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북부 키르쿠크로 파병될 예정이던 한국군 자이툰 부대가 늦어도 6월까지는 이라크 남부지역으로 파병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열린우리당 정세균 정책위의장은 22일 “정부는 자이툰 부대의 파병지로 물자보급에 큰 애로가 없고 좀더 안전한 이라크 남부지역을 선호하고 있다”면서 “미국측과 협의가 상당히 진행돼 남쪽으로 가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조영길 국방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통일외교안보관계 정책정례회의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키르쿠크보다 북쪽으로 가는 것은 보급선이 길어지고 인종분쟁 등으로 상대적으로 불안정해 고려사항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파병시기와 관련한 질문에 “이라크에 과도정부가 들어설 예정인 오는 6월 30일 이후로 늦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회의에 배석했던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평화재건임무라는 우리측의 원칙이 훼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미국과 파병지역과 시기는 협의한다는 정도로 얘기가 됐다”며 “한미양측은 파병지역과 시기를 협상할 수 있다는 데까지 합의한 상태”라고 밝혔다.
정세균 의장은 또 “파병부대의 규모와 파병시기는 구체적인 파병지가 결정돼야 알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국회가 동의한 3700명 이내의 파병규모를 벗어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열린우리당 정세균 정책위의장은 22일 “정부는 자이툰 부대의 파병지로 물자보급에 큰 애로가 없고 좀더 안전한 이라크 남부지역을 선호하고 있다”면서 “미국측과 협의가 상당히 진행돼 남쪽으로 가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조영길 국방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통일외교안보관계 정책정례회의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키르쿠크보다 북쪽으로 가는 것은 보급선이 길어지고 인종분쟁 등으로 상대적으로 불안정해 고려사항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파병시기와 관련한 질문에 “이라크에 과도정부가 들어설 예정인 오는 6월 30일 이후로 늦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회의에 배석했던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평화재건임무라는 우리측의 원칙이 훼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미국과 파병지역과 시기는 협의한다는 정도로 얘기가 됐다”며 “한미양측은 파병지역과 시기를 협상할 수 있다는 데까지 합의한 상태”라고 밝혔다.
정세균 의장은 또 “파병부대의 규모와 파병시기는 구체적인 파병지가 결정돼야 알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국회가 동의한 3700명 이내의 파병규모를 벗어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