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통 진입로 공사 못한 사연
자유총연맹 vs. 민주평통 기싸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가 올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던 진입로 공사가 지지부진하다. 5월초 시작돼야했을 공사는 아직 착공조차 못했다. 8.15 광복절 때 치르기로 한 준공식도 현재로선 일정대로 소화하기 힘들게 됐다.
민주평통은 올해 9억여원의 예산으로 폭 15m의 진입로를 새로 내기로 했다. 자유총연맹이 들어있는 자유센터 건물 아래로 돌아오던 길이 어둡고 위험해서다.
민주평통 건물은 원래 옛 중앙정보부(국가정보원 전신) 소유로 지어졌다. 정보기관 특성상 진입로는 감춰져 있을수록 좋았다. 그래서 자유총연맹은 민주평통에 이 길을 내줬고 대신 민주평통 소유의 국유지(진입로 예정부지)를 서울클럽에 임대하며 수익사업을 해왔다. 서로가 필요하면 각자 원래 땅을 되돌려주기로 약정도 맺었고 서울클럽과 임대계약은 올해로 끝났다. 하지만 진입로 공사에 들어 갔어야할 이 땅은 여전히 서울클럽 테니트코트와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민주평통은 올 1월 서울클럽에 “공사를 할 테니 4월까지 땅을 비우라”고 통보했다가 거절당했다. 주한 외국인이 주요 회원인 클럽 영업에 방해가 된다는 게 이유였다. 서울클럽이 나중에 ‘공사비를 부담할테니 진입로에 지하통로나 철계단을 내달라’고 요구하자 이번에는 민주평통이 반대했다. 설계에 반영돼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공사는 공전했고 아직 삽 한번 뜨지 못했다.
이쯤되면 땅 주인이자 계약당사자가 나설 차례지만 자유총연맹은 여전히 팔짱만 끼고 있다. ‘잘 해보라’는 식이다. 여기에는 두 기관의 감정싸움이 도사려 있다.
원인은 올 3월 모 일간지와 가진 이재정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인터뷰에 있었다. 이 부의장은 인터뷰에서 “평화통일을 준비하는 헌법기관으로 가는 길이 옛 반공연맹 밑으로 난 길을 지나야 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 그러자 자유총연맹이 발끈했다. 총연맹 관계자는 “피차 마찬가지인 처지에…. 민주평통이라고 우리와 뭐 다를 게 있느냐”고 되받았다.
자유총연맹 전신은 반공연맹이다. 1956년 만들어졌다. 스스로 밝히듯이 이념운동단체로 대표적인 보수단체다. 그런 점에서 이 부의장 말이 전혀 틀린 표현은 아니다.
반면 지금의 민주평통 전신은 통일주체국민회의다.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추진한다는 명목으로 1972년 설치됐다. 하지만 통일보다는 정치에 힘썼다. 무기명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했으며 국회의원의 3분의 1 선출, 헌법개정안의 최종 확정 등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유신시절 박정희를, 신군부가 등장한 직후 전두환을 각각 대통령으로 만든 곳도 이 곳이다. 권위주의 정부 시절로만 따지면 엇비슷한 기관이었고 지금 와서 두 곳 모두 새 역할을 만들어가는 중이다.
두 기관의 감정싸움을 지켜보던 한 관계자는 “
자유총연맹 vs. 민주평통 기싸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가 올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던 진입로 공사가 지지부진하다. 5월초 시작돼야했을 공사는 아직 착공조차 못했다. 8.15 광복절 때 치르기로 한 준공식도 현재로선 일정대로 소화하기 힘들게 됐다.
민주평통은 올해 9억여원의 예산으로 폭 15m의 진입로를 새로 내기로 했다. 자유총연맹이 들어있는 자유센터 건물 아래로 돌아오던 길이 어둡고 위험해서다.
민주평통 건물은 원래 옛 중앙정보부(국가정보원 전신) 소유로 지어졌다. 정보기관 특성상 진입로는 감춰져 있을수록 좋았다. 그래서 자유총연맹은 민주평통에 이 길을 내줬고 대신 민주평통 소유의 국유지(진입로 예정부지)를 서울클럽에 임대하며 수익사업을 해왔다. 서로가 필요하면 각자 원래 땅을 되돌려주기로 약정도 맺었고 서울클럽과 임대계약은 올해로 끝났다. 하지만 진입로 공사에 들어 갔어야할 이 땅은 여전히 서울클럽 테니트코트와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민주평통은 올 1월 서울클럽에 “공사를 할 테니 4월까지 땅을 비우라”고 통보했다가 거절당했다. 주한 외국인이 주요 회원인 클럽 영업에 방해가 된다는 게 이유였다. 서울클럽이 나중에 ‘공사비를 부담할테니 진입로에 지하통로나 철계단을 내달라’고 요구하자 이번에는 민주평통이 반대했다. 설계에 반영돼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공사는 공전했고 아직 삽 한번 뜨지 못했다.
이쯤되면 땅 주인이자 계약당사자가 나설 차례지만 자유총연맹은 여전히 팔짱만 끼고 있다. ‘잘 해보라’는 식이다. 여기에는 두 기관의 감정싸움이 도사려 있다.
원인은 올 3월 모 일간지와 가진 이재정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인터뷰에 있었다. 이 부의장은 인터뷰에서 “평화통일을 준비하는 헌법기관으로 가는 길이 옛 반공연맹 밑으로 난 길을 지나야 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 그러자 자유총연맹이 발끈했다. 총연맹 관계자는 “피차 마찬가지인 처지에…. 민주평통이라고 우리와 뭐 다를 게 있느냐”고 되받았다.
자유총연맹 전신은 반공연맹이다. 1956년 만들어졌다. 스스로 밝히듯이 이념운동단체로 대표적인 보수단체다. 그런 점에서 이 부의장 말이 전혀 틀린 표현은 아니다.
반면 지금의 민주평통 전신은 통일주체국민회의다.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추진한다는 명목으로 1972년 설치됐다. 하지만 통일보다는 정치에 힘썼다. 무기명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했으며 국회의원의 3분의 1 선출, 헌법개정안의 최종 확정 등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유신시절 박정희를, 신군부가 등장한 직후 전두환을 각각 대통령으로 만든 곳도 이 곳이다. 권위주의 정부 시절로만 따지면 엇비슷한 기관이었고 지금 와서 두 곳 모두 새 역할을 만들어가는 중이다.
두 기관의 감정싸움을 지켜보던 한 관계자는 “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