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혁신역량 강화(NURI) 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이 사업비를 부정사용하다 무더기로 적발됐다.
교육부는 13일 112개 사업단을 상대로 지난해 말부터 중간점검을 실시, 11개 사업단(10개대)에 경고 또는 주의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이번에 경고를 받은 대학은 전남대, 조선대, 남도대, 부경대, 여수대, 진주산업대이고, 주의조치가 내려진 대학은 전주기전여대, 전남대, 한국해양대, 목원대, 포항공대 등이다.
이중 ‘전자정보가전 사업단’ 중심대학인 전남대는 40억원을 지원받아 사업비 통장을 무단 변경하고 여수대, 순천대, 목포대, 목포해양대 등 협력대학에는 사업비를 뒤늦게 나눠줘 경고 처분을 받았다. 또 ‘첨단부품소재 사업단’ 중심대학인 조선대는 1465만원의 사업비 부정사용이 적발됐다.
‘조선산업 사업단’ 협력대학인 남도대는 사업비로 619만원 상당의 은수저 세트 등을 구입해 고교에 돌린 사실이 적발돼 경고와 다음해 지원금 삭감 조치를 받았다. 또 ‘영상·CT 사업단’협력대학인 부경대는 자격이 없는 실험실습 보조원 4명을 채용해 2400만원을 지급했고,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사업단’ 협력대학인 여수대는 학생 27명을 해외 어학연수를 보내면서 경쟁 입찰을 하지 않고 수의계약으로 유학원과 계약한 사실이 적발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지적사항과 개선 결과를 연차평가 때 반영하고 부당 사용된 사업비는 즉각 환원하도록 하는 동시에 지적사항을 개선하지 않으면 별도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경고를 받은 대학은 연차평가 때 10% 감점되고 부정 사용된 지원금만큼 다음해 지원액이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며 경고가 누적되면 사업단 선정이 취소된다. 또 주의를 받으면 연차평가 때 1% 감점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교육부는 13일 112개 사업단을 상대로 지난해 말부터 중간점검을 실시, 11개 사업단(10개대)에 경고 또는 주의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이번에 경고를 받은 대학은 전남대, 조선대, 남도대, 부경대, 여수대, 진주산업대이고, 주의조치가 내려진 대학은 전주기전여대, 전남대, 한국해양대, 목원대, 포항공대 등이다.
이중 ‘전자정보가전 사업단’ 중심대학인 전남대는 40억원을 지원받아 사업비 통장을 무단 변경하고 여수대, 순천대, 목포대, 목포해양대 등 협력대학에는 사업비를 뒤늦게 나눠줘 경고 처분을 받았다. 또 ‘첨단부품소재 사업단’ 중심대학인 조선대는 1465만원의 사업비 부정사용이 적발됐다.
‘조선산업 사업단’ 협력대학인 남도대는 사업비로 619만원 상당의 은수저 세트 등을 구입해 고교에 돌린 사실이 적발돼 경고와 다음해 지원금 삭감 조치를 받았다. 또 ‘영상·CT 사업단’협력대학인 부경대는 자격이 없는 실험실습 보조원 4명을 채용해 2400만원을 지급했고,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사업단’ 협력대학인 여수대는 학생 27명을 해외 어학연수를 보내면서 경쟁 입찰을 하지 않고 수의계약으로 유학원과 계약한 사실이 적발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지적사항과 개선 결과를 연차평가 때 반영하고 부당 사용된 사업비는 즉각 환원하도록 하는 동시에 지적사항을 개선하지 않으면 별도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경고를 받은 대학은 연차평가 때 10% 감점되고 부정 사용된 지원금만큼 다음해 지원액이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으며 경고가 누적되면 사업단 선정이 취소된다. 또 주의를 받으면 연차평가 때 1% 감점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