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부지역은 경북도 전체 면적의 57%를 차지하지만 인구는 30년 전 166만명에서 현재 80만명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습니다.”
안동시와 봉화군, 울진군 등 경북 북부지역 11개 시․군의 사회단체들이 공공기관과 혁신도시 유치에 나섰다.
지난 25일 공공기관 및 혁신도시 경북 북부지역 유치 서명운동을 본격 시작한 경북북부공공기관유치추진위원회(위원장 정일순․울진군)는 서명 분위기 확산을 위해 경북 안동 문화의 거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가두서명에 돌입했다.
유치추진위는 “경북북부지역은 경북도 전체 면적의 56.7%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각종 개발정책에서 소외되어 30년 전 170만명이던 인구가 현재는 80만명에 불과할 정도로 급감, 정부의 적극적 지원 없이는 북부지역의 회생이 어렵다”면서 “경북북부지역에 공공기관 및 혁신도시를 정책적으로 배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치추진위는 특히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도로 여건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전제한 뒤 “경북 북부지역 전체를 엮는 도로망이 미흡해 경제회생이 힘든 만큼 북부지역 전체를 관통하는 동서 고속도로를 조기에 착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조기착공을 건의하는 고속도로는 당진-천안-문경-영주-울진을 잇는 ‘동서5축 고속도로’와 서천-공주-상주-안동-영덕을 잇는 ‘동서6축 고속도로’. 두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경북 북부지역과 다른 지역간의 교통소통이 원활해져 북부지역 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란 게 유치추진위의 설명이다.
유치추진위 관계자는 “현재 경북북부지역 전체 인구가 80만명인 점을 감안할 때 절반 정도 40만명 정도가 서명에 동참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개별 방문을 통한 서명운동과 함께 북부 11개 시․군 도심지와 주요 행사장 등에 서명대를 설치하고 거리 서명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치추진위는 서명이 완료되면 별도의 대표단을 구성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건설교통부 등 중앙 행정기관과 경북도를 방문, 공공기관 및 혁신도시 경북 북부지역 이전을 강력히 요구하기로 했다.
한편 경북북부지역공공기관유치추진위원회는 지난 14일 안동에서 경북북부지역 혁신협의회와 각 시․군 지역혁신협의회, 시․군 이통장협의회장, 청년회의소 회장 등이 모여 발족했으며 18일 운영위원회를 통해 서명운동을 벌여나가기로 합의했다.
안동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안동시와 봉화군, 울진군 등 경북 북부지역 11개 시․군의 사회단체들이 공공기관과 혁신도시 유치에 나섰다.
지난 25일 공공기관 및 혁신도시 경북 북부지역 유치 서명운동을 본격 시작한 경북북부공공기관유치추진위원회(위원장 정일순․울진군)는 서명 분위기 확산을 위해 경북 안동 문화의 거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가두서명에 돌입했다.
유치추진위는 “경북북부지역은 경북도 전체 면적의 56.7%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각종 개발정책에서 소외되어 30년 전 170만명이던 인구가 현재는 80만명에 불과할 정도로 급감, 정부의 적극적 지원 없이는 북부지역의 회생이 어렵다”면서 “경북북부지역에 공공기관 및 혁신도시를 정책적으로 배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치추진위는 특히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도로 여건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전제한 뒤 “경북 북부지역 전체를 엮는 도로망이 미흡해 경제회생이 힘든 만큼 북부지역 전체를 관통하는 동서 고속도로를 조기에 착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조기착공을 건의하는 고속도로는 당진-천안-문경-영주-울진을 잇는 ‘동서5축 고속도로’와 서천-공주-상주-안동-영덕을 잇는 ‘동서6축 고속도로’. 두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경북 북부지역과 다른 지역간의 교통소통이 원활해져 북부지역 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란 게 유치추진위의 설명이다.
유치추진위 관계자는 “현재 경북북부지역 전체 인구가 80만명인 점을 감안할 때 절반 정도 40만명 정도가 서명에 동참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개별 방문을 통한 서명운동과 함께 북부 11개 시․군 도심지와 주요 행사장 등에 서명대를 설치하고 거리 서명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치추진위는 서명이 완료되면 별도의 대표단을 구성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건설교통부 등 중앙 행정기관과 경북도를 방문, 공공기관 및 혁신도시 경북 북부지역 이전을 강력히 요구하기로 했다.
한편 경북북부지역공공기관유치추진위원회는 지난 14일 안동에서 경북북부지역 혁신협의회와 각 시․군 지역혁신협의회, 시․군 이통장협의회장, 청년회의소 회장 등이 모여 발족했으며 18일 운영위원회를 통해 서명운동을 벌여나가기로 합의했다.
안동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