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3월까지 부실조합 120개를 통합키로 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농협전북본부 관계자들이 곤혹을
겪고 있다. 통합범위 등에 대한 도내 회원조합관계자들과 농민들의 문의전화로 업무가 마비될 정도
이기 때문이다.
농협중앙회는 지난 20일 농림부 업무보고에서 전국 1387개의 회원조합중 경영부실조합과 농협법상의
설립인가기준에 미달하는 조합 경영약체조합 등 120개조합을 3월까지 선정, 올해중 합병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농협중앙회 방침과 관련, 전북지역 회원조합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지난해 전북지역
130개 회원조합중 30여개가 적자경영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다 특히 지난해 10월 금감위 감사원 등
이 30여 조합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상태여서 자칫 무더기 퇴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
이다.
전북농협 관계자는 "농협구조개선을 위한 근거법령이 마련되지 않은 데다 지난해 결산이 마무리되
지 않은 상태여서 현시점에서의 회원조합 통합논의는 무의미하다"면서도 "지역의 회원조합과 농민들
은 당장 조합이 문을 닫지 않을까 우려, 전화문의를 계속해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고 울상을 지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겪고 있다. 통합범위 등에 대한 도내 회원조합관계자들과 농민들의 문의전화로 업무가 마비될 정도
이기 때문이다.
농협중앙회는 지난 20일 농림부 업무보고에서 전국 1387개의 회원조합중 경영부실조합과 농협법상의
설립인가기준에 미달하는 조합 경영약체조합 등 120개조합을 3월까지 선정, 올해중 합병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농협중앙회 방침과 관련, 전북지역 회원조합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지난해 전북지역
130개 회원조합중 30여개가 적자경영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다 특히 지난해 10월 금감위 감사원 등
이 30여 조합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상태여서 자칫 무더기 퇴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
이다.
전북농협 관계자는 "농협구조개선을 위한 근거법령이 마련되지 않은 데다 지난해 결산이 마무리되
지 않은 상태여서 현시점에서의 회원조합 통합논의는 무의미하다"면서도 "지역의 회원조합과 농민들
은 당장 조합이 문을 닫지 않을까 우려, 전화문의를 계속해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고 울상을 지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