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 승격 50주년을 맞은 강원도 원주시가 각종 기념행사를 준비하면서 ‘원주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망해 볼 수 있는 학술대회 하나 마련하지 않은채 10억원 가량의 예산을 소비할 것으로 보여 ‘알맹이 빠진 행사’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내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일회성 전시행사에만 너무 치중해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원주시는 오는 9월 1일 치악예술관에서 ‘시제 시행 5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는 것을 비롯, 열린음악회 치악제 등산대회 걷기대회 원주예술제 등 15개의 경축행사를 준비중이다.
또 짚풀공예전 사진전 영상전 등 전시행사와 타임캡슐 매설행사 등 모두 20개가 넘는 기념행사가 8~10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그러나 원주시 50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각계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귀담아 들을 수 있는 토론의 장이나 학술행사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대해 원주시민연대 이선경 정책실장은 “겉모양만 화려한 소모성 행사만 즐비할 뿐 생산적인 행사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부족한 데다 마음은 콩밭(선거)에 가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지나온 역사를 기념하는 일보다 어떻게 살기좋은 도시로 만들어 나갈지 앞날에 대한 도시 좌표를 설정하는 일이 더 중요한 데도 내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의식한 전시용 행사에만 치중해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원주시 김정도 자치행정과장은 “시제 시행 50주년 기념행사는 원주시의 옛모습을 조명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시정 발전방향은 원주포럼, 건강도시포럼, 지역혁신협의회 등의 토론의 장을 통해 충분히 제시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원주시민연대는 이들 일회성 기념사업이 선거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선관위와 함께 검토해 문제가 되는 행사는 할 수 없도록 조치할 생각이다.
이와 관련 원주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선거일 1년전부터는 조례나 규칙, 법령에 의한 행위가 아닌 경우의 행사는 제한돼 있다”며 “행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한 뒤 법 위반 여부를 가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주시는 한지테마파크 조성사업, 원일프라자 개발, 중앙시장 재건축, 1군지사 이전 등 숱한 현안 문제를 안고 있으나 시민단체 및 이해 당사자와 시 당국 간의 의견이 서로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또 기업도시, 공공기관 유치 등 도시발전의 획기적 진전을 이룰 수 있는 대형 프로젝트들이 추진되고 있으며 동부권과 서남부권간의 불균형 발전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
시 승격 50주년을 기념하는 일은 원주시의 미래를 보다 밝고 활기차게 가꾸기 위한 행사로 준비돼야 한다는 지적에 귀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황인혁 기자 ihhwang@naeil.com
특히 내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일회성 전시행사에만 너무 치중해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원주시는 오는 9월 1일 치악예술관에서 ‘시제 시행 5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는 것을 비롯, 열린음악회 치악제 등산대회 걷기대회 원주예술제 등 15개의 경축행사를 준비중이다.
또 짚풀공예전 사진전 영상전 등 전시행사와 타임캡슐 매설행사 등 모두 20개가 넘는 기념행사가 8~10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그러나 원주시 50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각계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귀담아 들을 수 있는 토론의 장이나 학술행사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대해 원주시민연대 이선경 정책실장은 “겉모양만 화려한 소모성 행사만 즐비할 뿐 생산적인 행사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부족한 데다 마음은 콩밭(선거)에 가 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지나온 역사를 기념하는 일보다 어떻게 살기좋은 도시로 만들어 나갈지 앞날에 대한 도시 좌표를 설정하는 일이 더 중요한 데도 내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의식한 전시용 행사에만 치중해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원주시 김정도 자치행정과장은 “시제 시행 50주년 기념행사는 원주시의 옛모습을 조명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시정 발전방향은 원주포럼, 건강도시포럼, 지역혁신협의회 등의 토론의 장을 통해 충분히 제시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원주시민연대는 이들 일회성 기념사업이 선거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선관위와 함께 검토해 문제가 되는 행사는 할 수 없도록 조치할 생각이다.
이와 관련 원주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선거일 1년전부터는 조례나 규칙, 법령에 의한 행위가 아닌 경우의 행사는 제한돼 있다”며 “행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한 뒤 법 위반 여부를 가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주시는 한지테마파크 조성사업, 원일프라자 개발, 중앙시장 재건축, 1군지사 이전 등 숱한 현안 문제를 안고 있으나 시민단체 및 이해 당사자와 시 당국 간의 의견이 서로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또 기업도시, 공공기관 유치 등 도시발전의 획기적 진전을 이룰 수 있는 대형 프로젝트들이 추진되고 있으며 동부권과 서남부권간의 불균형 발전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
시 승격 50주년을 기념하는 일은 원주시의 미래를 보다 밝고 활기차게 가꾸기 위한 행사로 준비돼야 한다는 지적에 귀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황인혁 기자 ihhw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