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전시·유통·교육 위한 공간 절실” … 기존 진흥원 건물 재건축 모색
인사동 상품 85%가 국적불명 동남아·중국산 … 공예품 식별시스템 도입
“한국 공예산업은 유구한 역사적 전통에도 불구하고 종업원이 3인강조한다 미만인 가내수공업 형태가 대부분일 정도로 매우 열악합니다.”
우리나라 대표적 ‘전통문화의 거리’ 한귀퉁이 20여년된 낡은 건물에 한국공예문화진흥원이 있다. 진흥원은 한국의 우수한 공예품을 소비자들에게 널리 소개하고 한국 문화를 담은 세계적인 공예문화상품의 유통·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00년 4월 설립된 문화관광부 산하 공예전문기관. 이제 갓 다섯 살을 넘긴 셈이다.
진흥원 권오인 원장은 한국공예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지원과 함께 소비자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악한 국적불명의 공예품을 추방하기 위해서는 공예품의 가치를 알고 우리것의 소중함을 느낄 줄 아는 안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공예산업’을 여타 산업과 같은 잣대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전통’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 보다 적극적인 보호·육성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는 것이다.
“전통문화의 거리라 하는 인사동에서도 동남아시아 및 중국에서 싼 값을 무기로 한 국적불명의 공예품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 인사동에서 파는 물건중 85%가 국적불명이라는 얘기가 빈말이 아닙니다.”
이 때문에 진흥원에서는 개별 국내 공예품에 전자칩 형태의 ‘제작이력 추적시스템’을 장착하는 등 공예품 관리 선진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소비자는 믿고 상품을 살 수 있고 생산자는 향후 전자상거래, 기업간거래 등 다양한 형태의 유통망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진흥원은 지난주 KOTRA와 해외시장 개척 및 유통정보 제공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해외박람회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공예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KOTRA 해외사무소를 거점으로 삼아 수출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다.
“재건축을 통해 유통사업·전시사업을 본격화하고 홍보 및 교육, 연구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사업을 벌이면 진흥원은 명실상부한 한국 공예산업의 중심지가 될 것입니다.”
현재 진흥원이 국내 공예산업을 지원하는 데 최대 걸림돌은 낡은 건물. 진흥원은 지은지 20년도 더 된 본관 건물과 40여년이나 된 목조 별관을 갖추고 있다. 업계지원 및 재원조달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진흥원내에 전시공간과 상품유통홍보관, BtoB(기업간거래) 거점 등이 갖춰져야 한다. 또 공방교실·문화교실 등 일반인을 대상 프로그램 및 전문 공예가 양성을 위한 교육장도 마련돼야 한다. 진흥원에 이같은 시설이 갖춰져야 한다는 것은 물론 업계에서도 숙원사업으로 여기고 있다.
“공예품은 단순히 상품이나 기념품만이 아닙니다. 자체로 미술장르의 하나이고 기능보유자들이 예술성을 추구해 만든 예술작품입니다.”
권 원장은 이 때문에 기존 ‘공모전’을 비롯, 재능있는 공예가를 발굴,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사실상 ‘공예청’ 형태의 전통공예품 협회를 통해 연간 30억엔의 예산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진흥원 예산은 십억여원 남짓.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여러나라보다도 지원 규모가 작습니다.”
우리나라는 심지어 공예산업 실태조사를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했다. 그것도 20억원이 드는 전수조사는 엄두도 못내고 있다. 이같은 이유로 ‘전통을 잇는’ 자부심으로 공방을 지키던 장인들도 하나둘 떠나고 있다. 가업을 잇는 식구들마저 없어 아까운 기술이 사장되는 경우도 많다. 공예문화진흥원이 생긴지도 5년이나 됐지만 진흥원의 역할 등을 규정한 법규조차 없다. 그만큼 우리나라 공예산업이 열악하다는 얘기고 이는 또한 한국공예문화진흥원이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는 뜻이다.
권오인 원장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및 경기대학교 대학원에서 각각 석사·박사학위를 땄으며 교통부, 총무처, 체육부를 거쳐 문화관광부에서 공직생활을 이어 왔다. 권 원장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극장, 국립중앙박물관을 거쳐 현재 한국공예문화진흥원장을 맡고 있다.
