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3월말까지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2월보다 6197가구(9.6%)가 줄어든 5만8447가구로 작년 12월 이후 3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미분양아파트가 40.8%가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미분양 물량이 852가구로 247가구(40.8%)가 증가했고 강원(4.9%), 경남(8.5%)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울산(33.2%), 대구(27.7%), 충북(22.9%), 대전(21.6%), 인천(14.9%), 경기(14.1%), 부산(6.2%)에서는 미분양아파트가 감소했다.
민간 부문은 5만1313가구로 4915가구, 공공부문은 7134가구로 1282가구의 미분양 물량이 해소돼 각각 8.7%, 15.2%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한편 3월 건축허가 면적은 965만3000㎡로 2000~2004년 3월 평균(1017만2000㎡)에 비해5.1% 줄었으나 작년 같은 달보다는 5.6%가 증가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10.1%), 상업용(28.9%), 공업용(10.3%)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반면 문교ㆍ사회용은 74.4%나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5.1%), 지방(1.8%) 모두 감소세였다.
3월 건축착공 면적은 871만9000㎡로 작년 같은 달보다는 10.9%가 줄었다. 특히 수도권(3.9%)보다는 지방(16.9%)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지역별로는 서울의 미분양 물량이 852가구로 247가구(40.8%)가 증가했고 강원(4.9%), 경남(8.5%)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울산(33.2%), 대구(27.7%), 충북(22.9%), 대전(21.6%), 인천(14.9%), 경기(14.1%), 부산(6.2%)에서는 미분양아파트가 감소했다.
민간 부문은 5만1313가구로 4915가구, 공공부문은 7134가구로 1282가구의 미분양 물량이 해소돼 각각 8.7%, 15.2%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한편 3월 건축허가 면적은 965만3000㎡로 2000~2004년 3월 평균(1017만2000㎡)에 비해5.1% 줄었으나 작년 같은 달보다는 5.6%가 증가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10.1%), 상업용(28.9%), 공업용(10.3%)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반면 문교ㆍ사회용은 74.4%나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5.1%), 지방(1.8%) 모두 감소세였다.
3월 건축착공 면적은 871만9000㎡로 작년 같은 달보다는 10.9%가 줄었다. 특히 수도권(3.9%)보다는 지방(16.9%)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