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활성화자금 500억원·지역산업발전자금 600억원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김칠두 www.kicox.or.kr)은 산업단지 입주기업체의 자금난 해소와 지역특화사업 육성을 위해 1100억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한다.
올해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산업단지활성화자금은 500억원 규모로 공장 신축 및 개·증축비, 시설 및 기자재 구입비와 공장구입비 등의 시설 및 운전자금을 업체당 20억원 이내의 규모로 지원하게 된다.
산업단지활성화자금은 융자금리 5.0%(대기업의 경우 0.25% 가산금리 적용)에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이다. 지역산업발전자금은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특화사업을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을 지원한다. 이는 △대구·경북의 섬유산업, 나노·모바일·생물산업, 메카트로닉스산업 △부산의 신발산업, 부품·소재산업, 해양생물산업 △광주의 광산업, 전자부품산업 △경남의 기계․로봇산업, 지능형 홈네트워크산업, 생물화학산업 등의 4개지역 진흥사업과 △대전의 바이오산업(의약포함), 고주파부품 산업, 지능형로봇산업 △충북의 보건의료산업, 생물의약산업, 전자정보산업(반도체부품포함) △충남의 디스플레이산업(반도체부품포함), 영상미디어 산업, 동물자원산업 △전북의 자동차부품산업, 기계산업 △전남의 바이오산업(식품포함), 신소재 산업 △제주의 바이오 산업 △울산의 자동차 부품․정밀화학, 경북의 전자정보 산업, 생물건강산업, 해양생명환경산업 △강원의 바이오산업, 의료기기산업, 해양생물산업 등의 9개지역 진흥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역특화사업별 자금을 지원하게 된다.
지역산업발전자금은 융자금리가 4.4%(대기업의 경우 0.25% 가산금리 적용)인 점을 제외하고는 산업단지활성화자금과 동일하다.
산단공은 신속한 자금지원을 위하여 산업단지 현장에서 직접 관할하는 지역본부 및 지사(부)별로 접수를 받으며, 기간은 3월 15일까지이다.
한국산업단지 홈페이지(www.kicox.or.kr)와 ‘산학연 통합정보망’(www.e-cluster.net)에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김칠두 www.kicox.or.kr)은 산업단지 입주기업체의 자금난 해소와 지역특화사업 육성을 위해 1100억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한다.
올해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산업단지활성화자금은 500억원 규모로 공장 신축 및 개·증축비, 시설 및 기자재 구입비와 공장구입비 등의 시설 및 운전자금을 업체당 20억원 이내의 규모로 지원하게 된다.
산업단지활성화자금은 융자금리 5.0%(대기업의 경우 0.25% 가산금리 적용)에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이다. 지역산업발전자금은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특화사업을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을 지원한다. 이는 △대구·경북의 섬유산업, 나노·모바일·생물산업, 메카트로닉스산업 △부산의 신발산업, 부품·소재산업, 해양생물산업 △광주의 광산업, 전자부품산업 △경남의 기계․로봇산업, 지능형 홈네트워크산업, 생물화학산업 등의 4개지역 진흥사업과 △대전의 바이오산업(의약포함), 고주파부품 산업, 지능형로봇산업 △충북의 보건의료산업, 생물의약산업, 전자정보산업(반도체부품포함) △충남의 디스플레이산업(반도체부품포함), 영상미디어 산업, 동물자원산업 △전북의 자동차부품산업, 기계산업 △전남의 바이오산업(식품포함), 신소재 산업 △제주의 바이오 산업 △울산의 자동차 부품․정밀화학, 경북의 전자정보 산업, 생물건강산업, 해양생명환경산업 △강원의 바이오산업, 의료기기산업, 해양생물산업 등의 9개지역 진흥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역특화사업별 자금을 지원하게 된다.
지역산업발전자금은 융자금리가 4.4%(대기업의 경우 0.25% 가산금리 적용)인 점을 제외하고는 산업단지활성화자금과 동일하다.
산단공은 신속한 자금지원을 위하여 산업단지 현장에서 직접 관할하는 지역본부 및 지사(부)별로 접수를 받으며, 기간은 3월 15일까지이다.
한국산업단지 홈페이지(www.kicox.or.kr)와 ‘산학연 통합정보망’(www.e-cluster.net)에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