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대야공세 수위조절에 들어갔다. 한나라당을 향한 무차별공세에서 ‘강삼재 의원의 검찰출
두’로 공세를 단순화 집중화하고 있다. 이는 곧 한나라당에게 퇴로를 열어주는 한편 안기부예산 전
용을 둘러싼 여야대치국면의 전환을 모색하고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강삼재 의원에 집중하라 =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와 강삼재 의원의 검찰출두, 한나라당의 수사협조
라는 원칙에는 여전히 변화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검찰의 돈받은 정치인에 대한 수사중단을
수용하고 전선을 한나라당과 강삼재 의원에게 집중했다.
선출직 최고위원들의 미국출국으로 간담회로 대체된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중권 대표는 “돈받
은 정치인은 출처를 모르고 받을 수 있다”며 “사건이 핵심인 한나라당과 이를 집행한 강삼재 의원
에 대해 철저하고 성역없는 수사가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민주당은 공식회의와 대변인 성명을 통해 검찰의 돈받은 정치인에 대한 수사중단을 맹비난한
바 있다. “만약 수사가 축소된다면 앞으로 정치권 관련 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치권은 치외법권의 성
역으로 남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고 검찰을 향해 칼날을 세웠었다.
그러나 민주당은 하루만에 이같은 입장을 거둬들이고 강삼재 의원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데로 나
가고있는 것이다.
◇ 안기부 추가비자금 대응 자제 = 전날 언론보도를 통해 새로 드러난 96년도 안기부예산 1000여억
원 비자금 조성혐의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날 민주당은 이와 관련 단 한건
의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김영환 대변인은 “검찰수사 등 사실여부를 확인한 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박상규 사무총장은
“당 차원에서 별도의 대응책을 논의한 바 없다”며 “일을 계속 벌일 수는 없다. 96년 총선자금
지원과 별도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당과의 확전을 자제하고 96년 안기부예산 총선지원문제를 해결하고 넘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이
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조심스런 입장은 96년 예산의 비자금조성 사건이 갖는 폭발력을 고려한 때
문으로 보인다. 만약 사실일 경우 그 사용처가 97년 대선일 수 있고 그렇게 되면 96년 총선자금으
로 지원된 경우와는 사정이 달라진다. 이회창 총재를 직접 겨냥하게 되고 현 정치구도를 뒤흔들 수
있다.
이점 때문에 검찰수사 등을 통해 사실이 밝혀진 뒤 대응해도 늦지않다는 여유가 작용하고 있다.
◇ 강 의원 검찰출두 마지노선 = 민주당은 안기부예산총선지원사건의 해결고리를 강삼재 의원의 검
찰출두로 보고 있다. 당 한 관계자는 이를 ‘마지노선’이라고 표현했다. 이를 관철시키지 못할 경
우 일반 국민정서는 물론 오랫만에 결속됐던 전통적 지지자들마저 다시 등을 돌릴 것으로 보고 있
다.
다른 한편으론 이 정도의 요구도 한나라당으로선 쉽게 수용할 수 없으리란 계산도 작용하고 있다. 이
회창 총재의 직계가 아닌 강 의원이 끝까지 버틸 경우 여론의 눈총에도 불구하고 내치지못할 것이라
는 예상을 하고 있다.
한나라당에게 안기부예산 총선지원 사건의 공을 넘겨 되든 안되든 손해볼게 전혀 없는 꽃놀이패를
승부처에서 만들어낸 셈이다. 손태복 기자 csson@naeil.com
두’로 공세를 단순화 집중화하고 있다. 이는 곧 한나라당에게 퇴로를 열어주는 한편 안기부예산 전
용을 둘러싼 여야대치국면의 전환을 모색하고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강삼재 의원에 집중하라 =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와 강삼재 의원의 검찰출두, 한나라당의 수사협조
라는 원칙에는 여전히 변화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검찰의 돈받은 정치인에 대한 수사중단을
수용하고 전선을 한나라당과 강삼재 의원에게 집중했다.
선출직 최고위원들의 미국출국으로 간담회로 대체된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중권 대표는 “돈받
은 정치인은 출처를 모르고 받을 수 있다”며 “사건이 핵심인 한나라당과 이를 집행한 강삼재 의원
에 대해 철저하고 성역없는 수사가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민주당은 공식회의와 대변인 성명을 통해 검찰의 돈받은 정치인에 대한 수사중단을 맹비난한
바 있다. “만약 수사가 축소된다면 앞으로 정치권 관련 사건이 터질 때마다 정치권은 치외법권의 성
역으로 남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고 검찰을 향해 칼날을 세웠었다.
그러나 민주당은 하루만에 이같은 입장을 거둬들이고 강삼재 의원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데로 나
가고있는 것이다.
◇ 안기부 추가비자금 대응 자제 = 전날 언론보도를 통해 새로 드러난 96년도 안기부예산 1000여억
원 비자금 조성혐의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날 민주당은 이와 관련 단 한건
의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김영환 대변인은 “검찰수사 등 사실여부를 확인한 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박상규 사무총장은
“당 차원에서 별도의 대응책을 논의한 바 없다”며 “일을 계속 벌일 수는 없다. 96년 총선자금
지원과 별도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당과의 확전을 자제하고 96년 안기부예산 총선지원문제를 해결하고 넘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이
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조심스런 입장은 96년 예산의 비자금조성 사건이 갖는 폭발력을 고려한 때
문으로 보인다. 만약 사실일 경우 그 사용처가 97년 대선일 수 있고 그렇게 되면 96년 총선자금으
로 지원된 경우와는 사정이 달라진다. 이회창 총재를 직접 겨냥하게 되고 현 정치구도를 뒤흔들 수
있다.
이점 때문에 검찰수사 등을 통해 사실이 밝혀진 뒤 대응해도 늦지않다는 여유가 작용하고 있다.
◇ 강 의원 검찰출두 마지노선 = 민주당은 안기부예산총선지원사건의 해결고리를 강삼재 의원의 검
찰출두로 보고 있다. 당 한 관계자는 이를 ‘마지노선’이라고 표현했다. 이를 관철시키지 못할 경
우 일반 국민정서는 물론 오랫만에 결속됐던 전통적 지지자들마저 다시 등을 돌릴 것으로 보고 있
다.
다른 한편으론 이 정도의 요구도 한나라당으로선 쉽게 수용할 수 없으리란 계산도 작용하고 있다. 이
회창 총재의 직계가 아닌 강 의원이 끝까지 버틸 경우 여론의 눈총에도 불구하고 내치지못할 것이라
는 예상을 하고 있다.
한나라당에게 안기부예산 총선지원 사건의 공을 넘겨 되든 안되든 손해볼게 전혀 없는 꽃놀이패를
승부처에서 만들어낸 셈이다. 손태복 기자 csso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