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질 피살 비극, 되풀이 말자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가나무역 김선일 씨가 끝내 피살된 참사는 충격적이다. ‘나는 살고 싶다’는 30대 젊은이의 애절한 절규도, ‘외아들을 살려달라’는 노부모의 간절한 호소도 냉엄한 전쟁의 현실 앞에 무참히 좌절되고 말았다
온 국민의 생환염원과 구명노력에도 불구하고 김씨가 무참히 참수 피살되었다는 소식에 슬픔과 분노 애도의 물결이 전국을 뒤덮고 있다. 무역전사로 입신하려던 꿈 많은 한 젊은이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고 명분 없고 추악한 침략전쟁에 파병을 중단하라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김선일씨 피살 예고된 비극, 충격 분노 넘쳐
우리는 김씨의 죽음을 애도하고 명복을 빌면서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 우선 무엇보다 김씨를 납치 처형한 이라크 무장단체의 야만행위는 그 어떤 이유로든 용납할 수 없다. 아무리 명분 없는 침략전쟁에 대란 저항이라 하더라도 무고한 민간인을 납치하고 참수한 것은 인도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반인륜 행위임에 틀림없다.
그런 만행은 평화의 종교인 이슬람의 교리에도 배치된다. 이라크 인들이 알라의 자비를 믿는 진정한 무슬림이라면 외세의 침략전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무고한 민간인을 무참히 처형한 것은 규탄 받아 마땅하다. 김선일씨를 납치 살해한 이라크 무장단체는 우리 군대를 철수시키고 추가 파병결정을 철회하지 않으면 살해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피살된 김씨는 파병결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민간인이다. 그를 처형한 만행에 대해 지금까지 이라크 저항세력에 동정적이었던 적지 않은 우리 국민들도 분노하고 있다.
이제 정부는 사후수습을 서둘고 구멍 뚫린 교민보호대책을 반성하면서 전 방위 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김씨 피살은 이라크 추가파병에 따른 예고된 비극이었다. 이라크 저항세력은 모든 외국군대를 점령군으로 간주하고 있어 한국군이나 민간인에 대한 테러는 예견된 것이었다는 것이다.
더구나 김씨의 참사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라크 추가 예정대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정부는 김씨의 피살이 확인된 오늘 긴급 국가안전 보장회의를 열고 추가파병 방침을 굳혔다는 점에서 그렇다. 발표문에서 ‘이라크 파병이 이라크 재건과 인도적 지원을 위한 것이라는 우리의 기본정신과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그런 점에서 인질 피살 비극은 끝난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민간인 납치 피살의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노무현 정부는 철저한 반성을 통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 먼저 지난 수십 년 동안 쌓아온 중동외교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는 점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외교는 이상이 아니라 현실이다. 문제는 한국군 파병이 아무리 이라크 전후 복구와 재건을 돕는 인도적 목적에 있다고 강조해도 이라크 저항세력은 이를 믿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라크 파병은 결국 미국의 이라크 침공과 점령을 돕는 적대 행위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파병철회 여론 확산, 냉철한 수습 재발 방지책을
따라서 정부가 추가파병을 철회하지 않는 한 앞으로 테러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기회 있을 때마다 우리가 주장해온 것처럼 사태 수습의 최선의 해법은 파병결정을 철회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미동맹 먹이 사슬과 21세기 지구촌을 지배하는 ‘팍스 아메리카’의 냉엄한 현실에서 파병강행이 피할 수 없는 기정사실이라면 교민 철수 등 만반의 안전대책을 세우고 지체 없이 실행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온 국력을 기울이고 국론을 통일해야 한다. 추가 파병에 따른 이라크 인들의 적대감을 줄이기 위해 우리의 파병이 전후 재건을 돕기 위한 인도적 지원이라는 점을 아랍인들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여야 정치권도 당리당략을 떠나 냉철하게 파병에 따른 테러재발을 막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두 석 주필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가나무역 김선일 씨가 끝내 피살된 참사는 충격적이다. ‘나는 살고 싶다’는 30대 젊은이의 애절한 절규도, ‘외아들을 살려달라’는 노부모의 간절한 호소도 냉엄한 전쟁의 현실 앞에 무참히 좌절되고 말았다
온 국민의 생환염원과 구명노력에도 불구하고 김씨가 무참히 참수 피살되었다는 소식에 슬픔과 분노 애도의 물결이 전국을 뒤덮고 있다. 무역전사로 입신하려던 꿈 많은 한 젊은이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고 명분 없고 추악한 침략전쟁에 파병을 중단하라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김선일씨 피살 예고된 비극, 충격 분노 넘쳐
우리는 김씨의 죽음을 애도하고 명복을 빌면서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 우선 무엇보다 김씨를 납치 처형한 이라크 무장단체의 야만행위는 그 어떤 이유로든 용납할 수 없다. 아무리 명분 없는 침략전쟁에 대란 저항이라 하더라도 무고한 민간인을 납치하고 참수한 것은 인도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반인륜 행위임에 틀림없다.
