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 등 15개 제약업체 16개 제조공장이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실태(GMP)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에 태극약품공업 등 23개 제약사들은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부터 시행된 GMP 차등평가제에 따라 205개 GMP 제조업소를 대상으로 내용고형제, 주사제, 내용액제, 연고제, 외용액제, 점안제, 페니실린제 등 의약품 제형별로 평가한 결과를 27일 밝혔다.
최상위 등급인 ‘우수 등급’을 받은 15개 업체 가운데 종근당과 한독약품, 동아제약, 한국베링거인겔하임, SK케미칼, 한국얀센, LG생명과학, 한국쉐링, 대웅제약 등 9개 업체는 2개 이상의 제형에서 우수 등급을 받았다.
특히 종근당은 6개 제형 모두 우수등급을 받았고 한독약품은 5개 제형에서 최상위 등급을 받았다.
이밖에 녹십자, 동국제약, 동화약품공업, 태평양제약, 한국로슈, 한국MSD 등은 1개 제형에서 우수 등급을 받았다.
반면, 최하위인 ‘집중 관리’ 등급을 받은 23개 업체 가운데 태극약품공업, 목산약품, 대일화학공업, 경인제약 등 4개 업체는 2개 이상의 제형에서 최하위로 평가됐다. 태극약품공업은 4개 제형 모두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이밖에 경방신약 등 19개 업체는 1개 제형에서 최하위 평가를 받았다.
식약청은 이번 차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www.kfda.go.kr)에 공개했다.
국내 GMP 업소는 모두 227곳으로 휴업·폐업하거나 공장을 이전한 22곳은 이번평가에서 제외됐다.
GMP 차등평가제는 업체들에 대해 ‘우수’, ‘양호’, ‘보통’, ‘개선 필요’, ‘집중관리’ 등 5개 등급을 매겨 업체들을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이다. 우수 등급을 받은 업체는 약사감시가 자율점검으로 대체되는 등 인센티브가 부여되지만 ‘집중관리’ 등급을 2년 연속 받으면 제조정지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받게 된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부터 시행된 GMP 차등평가제에 따라 205개 GMP 제조업소를 대상으로 내용고형제, 주사제, 내용액제, 연고제, 외용액제, 점안제, 페니실린제 등 의약품 제형별로 평가한 결과를 27일 밝혔다.
최상위 등급인 ‘우수 등급’을 받은 15개 업체 가운데 종근당과 한독약품, 동아제약, 한국베링거인겔하임, SK케미칼, 한국얀센, LG생명과학, 한국쉐링, 대웅제약 등 9개 업체는 2개 이상의 제형에서 우수 등급을 받았다.
특히 종근당은 6개 제형 모두 우수등급을 받았고 한독약품은 5개 제형에서 최상위 등급을 받았다.
이밖에 녹십자, 동국제약, 동화약품공업, 태평양제약, 한국로슈, 한국MSD 등은 1개 제형에서 우수 등급을 받았다.
반면, 최하위인 ‘집중 관리’ 등급을 받은 23개 업체 가운데 태극약품공업, 목산약품, 대일화학공업, 경인제약 등 4개 업체는 2개 이상의 제형에서 최하위로 평가됐다. 태극약품공업은 4개 제형 모두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이밖에 경방신약 등 19개 업체는 1개 제형에서 최하위 평가를 받았다.
식약청은 이번 차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www.kfda.go.kr)에 공개했다.
국내 GMP 업소는 모두 227곳으로 휴업·폐업하거나 공장을 이전한 22곳은 이번평가에서 제외됐다.
GMP 차등평가제는 업체들에 대해 ‘우수’, ‘양호’, ‘보통’, ‘개선 필요’, ‘집중관리’ 등 5개 등급을 매겨 업체들을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이다. 우수 등급을 받은 업체는 약사감시가 자율점검으로 대체되는 등 인센티브가 부여되지만 ‘집중관리’ 등급을 2년 연속 받으면 제조정지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받게 된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