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에 이어 SK텔레콤도 MP3폰 개인파일 재생제한을 해제키로 결정함에 따라 양사의 고객들도 당분간 MP3폰을 통해 무료로 무제한 음악파일을 들을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2일 오후 4시를 기점으로 MP3폰 개인보유 파일의 72시간 이용기간 제한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PC에서 내려받은 MP3 파일을 72시간 동안만 재생하겠다는 방침에 합의하고 이의 이행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LGT, KTF 가 연이어 이행을 포기함으로써 사실상 협의체의 MP3 재생제한 합의 의미를 상실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SK텔레콤은 “72시간 제한을 고수할 경우 SK텔레콤 고객이 타 이통사 대비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게 되고 번호이동이라는 시장상황에서 단말기 경쟁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어 기존 정책의 변경이 불가피하다”고 시간제한 해제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앞서 KTF도 지난달 31일 “그 동안 MP3폰 협의체에서 이해관계자 전체 동의를 전제로 제안한 개인 MP3 파일 이용기간 제한을 성실히 이행해 왔으나, KTF 고객의 불편 해소를 위해 부득이하게 MP3폰 개인보유 파일의 이용기간 제한을 9월 1일부터 해제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MP3폰 72시간 시간제한’ 논의는 올초 이통사의 MP3폰 출시를 앞두고 이통사와 휴대폰제조사, 음원단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모여 무료 음악파일의 경우 72시간 동안만 재생할 수 있게 한다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LG텔레콤이 3월 MP3폰을 출시하면서 이 합의를 지키지 않아 지금까지 논란이 이어졌다. 그동안 LG텔레콤의 MP3폰은 고객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날개달린 듯 판매됐고 경쟁사들은 이에 많은 부담을 느껴 왔다.
한편 음반업계는 이통사들의 이같은 조치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음반시장이 휴대전화를 통한 공짜음악파일이 유통되면 더욱 얼어붙을 것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음원제작자협회는 해체된 협의체 부활을 요청하고 이통사에 행정제재를 내리도록 정부에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또 조만간 음원공급 중단, 법적대응 등 대응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LG텔레콤에 대해 뾰족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전례를 볼 때 마땅한 대책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SK텔레콤은 2일 오후 4시를 기점으로 MP3폰 개인보유 파일의 72시간 이용기간 제한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PC에서 내려받은 MP3 파일을 72시간 동안만 재생하겠다는 방침에 합의하고 이의 이행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LGT, KTF 가 연이어 이행을 포기함으로써 사실상 협의체의 MP3 재생제한 합의 의미를 상실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SK텔레콤은 “72시간 제한을 고수할 경우 SK텔레콤 고객이 타 이통사 대비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게 되고 번호이동이라는 시장상황에서 단말기 경쟁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어 기존 정책의 변경이 불가피하다”고 시간제한 해제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앞서 KTF도 지난달 31일 “그 동안 MP3폰 협의체에서 이해관계자 전체 동의를 전제로 제안한 개인 MP3 파일 이용기간 제한을 성실히 이행해 왔으나, KTF 고객의 불편 해소를 위해 부득이하게 MP3폰 개인보유 파일의 이용기간 제한을 9월 1일부터 해제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MP3폰 72시간 시간제한’ 논의는 올초 이통사의 MP3폰 출시를 앞두고 이통사와 휴대폰제조사, 음원단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모여 무료 음악파일의 경우 72시간 동안만 재생할 수 있게 한다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LG텔레콤이 3월 MP3폰을 출시하면서 이 합의를 지키지 않아 지금까지 논란이 이어졌다. 그동안 LG텔레콤의 MP3폰은 고객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날개달린 듯 판매됐고 경쟁사들은 이에 많은 부담을 느껴 왔다.
한편 음반업계는 이통사들의 이같은 조치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음반시장이 휴대전화를 통한 공짜음악파일이 유통되면 더욱 얼어붙을 것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음원제작자협회는 해체된 협의체 부활을 요청하고 이통사에 행정제재를 내리도록 정부에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또 조만간 음원공급 중단, 법적대응 등 대응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그동안 LG텔레콤에 대해 뾰족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전례를 볼 때 마땅한 대책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