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3월 이후 불법도청은 없었다”는 국정원의 발표가 새로운 의혹을 낳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의 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과거 정 의원이 폭로한 국정원 도청문건 때문이다.
그 동안 도청문건 폭로로 ‘밤의 국정원장’이라는 별칭까지 얻었던 정 의원은 2002년 9~10월 국정원 도청 관련 내용을 폭로했다.
정 의원은 2002년 9월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화 김승연 회장이 실무자들에게 한화갑 민주당 대표와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접촉, (대한생명 인수와 관련) 협조를 요청하라고 지시했고, 김 회장의 요청으로 박지원 청와대 비서실장이 윤진식 재경부 차관에게 ‘한화의 대생인수가 조기 매듭지어질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한화그룹의 로비의혹과 관련한 증거를 모두 갖고 있다”면서 “국정원의 도청 내용은 2002년 9월에 이뤄졌고 국정원 내부 직원이 제보한 것”이라고 폭로했었다.
정 의원은 또 10월에는 당시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검찰 간부에게 전화를 걸어 ‘4000억원 대북지원설’과 관련한 축소수사를 요구한 사실을 국정원이 도청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난 5일 “2002년 3월 이후 불법도청은 없었다”는 국정원의 발표표는 뒤집히게 된다. 전 국정원 직원 김기삼씨(미국 체류)도 정 의원의 폭로 내용을 예로 들며 국정원의 발표를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7일 내일신문과 전화통화에서 “당시 정 의원이 국정원 자료라면서 ‘나와서는 안될’ 사실을 폭로했기 때문에 2002년 10월경 국정원 과학보안국이 폐지됐다”면서 “정 의원이 (국정원 도청과 관련한) 많은 내용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의 ‘입’은 현 정국을 다시 한번 뒤흔들 ‘핵폭탄’이다. 당장 DJ정부에서 불법도청 중단시점이 문제될 뿐 아니라 한화의 대생인수 로비의혹 또한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한화 대생인수 로비의혹과 관련해서는 한나라당 이종구 의원도 세간의 관심거리다. 지난 2002년 한화의 대생인수가 결정될 당시 금감위 상임위원이었던 이 의원은 그 동안 “한화의 대생인수 과정에 탈법이 저질러졌다”며 끊임없이 문제제기했다.
한나라당 전략기획위원장을 맡고 있는 권영세 의원도 ‘불법도청’ 정국에서 관심의 대상이다. YS정권 때 안기부 파견 검사를 지낸 적 있는 권 의원에게 최근 안기부 불법도청과 관련한 제보가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 권 의원은 현재 “국정원의 불법도청이 2003년 봄까지 이뤄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권 의원실 관계자는 “앞으로 국정원의 도청중단 시점에 대한 문제제기를 세게 할 것”이라며 “새로운 내용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그 동안 도청문건 폭로로 ‘밤의 국정원장’이라는 별칭까지 얻었던 정 의원은 2002년 9~10월 국정원 도청 관련 내용을 폭로했다.
정 의원은 2002년 9월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화 김승연 회장이 실무자들에게 한화갑 민주당 대표와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접촉, (대한생명 인수와 관련) 협조를 요청하라고 지시했고, 김 회장의 요청으로 박지원 청와대 비서실장이 윤진식 재경부 차관에게 ‘한화의 대생인수가 조기 매듭지어질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한화그룹의 로비의혹과 관련한 증거를 모두 갖고 있다”면서 “국정원의 도청 내용은 2002년 9월에 이뤄졌고 국정원 내부 직원이 제보한 것”이라고 폭로했었다.
정 의원은 또 10월에는 당시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검찰 간부에게 전화를 걸어 ‘4000억원 대북지원설’과 관련한 축소수사를 요구한 사실을 국정원이 도청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난 5일 “2002년 3월 이후 불법도청은 없었다”는 국정원의 발표표는 뒤집히게 된다. 전 국정원 직원 김기삼씨(미국 체류)도 정 의원의 폭로 내용을 예로 들며 국정원의 발표를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7일 내일신문과 전화통화에서 “당시 정 의원이 국정원 자료라면서 ‘나와서는 안될’ 사실을 폭로했기 때문에 2002년 10월경 국정원 과학보안국이 폐지됐다”면서 “정 의원이 (국정원 도청과 관련한) 많은 내용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의 ‘입’은 현 정국을 다시 한번 뒤흔들 ‘핵폭탄’이다. 당장 DJ정부에서 불법도청 중단시점이 문제될 뿐 아니라 한화의 대생인수 로비의혹 또한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한화 대생인수 로비의혹과 관련해서는 한나라당 이종구 의원도 세간의 관심거리다. 지난 2002년 한화의 대생인수가 결정될 당시 금감위 상임위원이었던 이 의원은 그 동안 “한화의 대생인수 과정에 탈법이 저질러졌다”며 끊임없이 문제제기했다.
한나라당 전략기획위원장을 맡고 있는 권영세 의원도 ‘불법도청’ 정국에서 관심의 대상이다. YS정권 때 안기부 파견 검사를 지낸 적 있는 권 의원에게 최근 안기부 불법도청과 관련한 제보가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 권 의원은 현재 “국정원의 불법도청이 2003년 봄까지 이뤄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권 의원실 관계자는 “앞으로 국정원의 도청중단 시점에 대한 문제제기를 세게 할 것”이라며 “새로운 내용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