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유 하나은행장은 한미은행이 합병과 관련해 연말까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다른 방
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김 행장은 21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미은행은 여전히 최적의 합병 파트
너”라고 전제한 뒤 “연내 합병여부 의사를 밝혀달라”고 밝혔다.
김 행장은 그러나 “한미은행과 지난 6월 28일 전략적 제휴를 맺은 이후 지금까지 합병과 관련한
논의를 해왔으나 아무런 진척이 없었다”면서 “한미은행만 믿고 있다가 주주와 고객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하나 한미은행은 기획관련 팀간 꾸준히 접촉
해 왔으나 칼라일 그룹이 한미은행 증자에 참여한 뒤 담당자간 접촉은 거의 끊긴 것으로 알려졌다.
김 행장은 “한미은행은 대주주인 칼라일의 결정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으로 안다”면서 “칼라일이
지난 11월에 자본참여를 하긴 했지만 그 이전에도 합병논의에 대해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아
무런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미은행과 칼라일측에 이같은 입장을 전달한 뒤 연내 합병과 관련된 의사를 분명히 하지
않으면 금융지주회사 등 독자적으로 생존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독자적인 의사결정
에 지방은행 등 다른 은행과의 합병이 포함될 수 있는냐는 질문에 “현재 여러가지 이유로 P&A는
불가능하지 않느냐”며 “지방은행의 경우 P&A가 아니면 의미가 없으며 할 생각이 없다”고 못박았
다. 하나은행이 한미은행과 합병이 공전된 지난번 경남은행과의 합병을 추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21일 하나은행 고위관계자는 하나은행은 경남은행과 P&A를 주장했으나 경남은행 측에서는 지주회사
방식의 합병을 요구해옴에 따라 합병이 결렬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 행장은 국민, 주택은행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에 대한 질문에 “아직 생각해보지 못했으며 아는 것
도 없다”고만 말해 두 은행이 합병에 실패할 경우 주택은행과의 합병 재추진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그러나 여러 형태로 진행됐던 주택은행의 러브콜에 대해선 다소 부정적인 입장도 밝히기도 했
다. 그는 “주택은행과 합병할 경우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는 있지만 주택은행 직원들이 지금과 같
은 역량을 계속 발휘할지 의문”이라고 말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사했다.
김 행장은 합병 추진 배경과 관련,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합병을 추진했지만 아무리 그
렇다고 해도 아무나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해 한미은행과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 금융지주회
사 등 독자생존 방안을 추진할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 “그동안 대기업 편중여신이 있어 다소 은행 구조에 문제가 있었지만 최근 대기업 편
중여신비율이 50%이하로 떨어졌고, 대신 가계여신(21%), 중소기업여신(30%)이 증가하고 있어 구조
가 많이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그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모기지론쪽을 강화한다면 충분히 독자생존의 틀을 갖출 수 있
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김 행장은 21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미은행은 여전히 최적의 합병 파트
너”라고 전제한 뒤 “연내 합병여부 의사를 밝혀달라”고 밝혔다.
김 행장은 그러나 “한미은행과 지난 6월 28일 전략적 제휴를 맺은 이후 지금까지 합병과 관련한
논의를 해왔으나 아무런 진척이 없었다”면서 “한미은행만 믿고 있다가 주주와 고객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하나 한미은행은 기획관련 팀간 꾸준히 접촉
해 왔으나 칼라일 그룹이 한미은행 증자에 참여한 뒤 담당자간 접촉은 거의 끊긴 것으로 알려졌다.
김 행장은 “한미은행은 대주주인 칼라일의 결정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으로 안다”면서 “칼라일이
지난 11월에 자본참여를 하긴 했지만 그 이전에도 합병논의에 대해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아
무런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미은행과 칼라일측에 이같은 입장을 전달한 뒤 연내 합병과 관련된 의사를 분명히 하지
않으면 금융지주회사 등 독자적으로 생존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독자적인 의사결정
에 지방은행 등 다른 은행과의 합병이 포함될 수 있는냐는 질문에 “현재 여러가지 이유로 P&A는
불가능하지 않느냐”며 “지방은행의 경우 P&A가 아니면 의미가 없으며 할 생각이 없다”고 못박았
다. 하나은행이 한미은행과 합병이 공전된 지난번 경남은행과의 합병을 추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21일 하나은행 고위관계자는 하나은행은 경남은행과 P&A를 주장했으나 경남은행 측에서는 지주회사
방식의 합병을 요구해옴에 따라 합병이 결렬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 행장은 국민, 주택은행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에 대한 질문에 “아직 생각해보지 못했으며 아는 것
도 없다”고만 말해 두 은행이 합병에 실패할 경우 주택은행과의 합병 재추진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그러나 여러 형태로 진행됐던 주택은행의 러브콜에 대해선 다소 부정적인 입장도 밝히기도 했
다. 그는 “주택은행과 합병할 경우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는 있지만 주택은행 직원들이 지금과 같
은 역량을 계속 발휘할지 의문”이라고 말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힘들다는 점을 시사했다.
김 행장은 합병 추진 배경과 관련,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합병을 추진했지만 아무리 그
렇다고 해도 아무나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해 한미은행과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 금융지주회
사 등 독자생존 방안을 추진할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 “그동안 대기업 편중여신이 있어 다소 은행 구조에 문제가 있었지만 최근 대기업 편
중여신비율이 50%이하로 떨어졌고, 대신 가계여신(21%), 중소기업여신(30%)이 증가하고 있어 구조
가 많이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그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모기지론쪽을 강화한다면 충분히 독자생존의 틀을 갖출 수 있
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