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종로구 명륜동에 국제고가, 구로구 궁동에 과학고가 각각 개교한다. 그러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은 ‘또 하나의 입시명문고’가 개교하는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히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고교평준화를 보완하고 수월성 교육에 대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2008년 3월까지 국제고와 과학고를 설립하는 것을 골자로 한 ‘특수목적고 설립계획안’을 13일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국제고는 전체 학급 18개, 학생 450명 규모로 개교된다. 또 교과과정 대부분을 영어수업으로 진행하며 외국어고와 달리 통상인력 등 사회계열 전문가를 키우게 된다. 특히 이 학교에는 미국대학진학반도 설치되며 대학교과목을 미리 이수하는 AP(Advance Placement)제도도 도입된다.
과학고는 모두 24개 학급, 480명 규모로 개교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들 두 개 학교를 개교하기 위해서는 929억21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현재 서울에는 서울과학고(종로구 혜화동)와 한성과학고(종로구현저동) 등 과학고 2개교와 대원외고(광진구 중곡동), 대일외고(성북구 정릉동), 명덕외고(강서구 발산동), 서울외고(도봉구 창동), 이화외고(중구 순화동), 한영외고(강동구 고덕동) 등 외고 6개교가 있다.
과학고 두 곳은 공립이며, 외고는 모두 사립학교다.
한편 전교조 서울시지부는 이날 오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기존의 특목고들도 설립 취지를 못 살린 채 ‘입시 명문고’로 전락해 버린 지 오래”라며 “교육당국의 특목고 추가 설립계획은 서울지역 전체 고등학교를 2·3류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즉각 백지화 할 것을 주장했다.
전교조는 이같은 주장의 근거로 올해 서울 지역 6개 외고를 졸업한 학생 중 본래 취지에 맞는 어문계로 진학한 학생은 18.4%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들었다.
또 이들은 서울시에 대해서도 이와 관련된 예산을 배정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서울시교육청은 고교평준화를 보완하고 수월성 교육에 대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2008년 3월까지 국제고와 과학고를 설립하는 것을 골자로 한 ‘특수목적고 설립계획안’을 13일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국제고는 전체 학급 18개, 학생 450명 규모로 개교된다. 또 교과과정 대부분을 영어수업으로 진행하며 외국어고와 달리 통상인력 등 사회계열 전문가를 키우게 된다. 특히 이 학교에는 미국대학진학반도 설치되며 대학교과목을 미리 이수하는 AP(Advance Placement)제도도 도입된다.
과학고는 모두 24개 학급, 480명 규모로 개교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들 두 개 학교를 개교하기 위해서는 929억21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현재 서울에는 서울과학고(종로구 혜화동)와 한성과학고(종로구현저동) 등 과학고 2개교와 대원외고(광진구 중곡동), 대일외고(성북구 정릉동), 명덕외고(강서구 발산동), 서울외고(도봉구 창동), 이화외고(중구 순화동), 한영외고(강동구 고덕동) 등 외고 6개교가 있다.
과학고 두 곳은 공립이며, 외고는 모두 사립학교다.
한편 전교조 서울시지부는 이날 오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기존의 특목고들도 설립 취지를 못 살린 채 ‘입시 명문고’로 전락해 버린 지 오래”라며 “교육당국의 특목고 추가 설립계획은 서울지역 전체 고등학교를 2·3류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즉각 백지화 할 것을 주장했다.
전교조는 이같은 주장의 근거로 올해 서울 지역 6개 외고를 졸업한 학생 중 본래 취지에 맞는 어문계로 진학한 학생은 18.4%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들었다.
또 이들은 서울시에 대해서도 이와 관련된 예산을 배정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