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4일 추병직 열린우리당 전 경북도당위원장을 건설교통부 장관에 임명하자 ‘보상 인사’ 논란이 일고 있다. 건교부 차관으로 있던 추 신임 장관은 지난 해 총선에서 여당후보로 구미을에 출마해 낙선했다. 추 장관 발탁에 대해 ‘총선 징발에 따른 정치적 배려’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한나라당은 “전형적인 정치빚갚기 인사”라며 꼬집었다.
‘낙선자 배려’는 주로 여당 불모지인 영남권 출마자들에게 집중되고 있다.(표 참조)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 임명이 전형적인 케이스.
오 장관은 지난 해 부산 행정부시장을 지내다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여당 후보로 출마했다.
오 장관이 여당행을 택했을 때 이미 ‘장관 보장설’이 지역에 나돌았다.
이영탁 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 역시 국무조정실장을 지내다 지난 총선에서 경북 영주에 출마해 낙선했다.
권 욱 소방방재청장도 경남 의령·함안·합천에 출마, 낙선 후 신설된 소방방재청 수장에 임명됐다. 출마 전 민방위재난통제본부장(1급)에서 방재청장(차관급)으로 갔으니 출마에 따른 ‘톡톡한’ 보상을 받은 셈이다.
이 외에도 정해주 한국항공 사장(전 진주산업대 총장·경남 통영·고성 출마), 공민배 대한지적공사 사장(전 창원시장·경남 창원갑), 윤덕홍 한국학중앙연구원장(전 교육부총리·대구 수성을), 최홍건 중소기업특별위원회위원장(전 산업기술대총장·경기 이천·여주) 등도 ‘총선 징발에 따른 보상’ 차원 인사로 분류할 수 있다.
김정길 대한체육회장(부산 영도)도 비록 대의원 투표로 당선됐지만 정치적 배려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출마는 하지 않았지만 박양수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은 열린우리당 조직위원장으로 비례대표 배정을 받지 못한데 따른 배려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당 재정위원장을 지낸 한행수 대한주택공사 사장, 당 정책위 부의장을 지낸 송인회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도 비슷한 경우다.
공직자였던 것은 아니지만 이강철 시민사회수석비서관(대구 동구갑),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부천 소사), 정윤재 국무총리 민정2비서관(부산 사상구), 노혜경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부산 연제), 송인배 청와대 행정관(경남 양산) 등도 낙선 후 공직에 임명된 경우다.
이와 관련 노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보좌한 적이 있는 경남출신 한 사람은 “노 대통령은 자신이 걸어온 정치역정 때문에 의리를 굉장히 중시한다”면서 “어려운 길을 선택한 사람들에 대해 챙길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고생’은 같이 했지만 아직 ‘자리’를 못 찾은 사람들도 있어 대비가 되고 있다.
이 철 전 의원이 대표적인 경우. 이 전 의원은 정몽준 의원의 ‘공조파기선언’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후보를 지지했고 지난 총선에서 부산 북·강서갑에 출마, 장렬히 ‘전사’했다. 이 전 의원은 최근 한국관광공사 사장 후보에 응모했으나 섞연치 않은 이유로 장관 제청단계에서 제외됐다.
장인태 전 경남도 행정부지사 역시 경남도지사 보궐선거에 출마해 낙선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재용 전 대구 남구청장(대구 중·남구 출마), 김정호 전 농림부차관(대구 동구을), 이정환 전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울산 중구), 박기환 전 대통령비서실 지방자치비서관(포항 남구·울릉군) 등도 아직 ‘백수’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한나라당은 “전형적인 정치빚갚기 인사”라며 꼬집었다.
‘낙선자 배려’는 주로 여당 불모지인 영남권 출마자들에게 집중되고 있다.(표 참조)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 임명이 전형적인 케이스.
오 장관은 지난 해 부산 행정부시장을 지내다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여당 후보로 출마했다.
오 장관이 여당행을 택했을 때 이미 ‘장관 보장설’이 지역에 나돌았다.
이영탁 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 역시 국무조정실장을 지내다 지난 총선에서 경북 영주에 출마해 낙선했다.
권 욱 소방방재청장도 경남 의령·함안·합천에 출마, 낙선 후 신설된 소방방재청 수장에 임명됐다. 출마 전 민방위재난통제본부장(1급)에서 방재청장(차관급)으로 갔으니 출마에 따른 ‘톡톡한’ 보상을 받은 셈이다.
이 외에도 정해주 한국항공 사장(전 진주산업대 총장·경남 통영·고성 출마), 공민배 대한지적공사 사장(전 창원시장·경남 창원갑), 윤덕홍 한국학중앙연구원장(전 교육부총리·대구 수성을), 최홍건 중소기업특별위원회위원장(전 산업기술대총장·경기 이천·여주) 등도 ‘총선 징발에 따른 보상’ 차원 인사로 분류할 수 있다.
김정길 대한체육회장(부산 영도)도 비록 대의원 투표로 당선됐지만 정치적 배려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출마는 하지 않았지만 박양수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은 열린우리당 조직위원장으로 비례대표 배정을 받지 못한데 따른 배려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당 재정위원장을 지낸 한행수 대한주택공사 사장, 당 정책위 부의장을 지낸 송인회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도 비슷한 경우다.
공직자였던 것은 아니지만 이강철 시민사회수석비서관(대구 동구갑),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부천 소사), 정윤재 국무총리 민정2비서관(부산 사상구), 노혜경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부산 연제), 송인배 청와대 행정관(경남 양산) 등도 낙선 후 공직에 임명된 경우다.
이와 관련 노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보좌한 적이 있는 경남출신 한 사람은 “노 대통령은 자신이 걸어온 정치역정 때문에 의리를 굉장히 중시한다”면서 “어려운 길을 선택한 사람들에 대해 챙길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고생’은 같이 했지만 아직 ‘자리’를 못 찾은 사람들도 있어 대비가 되고 있다.
이 철 전 의원이 대표적인 경우. 이 전 의원은 정몽준 의원의 ‘공조파기선언’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후보를 지지했고 지난 총선에서 부산 북·강서갑에 출마, 장렬히 ‘전사’했다. 이 전 의원은 최근 한국관광공사 사장 후보에 응모했으나 섞연치 않은 이유로 장관 제청단계에서 제외됐다.
장인태 전 경남도 행정부지사 역시 경남도지사 보궐선거에 출마해 낙선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재용 전 대구 남구청장(대구 중·남구 출마), 김정호 전 농림부차관(대구 동구을), 이정환 전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울산 중구), 박기환 전 대통령비서실 지방자치비서관(포항 남구·울릉군) 등도 아직 ‘백수’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