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ICA 원장 조성갑)는 첨단 IT(정보기술) 기술의 해외유출 사전예방 및 사후대응책 마련을 위해 국내 400여개 IT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유출에 관한 실태조사를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약 6주간에 걸쳐 진행될 이번 조사의 주요내용은 △IT기술유출에 대한 업계의 인식 △기술유출의 내용 및 피해유형 △유출경로 및 유출에 따른 대응방안 △업체의 보안관리 실태 등이다.
정통부와 ICA는 앞으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한 우리 IT기술의 불법 해외유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가정보원 등 관련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또 중소 IT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유출 방지 대처요령 등 산업보안 교육도 실시할 방침이다.
아울러 기술유출 방지 매뉴얼과 산업 보안 선진국의 관련 사례를 담은 자료집을 발간, 보급하고 기술유출의 심각성 및 대응방안을 논의할 세미나를 개최, 산학전문가로 구성된 ‘IT기술해외유출방지협의회’ 구성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ICA관계자는 “휴대전화 및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우리 첨단 IT기술의 불법 해외유출로 인한 피해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불법유출로 인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약 6주간에 걸쳐 진행될 이번 조사의 주요내용은 △IT기술유출에 대한 업계의 인식 △기술유출의 내용 및 피해유형 △유출경로 및 유출에 따른 대응방안 △업체의 보안관리 실태 등이다.
정통부와 ICA는 앞으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한 우리 IT기술의 불법 해외유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가정보원 등 관련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또 중소 IT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유출 방지 대처요령 등 산업보안 교육도 실시할 방침이다.
아울러 기술유출 방지 매뉴얼과 산업 보안 선진국의 관련 사례를 담은 자료집을 발간, 보급하고 기술유출의 심각성 및 대응방안을 논의할 세미나를 개최, 산학전문가로 구성된 ‘IT기술해외유출방지협의회’ 구성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ICA관계자는 “휴대전화 및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우리 첨단 IT기술의 불법 해외유출로 인한 피해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불법유출로 인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