의 관치가 사라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견해도 많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 관계자는 “한국 금융산업의 선진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는 금융권이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황 후보는 정부 출신이 아닌 민간인이라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의 금융산업 지배 우려=하지만 황 사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우선 황 후보의 등장이 ‘관치’ 불식의 신호탄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이다. 금융계에서는 황 후보와 이재웅 위원장, 또 후보추원위원회의 이장규위원 (중앙일보 대기자) 등이 서울고 인맥이라는 점에서 ‘서울고 파워’가 작용했다거나 이재웅 위원장이 성균관대 부총장까지 지낸 인물이라는 점에서 ‘성균관대와 삼성간 커낵션’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관치에서 벗어난 인사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결국 삼성이라는 국내 최대 재벌이 서울고와 성대 인맥을 활용해 금융산업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게 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히 우리금융이 민영화를 앞두고 있는데다 삼성그룹이 이미 우리금융지분 3%를 인수하기로 한 바 있어 이같은 해석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우리금융의 자회사인 우리은행의 경우 삼성을 포함해 LG 금호 두산 등 14개 그룹의 주채권은행 역할을 맡고 있다. 우리은행이 앞으로 삼성 계열사들을 감시 감독하는 주채권은행 고유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당연하다.
당장 우리은행은 다른 금융기관들과 함께 삼성차 부실 채권에 대한 보전으로 이건희 회장에게서 넘겨받은 삼성생명 주식 350만주에 대한 평가손을 삼성그룹으로부터 받아내야 하는 ‘이해상충’의 문제가 있다.
참여연대나 금융노조가 황 후보에 반대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참여연대는 최근 논평을 통해 “국내 최대 재벌그룹의 핵심멤버를 대형 금융지주회사의 회장으로 선임하는 것은 재경부 출신의 금융기관장 독식에 못지 않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특정재벌이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의 경영에 개입할 여지를 줌으로써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라는 대원칙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노조도 ‘특정집단에 편중된 인사’라며 황 후보 인선에 대해 반대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우리은행 노조는 황 후보의 우리회장과 우리은행장 겸임방침에 반대의사를 밝힌 상태. 노조는 황 후보와의 면담을 요청하고 노조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반대투쟁을 벌이겠다는 태세다. 특히 우리은행 직원들은 우리금융사주를 보유하고 있어 주총에서의 진통 또한 예상된다.
결국 이같은 금융계 안팎의 부정적인 시각을 어떻게 불식시키느냐의 문제는 황 후보가 향후 우리금융 경영을 지휘하는 과정에서 풀어가야 할 숙제일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계 시각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