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앞으로의 사회공헌은
행복한 미래를 꿈꾸며 열정적으로 일하는 사람의 모습도 아름답긴 하지만, 무엇보다도 ‘사람의 참된 아름다움’은 ‘나눔을 실천하는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아픔을 나의 고통으로 나누어 받고, 나의 기쁨을 다른 사람의 즐거움으로 나눠 주는 세상에서 우리는 점차 하나가 되고 참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십시일반(十匙一飯)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열 사람이 한 수저씩 떠주면 밥 한 그릇 만들어 또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다.’얻은 떡이 두레 반’이라는 표현도 나눔의 넉넉함을 나타내는 따뜻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우리 전통에는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아 다른 사람을 돕는 풍습이 생활 속에 녹아 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보통 ‘이익의 사회 환원’이나 ‘사회적 책임’으로 해석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이로 인한 기업 자체의 이득도 커 ‘윈-윈(win-win)의 신경영개념’으로 주목 받고 있기도 하다. 직원들이 함께 봉사활동을 하면서 유대관계가 좋아져 일체감이 형성되고, 애사심이 높아져 근본적으로 기업 체질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실제 봉사활동을 경험한 사람들은 대단히 만족스러워 한다고 한다. ‘처음엔 시간 내서 봉사한다는 자기만족이 강했는데, 이웃을 위해 작은 수고를 하다 보니 나의 생활도 돌아보게 되었고, 직장에서 일할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부모님께도 고마움을 새삼 갖게 되었다’는 것이 봉사활동에 참여한 직장인들의 공통된 소감이다.
효성의 경우에도 지난 9월에 사회공헌활동 시행 계획을 밝히고 임직원들의 참가신청을 받은 결과, 내년 3월까지 시행하는 이번 1차 활동에 900명 가까운 임직원들이 참여했다. 효성은 앞으로도 나눔의 문화를 그룹 내에 건전한 기업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행복한 미래를 꿈꾸며 열정적으로 일하는 사람의 모습도 아름답긴 하지만, 무엇보다도 ‘사람의 참된 아름다움’은 ‘나눔을 실천하는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아픔을 나의 고통으로 나누어 받고, 나의 기쁨을 다른 사람의 즐거움으로 나눠 주는 세상에서 우리는 점차 하나가 되고 참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십시일반(十匙一飯)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열 사람이 한 수저씩 떠주면 밥 한 그릇 만들어 또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다.’얻은 떡이 두레 반’이라는 표현도 나눔의 넉넉함을 나타내는 따뜻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우리 전통에는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아 다른 사람을 돕는 풍습이 생활 속에 녹아 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보통 ‘이익의 사회 환원’이나 ‘사회적 책임’으로 해석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이로 인한 기업 자체의 이득도 커 ‘윈-윈(win-win)의 신경영개념’으로 주목 받고 있기도 하다. 직원들이 함께 봉사활동을 하면서 유대관계가 좋아져 일체감이 형성되고, 애사심이 높아져 근본적으로 기업 체질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실제 봉사활동을 경험한 사람들은 대단히 만족스러워 한다고 한다. ‘처음엔 시간 내서 봉사한다는 자기만족이 강했는데, 이웃을 위해 작은 수고를 하다 보니 나의 생활도 돌아보게 되었고, 직장에서 일할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부모님께도 고마움을 새삼 갖게 되었다’는 것이 봉사활동에 참여한 직장인들의 공통된 소감이다.
효성의 경우에도 지난 9월에 사회공헌활동 시행 계획을 밝히고 임직원들의 참가신청을 받은 결과, 내년 3월까지 시행하는 이번 1차 활동에 900명 가까운 임직원들이 참여했다. 효성은 앞으로도 나눔의 문화를 그룹 내에 건전한 기업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