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어머니는 아버지 역할도 하는데
아버지는 어머니 역할 못해서 문제”
외환위기 직후인 99년 아내와 두 자녀를 미국으로 보내고 수입의 대부분을 유학비로 보내고 월세 40만원의 10평 남짓한 원룸에서 생활하던 50대 ‘기러기 아빠’ 구 모(52)씨의 죽음을 계기로 우리 사회에서 아버지의 모습을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연세대 연세리더십센터의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한국의 아버지를 만나다’라는 주제의 행사이다.
◆평생을 가족부양에 바쳤는데 지금은 왕따 = 건설회사 현장소장인 김선웅(49·가명)씨는 대학생 아들과 딸이 있다. 새벽 5시30분이면 일산의 집에서 나와 현장으로 출근, 저녁 11시가 돼서야 집으로 들어간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부터 해외 건설현장을 나간 이후 집에서 보낸 시간은 15년 동안 6년이 채 안 된다. 김씨는 “평생 가족부양하느라 고생했는데 가족들은 나를 상대해 주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전문가들은 50대이상 아버지들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아버지는 가족 속의 섬 = 연세대 유럽사회문화연구소 이경희 선임연구원은 “아버지는 가족 속에서 섬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가 빠르게 변하면서 아버지의 역할이 경제로만 좁아지고 그만큼 가족안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또 전통적이고 유교적인 가치관을 고집하는 아버지가 스스로 고립을 자초했다는 지적도 있다.
부천YMCA 아버지교실 이돈화 회장은 “예전의 아버지는 가부장적이며 제왕적인 모습이었다”며 “현재의 흔들리는 아버지 모습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해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연세대학교 법학과 3학년 한성우씨는 “우리 원하는 부모의 모습은 ‘퓨전’”이라며 “어머니는 아버지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아버지는 어머니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는 아버지들의 모습을 지적했다.
◆결국 대화가 답이다 = 전문가들은 가족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좁아졌다는 점을 인정하고 쉬운 곳에서 답을 찾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돈화 회장은 “아버지는 슈퍼맨이 아니다”며 “힘들 때는 힘들다고 이야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세대 국문과 4학년 최빛나씨는 “교환학생으로 일본에 갔을 때 문자메세지로 시작해 이-메일을 보내고 나중에는 아빠에게 ‘사랑한다’는 말까지 하게 됐다”며 “현대사회에 맞는 의사소통의 방식을 찾아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경희 연구원은 “가족은 사회의 최소 단위로 아버지의 위기는 가족의 위기이자 사회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며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지 말고 사회적인 차원에서 아버지의 위기를 심도 깊게 진단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아버지는 어머니 역할 못해서 문제”
외환위기 직후인 99년 아내와 두 자녀를 미국으로 보내고 수입의 대부분을 유학비로 보내고 월세 40만원의 10평 남짓한 원룸에서 생활하던 50대 ‘기러기 아빠’ 구 모(52)씨의 죽음을 계기로 우리 사회에서 아버지의 모습을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연세대 연세리더십센터의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한국의 아버지를 만나다’라는 주제의 행사이다.
◆평생을 가족부양에 바쳤는데 지금은 왕따 = 건설회사 현장소장인 김선웅(49·가명)씨는 대학생 아들과 딸이 있다. 새벽 5시30분이면 일산의 집에서 나와 현장으로 출근, 저녁 11시가 돼서야 집으로 들어간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부터 해외 건설현장을 나간 이후 집에서 보낸 시간은 15년 동안 6년이 채 안 된다. 김씨는 “평생 가족부양하느라 고생했는데 가족들은 나를 상대해 주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전문가들은 50대이상 아버지들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아버지는 가족 속의 섬 = 연세대 유럽사회문화연구소 이경희 선임연구원은 “아버지는 가족 속에서 섬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가 빠르게 변하면서 아버지의 역할이 경제로만 좁아지고 그만큼 가족안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또 전통적이고 유교적인 가치관을 고집하는 아버지가 스스로 고립을 자초했다는 지적도 있다.
부천YMCA 아버지교실 이돈화 회장은 “예전의 아버지는 가부장적이며 제왕적인 모습이었다”며 “현재의 흔들리는 아버지 모습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해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연세대학교 법학과 3학년 한성우씨는 “우리 원하는 부모의 모습은 ‘퓨전’”이라며 “어머니는 아버지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아버지는 어머니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는 아버지들의 모습을 지적했다.
◆결국 대화가 답이다 = 전문가들은 가족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좁아졌다는 점을 인정하고 쉬운 곳에서 답을 찾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돈화 회장은 “아버지는 슈퍼맨이 아니다”며 “힘들 때는 힘들다고 이야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세대 국문과 4학년 최빛나씨는 “교환학생으로 일본에 갔을 때 문자메세지로 시작해 이-메일을 보내고 나중에는 아빠에게 ‘사랑한다’는 말까지 하게 됐다”며 “현대사회에 맞는 의사소통의 방식을 찾아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경희 연구원은 “가족은 사회의 최소 단위로 아버지의 위기는 가족의 위기이자 사회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며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지 말고 사회적인 차원에서 아버지의 위기를 심도 깊게 진단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