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시 호계동 도시계획 변경 갈등
시, 공동화 방지 위해 현 공업지역 유지해야…효성, 일관성 없는 도시기본계획 변경은 문제
지역내일
2005-05-10
(수정 2005-05-11 오전 11:34:03)
공업지역 존치 여부를 놓고 안양시와 (주)효성이 대립, 2020년 안양도시기본계획이 1년 넘도록 표류하고 있다.
지난 94년 승인된 2011년 도시기본계획에서 박달동의 대체공업용지 확보를 전제로 주거지역으로 변경됐던 호계1·2동, 안양7동 일대의 공업 및 준공업지역을 2020년 도시기본계획에서 다시 공업지역으로 환원시킨다는 것이 문제의 발단을 제공했다.
안양시는 대체 공업용지로 거론됐던 박달동 군부대가 지난 2001년 최종 협의 결과, 이전계획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나자 자족도시를 위한 산업기능 유지를 위해 현재의 공업지역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도시기본계획을 변경, 지난해 3월 건설교통부에 승인을 요청했다.
이에 주거지역으로의 변경을 염두에 두고 활동을 해왔던 (주)효성은 장기적인 도시계획의 기초가 되는 도시기본계획이 일관성이 없이 변경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주거지역으로의 유지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건교부에 제출했다.
양측의 양보 없는 대결은 건설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로까지 번져, 지난 3월 회의에서 위원간 이견으로 주거지역의 공업용지 환원문제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최근 시는 효성측의 관계자를 만나 효성 공장부지를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개발진흥지구 지정 등의 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개발진흥지구에 주거만 제외하고 산업·유통·관광 등의 시설들이 들어서는 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효성은 주거지역으로의 유지만을 요구하며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시와 효성,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간의 이견은 크게 세 가지다. 도시 중심부에 공업지역 유지여부, 국방부와 협의불가로 인한 공업용지 존치여부, 기반시설 부족문제 등이다.
우선 효성은 “현 공장부지는 안양시 주거지역의 한 복판에 위치해 주거환경 악화를 우려하는 민원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이라며 “시설투자를 해도 매연과 소음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욱이 기존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주거지역으로의 변경을 염두에 두고 그동안 안양 공장설비의 60% 이상을 타 공장으로 이전했는데 지금에 와서 공업지역 고수를 주장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부 중도위 위원들도 “이곳은 안양·군포·의왕시을 포함한 광역권의 중심부에 해당돼 시 구상대로 이곳에 R&D 기능이 입지한다 하더라도 환경적 측면 등 많은 문제가 있다”며 “특히 국방부와의 협의불가로 다시 번복한다는 것은 명분상 맞지 않을 뿐더러 어차피 공업용지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도시기반시설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는 수도권내 대기업과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예상되는 도시의 공동화를 방지하고 산업기능 확보를 통한 자족도시 건설을 위해 현재의 공업지역을 평촌벤처밸리와 연계, 도시형의 첨단산업단지로 바꿔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 관계자는 “이미 별도의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공간배치를 하고 있는 군포와 의왕을 동일생활권으로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며 “더욱이 현재 문제되고 있는 호계1·2동 및 안양7동의 공업지역은 안양의 중심생활권인 만안, 동안생활권의 변두리지역으로 안양의 중심지도 아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또 “5년마다 지역여건의 변화에 따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는 도시기본계획을 변경한다고 일관성이 없다고 얘기하는 것은 도시환경의 변화를 외면하여 도시문제를 가중시키라는 것과 같다”며 “현 공업지역을 주거지로 변경, 개발하면 약 1만 세대·3만명의 인구가 증가해 학교 및 하수처리시설 부족 등 각종 기반시설의 악화를 가져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도시기본계획이 승인이 지연되면서 시급히 추진돼야 하는 여객터미널 시설 부지 변경도 마무리되지 못해 주민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미 여객터미널 부지 변경은 수용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공업지역 문제로 1년 가까이 여객터미널 건립이 지체되고 있다.
/안양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지난 94년 승인된 2011년 도시기본계획에서 박달동의 대체공업용지 확보를 전제로 주거지역으로 변경됐던 호계1·2동, 안양7동 일대의 공업 및 준공업지역을 2020년 도시기본계획에서 다시 공업지역으로 환원시킨다는 것이 문제의 발단을 제공했다.
안양시는 대체 공업용지로 거론됐던 박달동 군부대가 지난 2001년 최종 협의 결과, 이전계획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나자 자족도시를 위한 산업기능 유지를 위해 현재의 공업지역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도시기본계획을 변경, 지난해 3월 건설교통부에 승인을 요청했다.
이에 주거지역으로의 변경을 염두에 두고 활동을 해왔던 (주)효성은 장기적인 도시계획의 기초가 되는 도시기본계획이 일관성이 없이 변경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주거지역으로의 유지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건교부에 제출했다.
양측의 양보 없는 대결은 건설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로까지 번져, 지난 3월 회의에서 위원간 이견으로 주거지역의 공업용지 환원문제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최근 시는 효성측의 관계자를 만나 효성 공장부지를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개발진흥지구 지정 등의 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개발진흥지구에 주거만 제외하고 산업·유통·관광 등의 시설들이 들어서는 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효성은 주거지역으로의 유지만을 요구하며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시와 효성,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간의 이견은 크게 세 가지다. 도시 중심부에 공업지역 유지여부, 국방부와 협의불가로 인한 공업용지 존치여부, 기반시설 부족문제 등이다.
우선 효성은 “현 공장부지는 안양시 주거지역의 한 복판에 위치해 주거환경 악화를 우려하는 민원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이라며 “시설투자를 해도 매연과 소음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욱이 기존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주거지역으로의 변경을 염두에 두고 그동안 안양 공장설비의 60% 이상을 타 공장으로 이전했는데 지금에 와서 공업지역 고수를 주장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부 중도위 위원들도 “이곳은 안양·군포·의왕시을 포함한 광역권의 중심부에 해당돼 시 구상대로 이곳에 R&D 기능이 입지한다 하더라도 환경적 측면 등 많은 문제가 있다”며 “특히 국방부와의 협의불가로 다시 번복한다는 것은 명분상 맞지 않을 뿐더러 어차피 공업용지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도시기반시설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는 수도권내 대기업과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예상되는 도시의 공동화를 방지하고 산업기능 확보를 통한 자족도시 건설을 위해 현재의 공업지역을 평촌벤처밸리와 연계, 도시형의 첨단산업단지로 바꿔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 관계자는 “이미 별도의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공간배치를 하고 있는 군포와 의왕을 동일생활권으로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며 “더욱이 현재 문제되고 있는 호계1·2동 및 안양7동의 공업지역은 안양의 중심생활권인 만안, 동안생활권의 변두리지역으로 안양의 중심지도 아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또 “5년마다 지역여건의 변화에 따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는 도시기본계획을 변경한다고 일관성이 없다고 얘기하는 것은 도시환경의 변화를 외면하여 도시문제를 가중시키라는 것과 같다”며 “현 공업지역을 주거지로 변경, 개발하면 약 1만 세대·3만명의 인구가 증가해 학교 및 하수처리시설 부족 등 각종 기반시설의 악화를 가져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도시기본계획이 승인이 지연되면서 시급히 추진돼야 하는 여객터미널 시설 부지 변경도 마무리되지 못해 주민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미 여객터미널 부지 변경은 수용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공업지역 문제로 1년 가까이 여객터미널 건립이 지체되고 있다.
/안양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