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전용철씨 사망사건과 관련해 서울경찰청 기동단장이 직위해제 됐지만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더구나 농민단체들은 경찰 책임뿐만 아니라 “참여정부 아래서 과잉진압으로 농민이 죽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고 있어 파문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경찰 관계자는 “12월은 경찰 인사철이지만 농민사망과 로비스트 윤상림 사건 등으로 뒤숭숭한 분위기”라면서 “농민사망사건은 경찰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전용철씨 사망원인 확인은 지속 = 지난 14일 경찰청 최광식 차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전용철씨가 지난달 15일 농민시위 현장에서 부상한 점이 확인됐고 당시 집회에서 일부 기동대원이 방패로 가격했으며 농민 다수가 부상한 책임을 물어 기동단장을 직위해제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경찰은 전용철씨가 경찰 가격에 의한 사망인지는 확인되지 않아 사진과 비디오테이프 분석, 관련자 소환 등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최 차장은 이어 “농민시위 중 부상을 당한 홍덕표(68)씨는 당시 시위현장에서 진압경찰에게 가격을 당해 부상했을 가능성이 현저하다”고 확인했다.
그는 “일부 기동대원들이 방패로 시위대를 타격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인권과 안전’을 최우선시 해야 할 경찰로서 집회에 참석했던 농민이 사망하고 다수 부상자가 발생한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경찰이 이례적으로 과잉진압에 대한 책임을 전격적으로 인정한 것은 경찰 안팎을 둘러싼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경찰청 인권수호위원회가 13일 과잉진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데다 인사철이 다가오고 있고 수사권 조정 갈등, 브로커 윤상림 사건 등이 커지면서 농민사망사건을 조기수습해야 한다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경찰 책임지겠다는 의지 약해” = 하지만 경찰의 사과가 농민단체들의 반발을 가라앉히지는 못하고 있다.
‘고(故) 전용철 농민 살해규탄 범대위’는 14일 “경찰의 이번 발표는 공권력에 의한 폭력살인을 축소 은폐하려는 술책”이라며 “이미 진상이 밝혀졌음에도 그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현장 지휘자에 불과한 기동단장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해 직위해제 하려 한다”고 깍아내렸다.
이들은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허준영 청장이 공식사과하고 스스로 물러나는 결단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찰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사과와 행자부 장관, 경찰청장 등 관련자의 파면과 구속도 요구했다. 단순한 ‘폭력경찰 규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권을 겨냥한 투쟁’을 전개하겠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사건 초기 너무 쉽게 생각한 측면이 있다”며 “생명이 위독한 홍덕표씨가 만약 사망할 경우에는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더구나 농민단체들은 경찰 책임뿐만 아니라 “참여정부 아래서 과잉진압으로 농민이 죽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고 있어 파문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경찰 관계자는 “12월은 경찰 인사철이지만 농민사망과 로비스트 윤상림 사건 등으로 뒤숭숭한 분위기”라면서 “농민사망사건은 경찰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전용철씨 사망원인 확인은 지속 = 지난 14일 경찰청 최광식 차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전용철씨가 지난달 15일 농민시위 현장에서 부상한 점이 확인됐고 당시 집회에서 일부 기동대원이 방패로 가격했으며 농민 다수가 부상한 책임을 물어 기동단장을 직위해제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경찰은 전용철씨가 경찰 가격에 의한 사망인지는 확인되지 않아 사진과 비디오테이프 분석, 관련자 소환 등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최 차장은 이어 “농민시위 중 부상을 당한 홍덕표(68)씨는 당시 시위현장에서 진압경찰에게 가격을 당해 부상했을 가능성이 현저하다”고 확인했다.
그는 “일부 기동대원들이 방패로 시위대를 타격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인권과 안전’을 최우선시 해야 할 경찰로서 집회에 참석했던 농민이 사망하고 다수 부상자가 발생한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경찰이 이례적으로 과잉진압에 대한 책임을 전격적으로 인정한 것은 경찰 안팎을 둘러싼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경찰청 인권수호위원회가 13일 과잉진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데다 인사철이 다가오고 있고 수사권 조정 갈등, 브로커 윤상림 사건 등이 커지면서 농민사망사건을 조기수습해야 한다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경찰 책임지겠다는 의지 약해” = 하지만 경찰의 사과가 농민단체들의 반발을 가라앉히지는 못하고 있다.
‘고(故) 전용철 농민 살해규탄 범대위’는 14일 “경찰의 이번 발표는 공권력에 의한 폭력살인을 축소 은폐하려는 술책”이라며 “이미 진상이 밝혀졌음에도 그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현장 지휘자에 불과한 기동단장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해 직위해제 하려 한다”고 깍아내렸다.
이들은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허준영 청장이 공식사과하고 스스로 물러나는 결단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찰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사과와 행자부 장관, 경찰청장 등 관련자의 파면과 구속도 요구했다. 단순한 ‘폭력경찰 규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권을 겨냥한 투쟁’을 전개하겠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사건 초기 너무 쉽게 생각한 측면이 있다”며 “생명이 위독한 홍덕표씨가 만약 사망할 경우에는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