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의 한 로봇제조업체가 국내 최초로 달리는 로봇을 개발했다.
부천테크노파크 로봇산업연구단지에 있는 ‘로보티즈(대표 김병수)’는 한 시간에 500m를 뛰어서 이동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지능형 로봇) ‘RX(개발명)’를 개발, 1차 시연을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RX는 국내 최초로 달리기에 성공한 로봇이며 세계적으로는 2003년 소니가 개발한 ‘큐리오’에 이어 두 번째다.
이 로봇은 키 58㎝, 몸무게 5.9㎏으로 한 시간에 달려서 500m, 걸어서 290m를 이동하고 1000분의 55초 동안 공중에 떠 있을 수도 있다.
몸에 25개의 관절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장착한 PDA로 간단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복잡한 기능은 무선 랜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수행한다. 이처럼 외부에서 원격조정이 가능해 비서나 경비 등으로 응용할 수 있는데다 작은 용량의 배터리로도 동작이 가능해 일본의 ‘큐리오’보다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로보티즈(www.robotis.com)는 정보통신부 지원 등을 받아 1년여 동안 10억여원을 투입해 로봇을 개발했다. 지난 1994년 설립된 이 회사는 전투용 로봇 ‘토마’를 비롯해 애완용로봇 ‘디디&티티’, 교육용 로봇 등을 개발해 온 유망벤처기업이다.
김병수 사장은 “내부에는 상용화된 PDA를 내장하고 외부의 컴퓨터에서 동작명령이 가능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상록 정통부 프로젝트매니저는 “휴머노이드의 실용화를 위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화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천테크노파크 로봇산업연구단지에 있는 ‘로보티즈(대표 김병수)’는 한 시간에 500m를 뛰어서 이동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지능형 로봇) ‘RX(개발명)’를 개발, 1차 시연을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RX는 국내 최초로 달리기에 성공한 로봇이며 세계적으로는 2003년 소니가 개발한 ‘큐리오’에 이어 두 번째다.
이 로봇은 키 58㎝, 몸무게 5.9㎏으로 한 시간에 달려서 500m, 걸어서 290m를 이동하고 1000분의 55초 동안 공중에 떠 있을 수도 있다.
몸에 25개의 관절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장착한 PDA로 간단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복잡한 기능은 무선 랜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수행한다. 이처럼 외부에서 원격조정이 가능해 비서나 경비 등으로 응용할 수 있는데다 작은 용량의 배터리로도 동작이 가능해 일본의 ‘큐리오’보다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로보티즈(www.robotis.com)는 정보통신부 지원 등을 받아 1년여 동안 10억여원을 투입해 로봇을 개발했다. 지난 1994년 설립된 이 회사는 전투용 로봇 ‘토마’를 비롯해 애완용로봇 ‘디디&티티’, 교육용 로봇 등을 개발해 온 유망벤처기업이다.
김병수 사장은 “내부에는 상용화된 PDA를 내장하고 외부의 컴퓨터에서 동작명령이 가능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상록 정통부 프로젝트매니저는 “휴머노이드의 실용화를 위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화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