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원장 김병헌·경기DCA)이 야근한 직원에게만 지급해야할 시간외 근무수당을 거의 모든 직원에게 일괄 지급하는 등 예산·회계처리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부천시의회 이재진(38·심곡본동) 의원은 5일 끝난 행정사무감사 강평에서 “경기DCA 회계서류 검토 결과, 시간외 근무수당을 거의 모든 직원에게 매월 45시간씩 일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시간외 근무수당은 잔무처리를 위해 실제 야근 등을 한 직원에게만 지급해야 하는데 초과 근무한 근거서류도 남기지 않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일괄 지급한 것은 부적정한 예산집행”이라고 지적했다.
경기DCA는 전체 31명 직원중 90%가 넘는 직원들에게 매달 시간외 근무수당 지급 한도인 45시간씩 근무한 것으로 처리해 1인당 25~30만원씩, 모두 700여만원을 일괄 지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물품 계약을 하면서 일부 업체로부터 자사견적서와 타업체 견적서를 동일한 팩스번호로 전송받아 비교견적서를 조작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샀다. 이와 함께 11월 중순까지 올해 예산 총액의 40% 이상이 잔액으로 남아 있어 당초 사업계획을 방만하게 수립, 예산낭비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의원은 “일단 확보하고 보자는 식으로 예산을 편성하고 규정에 의해 처리하기 보다 담당자의 재량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회계업무가 추진된 경우가 많았다”며 “재무회계 전반에 대한 철저한 교육 등을 통해 개선하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진흥원 설립 본연의 목적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는 사업계획과 인력운영으로 타 지역 진흥원보다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천시의회 이재진(38·심곡본동) 의원은 5일 끝난 행정사무감사 강평에서 “경기DCA 회계서류 검토 결과, 시간외 근무수당을 거의 모든 직원에게 매월 45시간씩 일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시간외 근무수당은 잔무처리를 위해 실제 야근 등을 한 직원에게만 지급해야 하는데 초과 근무한 근거서류도 남기지 않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일괄 지급한 것은 부적정한 예산집행”이라고 지적했다.
경기DCA는 전체 31명 직원중 90%가 넘는 직원들에게 매달 시간외 근무수당 지급 한도인 45시간씩 근무한 것으로 처리해 1인당 25~30만원씩, 모두 700여만원을 일괄 지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물품 계약을 하면서 일부 업체로부터 자사견적서와 타업체 견적서를 동일한 팩스번호로 전송받아 비교견적서를 조작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샀다. 이와 함께 11월 중순까지 올해 예산 총액의 40% 이상이 잔액으로 남아 있어 당초 사업계획을 방만하게 수립, 예산낭비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의원은 “일단 확보하고 보자는 식으로 예산을 편성하고 규정에 의해 처리하기 보다 담당자의 재량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회계업무가 추진된 경우가 많았다”며 “재무회계 전반에 대한 철저한 교육 등을 통해 개선하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진흥원 설립 본연의 목적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는 사업계획과 인력운영으로 타 지역 진흥원보다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