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구조조정에 대한 은행원 의식조사 보고서>관치금융, 금융 경쟁력 약화 주범
10명중 7명 국민·주택은행 합병 부정적
지역내일
2001-01-17
(수정 2001-01-17 오후 3:00:57)
국민·주택은행 합병시 ‘인력 감축없다’는 은행측의 발표 내용에 대해 은행원의 절대다수인
97.8%가 ‘믿지 않는다’고 응답했고 그 가운데서도 ‘전혀 믿지 않는다’고 극단적인 답한 은행
원이 7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원 20% 이상 줄일 것=미디어리서치에 조사에 따르면 실제로 조사대상 은행원 가운데 45.8%의
은행원은 ‘26~30% 정도의 은행원이 감축’되어야 국민·주택은행 합병시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
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1.3%의 은행원은 ‘21~25%의 은행원이 감축’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10.1%의 은행원은 ‘31~40%의 은행원이 감축’돼야한다고 응답했다. 두 은행이
합병 후 무려 41% 이상의 인원을 줄여야만 합병시너지가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은행원도 10.1%나
되었다.
반면 ‘인원 감축 없이도 가능하다’고 답한 의견은 2%에 불과해 대부분의 은행원은 은행과 정부
에서 말한 ‘인원을 줄이지 않고도 합병에 성공할 수 있다’는 말에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
다.
특히 과반수가 훨씬 넘는 77.3%의 은행원은 최소 20% 이상의 인력을 감축해야만 합병 시너지 효
과가 있을 것이라는 현실 인식을 보였다.
◇한빛 등 합병 성패 반반=한편 부실은행들의 지주회사 편입시 경영정상화가 될 것이라고 응답한 은
행원은 54.2%였다. 그러나 정상화가 힘들 것이라고 응답한 은행원도 45.8%로 나타나 합병 후 생존
전략에 대해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빛·평화·광주은행 직원
82.4%가 ‘정상화 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 간섭 있다=금융기관의 경쟁력 약화 원인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의 노력부족’과 ‘관치
금융’ 모두를 꼽은 비율이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구지도 등 관치금융 형태’를 지
적한 응답자도 42.3%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금융기관의 경영효율화 노력 부족’때문이라는 응
답자는 9.3%에 불과했다.
은행원들 대부분은 은행의 노력보다는 관치금융 때문에 금융권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당국의 은행 간섭(관치금융)에 대해 응답 은행원 77.5%가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금융당국의 간섭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19.9%였다. 특히 금융당국의 간
섭이 ‘있다’고 응답한 은행원은 구조조정 대상은행에서 많았다. 구조조정 대상은행인 국민·주택
은행 은행원 90.8%가 ‘경영간섭이 있다’고 응답했고, 지주회사 편입은행인 한빛은행 등의 은
행원 82.4%가 ‘경영간섭 있다’고 응답했다.
◇현 경제 어려움 정부정책 혼선=은행원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한 1순위로 정부의 정책 혼선을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은행원 57.9%는 경제의 어려움을 겪게한 1순위로 정부의 정책혼선을 지
적했고, 20%는 정무의 리더십 부재를, 그리고 14.3%와 5.0%의 은행원은 각각 기업의 경쟁력 부족
과 기업의 도덕적해이를 문제 삼았다.
한편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해 설문에 응한 은행원들 가운데 54.8%가 IMF때보다 심각하다라고 응
답했고, 34.7%가 IMF 때와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97.8%가 ‘믿지 않는다’고 응답했고 그 가운데서도 ‘전혀 믿지 않는다’고 극단적인 답한 은행
원이 7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원 20% 이상 줄일 것=미디어리서치에 조사에 따르면 실제로 조사대상 은행원 가운데 45.8%의
은행원은 ‘26~30% 정도의 은행원이 감축’되어야 국민·주택은행 합병시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
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1.3%의 은행원은 ‘21~25%의 은행원이 감축’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10.1%의 은행원은 ‘31~40%의 은행원이 감축’돼야한다고 응답했다. 두 은행이
합병 후 무려 41% 이상의 인원을 줄여야만 합병시너지가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은행원도 10.1%나
되었다.
반면 ‘인원 감축 없이도 가능하다’고 답한 의견은 2%에 불과해 대부분의 은행원은 은행과 정부
에서 말한 ‘인원을 줄이지 않고도 합병에 성공할 수 있다’는 말에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
다.
특히 과반수가 훨씬 넘는 77.3%의 은행원은 최소 20% 이상의 인력을 감축해야만 합병 시너지 효
과가 있을 것이라는 현실 인식을 보였다.
◇한빛 등 합병 성패 반반=한편 부실은행들의 지주회사 편입시 경영정상화가 될 것이라고 응답한 은
행원은 54.2%였다. 그러나 정상화가 힘들 것이라고 응답한 은행원도 45.8%로 나타나 합병 후 생존
전략에 대해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빛·평화·광주은행 직원
82.4%가 ‘정상화 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 간섭 있다=금융기관의 경쟁력 약화 원인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의 노력부족’과 ‘관치
금융’ 모두를 꼽은 비율이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구지도 등 관치금융 형태’를 지
적한 응답자도 42.3%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금융기관의 경영효율화 노력 부족’때문이라는 응
답자는 9.3%에 불과했다.
은행원들 대부분은 은행의 노력보다는 관치금융 때문에 금융권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당국의 은행 간섭(관치금융)에 대해 응답 은행원 77.5%가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금융당국의 간섭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19.9%였다. 특히 금융당국의 간
섭이 ‘있다’고 응답한 은행원은 구조조정 대상은행에서 많았다. 구조조정 대상은행인 국민·주택
은행 은행원 90.8%가 ‘경영간섭이 있다’고 응답했고, 지주회사 편입은행인 한빛은행 등의 은
행원 82.4%가 ‘경영간섭 있다’고 응답했다.
◇현 경제 어려움 정부정책 혼선=은행원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한 1순위로 정부의 정책 혼선을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은행원 57.9%는 경제의 어려움을 겪게한 1순위로 정부의 정책혼선을 지
적했고, 20%는 정무의 리더십 부재를, 그리고 14.3%와 5.0%의 은행원은 각각 기업의 경쟁력 부족
과 기업의 도덕적해이를 문제 삼았다.
한편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해 설문에 응한 은행원들 가운데 54.8%가 IMF때보다 심각하다라고 응
답했고, 34.7%가 IMF 때와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