그런 만행은 평화의 종교인 이슬람의 교리에도 배치된다. 이라크 인들이 알라의 자비를 믿는 진정한 무슬림이라면 외세의 침략전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무고한 민간인을 무참히 처형한 것은 규탄 받아 마땅하다. 김선일씨를 납치 살해한 이라크 무장단체는 우리 군대를 철수시키고 추가 파병결정을 철회하지 않으면 살해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피살된 김씨는 파병결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민간인이다. 그를 처형한 만행에 대해 지금까지 이라크 저항세력에 동정적이었던 적지 않은 우리 국민들도 분노하고 있다.
이제 정부는 사후수습을 서둘고 구멍 뚫린 교민보호대책을 반성하면서 전 방위 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김씨 피살은 이라크 추가파병에 따른 예고된 비극이었다. 이라크 저항세력은 모든 외국군대를 점령군으로 간주하고 있어 한국군이나 민간인에 대한 테러는 예견된 것이었다는 것이다.
더구나 김씨의 참사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라크 추가 예정대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정부는 김씨의 피살이 확인된 오늘 긴급 국가안전 보장회의를 열고 추가파병 방침을 굳혔다는 점에서 그렇다. 발표문에서 ‘이라크 파병이 이라크 재건과 인도적 지원을 위한 것이라는 우리의 기본정신과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그런 점에서 인질 피살 비극은 끝난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민간인 납치 피살의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노무현 정부는 철저한 반성을 통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 먼저 지난 수십 년 동안 쌓아온 중동외교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는 점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외교는 이상이 아니라 현실이다. 문제는 한국군 파병이 아무리 이라크 전후 복구와 재건을 돕는 인도적 목적에 있다고 강조해도 이라크 저항세력은 이를 믿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라크 파병은 결국 미국의 이라크 침공과 점령을 돕는 적대 행위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파병철회 여론 확산, 냉철한 수습 재발 방지책을
따라서 정부가 추가파병을 철회하지 않는 한 앞으로 테러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기회 있을 때마다 우리가 주장해온 것처럼 사태 수습의 최선의 해법은 파병결정을 철회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미동맹 먹이 사슬과 21세기 지구촌을 지배하는 ‘팍스 아메리카’의 냉엄한 현실에서 파병강행이 피할 수 없는 기정사실이라면 교민 철수 등 만반의 안전대책을 세우고 지체 없이 실행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온 국력을 기울이고 국론을 통일해야 한다. 추가 파병에 따른 이라크 인들의 적대감을 줄이기 위해 우리의 파병이 전후 재건을 돕기 위한 인도적 지원이라는 점을 아랍인들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여야 정치권도 당리당략을 떠나 냉철하게 파병에 따른 테러재발을 막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두 석 주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