/장유진 기자 yjchang@naeil.com
인사동 상품 85%가 국적불명 동남아·중국산 … 공예품 식별시스템 도입
“한국 공예산업은 유구한 역사적 전통에도 불구하고 종업원이 3인강조한다 미만인 가내수공업 형태가 대부분일 정도로 매우 열악합니다.”
우리나라 대표적 ‘전통문화의 거리’ 한귀퉁이 20여년된 낡은 건물에 한국공예문화진흥원이 있다. 진흥원은 한국의 우수한 공예품을 소비자들에게 널리 소개하고 한국 문화를 담은 세계적인 공예문화상품의 유통·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00년 4월 설립된 문화관광부 산하 공예전문기관. 이제 갓 다섯 살을 넘긴 셈이다.
진흥원 권오인 원장은 한국공예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지원과 함께 소비자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악한 국적불명의 공예품을 추방하기 위해서는 공예품의 가치를 알고 우리것의 소중함을 느낄 줄 아는 안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공예산업’을 여타 산업과 같은 잣대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전통’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 보다 적극적인 보호·육성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는 것이다.
“전통문화의 거리라 하는 인사동에서도 동남아시아 및 중국에서 싼 값을 무기로 한 국적불명의 공예품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 인사동에서 파는 물건중 85%가 국적불명이라는 얘기가 빈말이 아닙니다.”
이 때문에 진흥원에서는 개별 국내 공예품에 전자칩 형태의 ‘제작이력 추적시스템’을 장착하는 등 공예품 관리 선진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소비자는 믿고 상품을 살 수 있고 생산자는 향후 전자상거래, 기업간거래 등 다양한 형태의 유통망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진흥원은 지난주 KOTRA와 해외시장 개척 및 유통정보 제공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해외박람회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공예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KOTRA 해외사무소를 거점으로 삼아 수출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다.
“재건축을 통해 유통사업·전시사업을 본격화하고 홍보 및 교육, 연구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사업을 벌이면 진흥원은 명실상부한 한국 공예산업의 중심지가 될 것입니다.”
현재 진흥원이 국내 공예산업을 지원하는 데 최대 걸림돌은 낡은 건물. 진흥원은 지은지 20년도 더 된 본관 건물과 40여년이나 된 목조 별관을 갖추고 있다. 업계지원 및 재원조달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진흥원내에 전시공간과 상품유통홍보관, BtoB(기업간거래) 거점 등이 갖춰져야 한다. 또 공방교실·문화교실 등 일반인을 대상 프로그램 및 전문 공예가 양성을 위한 교육장도 마련돼야 한다. 진흥원에 이같은 시설이 갖춰져야 한다는 것은 물론 업계에서도 숙원사업으로 여기고 있다.
“공예품은 단순히 상품이나 기념품만이 아닙니다. 자체로 미술장르의 하나이고 기능보유자들이 예술성을 추구해 만든 예술작품입니다.”
권 원장은 이 때문에 기존 ‘공모전’을 비롯, 재능있는 공예가를 발굴,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사실상 ‘공예청’ 형태의 전통공예품 협회를 통해 연간 30억엔의 예산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진흥원 예산은 십억여원 남짓.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여러나라보다도 지원 규모가 작습니다.”
우리나라는 심지어 공예산업 실태조사를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했다. 그것도 20억원이 드는 전수조사는 엄두도 못내고 있다. 이같은 이유로 ‘전통을 잇는’ 자부심으로 공방을 지키던 장인들도 하나둘 떠나고 있다. 가업을 잇는 식구들마저 없어 아까운 기술이 사장되는 경우도 많다. 공예문화진흥원이 생긴지도 5년이나 됐지만 진흥원의 역할 등을 규정한 법규조차 없다. 그만큼 우리나라 공예산업이 열악하다는 얘기고 이는 또한 한국공예문화진흥원이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는 뜻이다.
권오인 원장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및 경기대학교 대학원에서 각각 석사·박사학위를 땄으며 교통부, 총무처, 체육부를 거쳐 문화관광부에서 공직생활을 이어 왔다. 권 원장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극장, 국립중앙박물관을 거쳐 현재 한국공예문화진흥원장을 맡고 있다.
/장유진 기자 yjch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