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61년 창간된 된 지 3개월만에 5·16 쿠데타 군부세력에 의해 폐간됐던 민족일보의 창간 기념행사가 45년만에 열린다.
민족일보 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조용준)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숭동 흥사단 강당에서 ‘민족일보 창간 45주년 기념행사’를 연다. 또 군부세력에 의해 사형된 고 조용수 사장(사진)의 명예회복과 정부의 사건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다.
진상규명위원회는 “민족일보 진상규명 작업이 관련자 비협조와 정권 당국자의 망각으로 번번이 한계에 부딪쳤다”며 “현 정부에서 인혁당 재건위사건과 동백림사건이 조작이라고 확인됐듯 민족일보사건 진상도 정부의 조사를 통해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조용준 진상규명위원장은 국가폭력피해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공동신청서를 국가진실규명위원회에 접수했다. 조 위원장은 진실규명위의 판정을 계기로 재심을 청구할 예정이다.
민족일보 사건이라 1961년 5·16 군사쿠데타 직후 군부세력이 민족일보를 강제 폐간하고, 북한으로부터 신문자금을 받았다는 혐의로 조용수 사장을 사형에 처한 일을 말한다.
민족일보는 당시 최고부수 신문이었던 동아일보와 경쟁하며 발행부수가 4만5000부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특히 4·19 혁명 이후 지식세력이 결집하는 창구 역할을 맡았다.
/전예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민족일보 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조용준)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숭동 흥사단 강당에서 ‘민족일보 창간 45주년 기념행사’를 연다. 또 군부세력에 의해 사형된 고 조용수 사장(사진)의 명예회복과 정부의 사건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다.
진상규명위원회는 “민족일보 진상규명 작업이 관련자 비협조와 정권 당국자의 망각으로 번번이 한계에 부딪쳤다”며 “현 정부에서 인혁당 재건위사건과 동백림사건이 조작이라고 확인됐듯 민족일보사건 진상도 정부의 조사를 통해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조용준 진상규명위원장은 국가폭력피해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공동신청서를 국가진실규명위원회에 접수했다. 조 위원장은 진실규명위의 판정을 계기로 재심을 청구할 예정이다.
민족일보 사건이라 1961년 5·16 군사쿠데타 직후 군부세력이 민족일보를 강제 폐간하고, 북한으로부터 신문자금을 받았다는 혐의로 조용수 사장을 사형에 처한 일을 말한다.
민족일보는 당시 최고부수 신문이었던 동아일보와 경쟁하며 발행부수가 4만5000부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특히 4·19 혁명 이후 지식세력이 결집하는 창구 역할을 맡았다.
/전예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