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초지동 종합운동장 부지에 공사 중에 발생한 뻘흙을 반입, 시민들이 반발하자 다시 옮기기로 해 빈축을 사고 있다.
안산시는 지난 2월부터 오는 2003년까지 191억여원을 예산으로 신길∼공단간 도로개설공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공사가 진척되면서 뻘흙이 발생하자 마땅한 사토장이 없어 23일부터 초지동 종합운동장 부지에 4천500여톤의 뻘흙을 반입시켜 임시 야적시켰다.
또한 안산시는 반입된 흙으로 운동장 펜스를 따라 높이 1.5m의 높이의 둑을 쌓아 차량을 통제하는데 사용했다.
하지만 환경오염을 우려한 비판 여론이 일자 안산시는 내년에 옮기겠다는 당초 계획을 바꿔 뻘흙을 바로 옮기겠다고 밝혔다.
29일 안산시 관계자는 “뻘흙으로 운동장 부지에 둑을 쌓아 불법운전연습과 불법 노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입을 허용했다”며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있어 뻘흙을 옮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시민은 “정상적이 사토가 아닌 뻘흙은 염분으로 인해 토양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다면 더 큰 문제”라며 “옮길 것을 왜 했는지 모르겠다”고 안산시를 비난했다.
안산시는 지난 2월부터 오는 2003년까지 191억여원을 예산으로 신길∼공단간 도로개설공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공사가 진척되면서 뻘흙이 발생하자 마땅한 사토장이 없어 23일부터 초지동 종합운동장 부지에 4천500여톤의 뻘흙을 반입시켜 임시 야적시켰다.
또한 안산시는 반입된 흙으로 운동장 펜스를 따라 높이 1.5m의 높이의 둑을 쌓아 차량을 통제하는데 사용했다.
하지만 환경오염을 우려한 비판 여론이 일자 안산시는 내년에 옮기겠다는 당초 계획을 바꿔 뻘흙을 바로 옮기겠다고 밝혔다.
29일 안산시 관계자는 “뻘흙으로 운동장 부지에 둑을 쌓아 불법운전연습과 불법 노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입을 허용했다”며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있어 뻘흙을 옮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시민은 “정상적이 사토가 아닌 뻘흙은 염분으로 인해 토양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다면 더 큰 문제”라며 “옮길 것을 왜 했는지 모르겠다”고 안산시를 비난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