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희 교육부 장관이 ‘2001 교육정책 워크숍’에서 ‘무능력 교사 퇴출론’을 제기한 이후 파장
이 교육계 전반에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이 발언은 단순히 무능력 교사에 대한 지적 차원을 넘어
교육부와 교원단체, 교사와 학부모간 대립 갈등을 조장하는 발언으로서 심화되고 있다.
자성의 목소리도 제기되지만 상대 비방에 묻혀 희석되고 있다. 누구 발언이 맞느니 틀리느니 편가르
기 형국이다.
교육부와 전교조, 한국교총 게시판 등에는 하루에도 수 백 건 씩 이 장관 발언에 대한 의견이 쏟아지
고 있지만 갖은 욕설과 비방이 전체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장관 해임과 교원단체 지도부 사퇴론도 제기된다. 누군가 책임을 져야한다는 강경 일변도다.스승과
제자, 학부모는 사라졌고, 정책비전도 찾기 힘들다.
물론 이번 파문의 발단은 이 장관이 원인을 제공했다. 국가정책을 책임지는 장관이 일부 자질없는 교
사 문제를 공개석상에서 일반화하여 전 교사를 매도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는
뒤로한 채,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은 속 빼놓고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발언이 교육계를 흔들어 놓은 배경은 현재 우리 나라 교육이 구조적인 모순을 가
지고 있다는 데 다수가 공감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교육은 수 십년간 이어온 입시위주 제도로 학생
과 학교의 서열화를 부추기고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했다. 가정교육에서부터 학교교육, 사회교육까지 사람은 평생 교육을 필
요로 하며, 교육에 의해 가치관이 형성되고 실행이 뒤따른다. 이는 곧 국가와 개인의 미래를 좌우하
는 일이기도 하다.
지금이라도 ‘참교육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 교육부와 교사, 학부모, 학생들은 머리
를 맞대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교단이 또다시 대안 없는 비난의 대상으로 전락한다면 우리 나라의
희망을 찾을 곳이 없다.
이 교육계 전반에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이 발언은 단순히 무능력 교사에 대한 지적 차원을 넘어
교육부와 교원단체, 교사와 학부모간 대립 갈등을 조장하는 발언으로서 심화되고 있다.
자성의 목소리도 제기되지만 상대 비방에 묻혀 희석되고 있다. 누구 발언이 맞느니 틀리느니 편가르
기 형국이다.
교육부와 전교조, 한국교총 게시판 등에는 하루에도 수 백 건 씩 이 장관 발언에 대한 의견이 쏟아지
고 있지만 갖은 욕설과 비방이 전체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장관 해임과 교원단체 지도부 사퇴론도 제기된다. 누군가 책임을 져야한다는 강경 일변도다.스승과
제자, 학부모는 사라졌고, 정책비전도 찾기 힘들다.
물론 이번 파문의 발단은 이 장관이 원인을 제공했다. 국가정책을 책임지는 장관이 일부 자질없는 교
사 문제를 공개석상에서 일반화하여 전 교사를 매도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는
뒤로한 채,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은 속 빼놓고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발언이 교육계를 흔들어 놓은 배경은 현재 우리 나라 교육이 구조적인 모순을 가
지고 있다는 데 다수가 공감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교육은 수 십년간 이어온 입시위주 제도로 학생
과 학교의 서열화를 부추기고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했다. 가정교육에서부터 학교교육, 사회교육까지 사람은 평생 교육을 필
요로 하며, 교육에 의해 가치관이 형성되고 실행이 뒤따른다. 이는 곧 국가와 개인의 미래를 좌우하
는 일이기도 하다.
지금이라도 ‘참교육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 교육부와 교사, 학부모, 학생들은 머리
를 맞대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교단이 또다시 대안 없는 비난의 대상으로 전락한다면 우리 나라의
희망을 찾을 곳이 없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