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안정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신학기를 맞아 납입금과 학원비 등이 크게 올랐지만 농축산물 값은 내려 전년동월대비 2.0% 올랐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0% 상승했다. 이 상승률은 지난해 8월 2.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월에 비해 0.5% 올랐고 올들어 지난달까지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 상승했다.
통계청은 채소류와 과실류 등의 공급 증가로 농축수산물이 내렸으나 신학기를 맞아 각급 학교의 납입금, 학원비 등 공공 및 개인서비스 부문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납입금과 학원비 등 교육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 앞선 2월에 비해서는 3.7% 상승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양파(22.0%), 토마토(12.1%), 닭고기(10.3%), 유치원 납입금(8.2%), 대학원 납입금(7.3%), 사립대 납입금(7.0%), 국공립대 납입금(6.8%), 전문대 납입금(6.8%), 종합반 입시학원비(3.6%) 등이 전월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보육시설 이용료(5.2%), 학교급식비(3.1%), 전세(0.1%), 보일러수리비(1.6%) 등 도 전월보다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시금치(-29.1%), 상추(-17.1%), 미나리(-15.7%), 딸기(-10.8%), 수입쇠 갈비(-5.3%), 등유(-1.3%) 등은 내림세를 나타냈다.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156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전월에 비해서는 0.6% 각각 올랐다.
생활물가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02년 10월 2.2% 이후 최저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통계청이 3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0% 상승했다. 이 상승률은 지난해 8월 2.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월에 비해 0.5% 올랐고 올들어 지난달까지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 상승했다.
통계청은 채소류와 과실류 등의 공급 증가로 농축수산물이 내렸으나 신학기를 맞아 각급 학교의 납입금, 학원비 등 공공 및 개인서비스 부문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납입금과 학원비 등 교육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 앞선 2월에 비해서는 3.7% 상승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양파(22.0%), 토마토(12.1%), 닭고기(10.3%), 유치원 납입금(8.2%), 대학원 납입금(7.3%), 사립대 납입금(7.0%), 국공립대 납입금(6.8%), 전문대 납입금(6.8%), 종합반 입시학원비(3.6%) 등이 전월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보육시설 이용료(5.2%), 학교급식비(3.1%), 전세(0.1%), 보일러수리비(1.6%) 등 도 전월보다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시금치(-29.1%), 상추(-17.1%), 미나리(-15.7%), 딸기(-10.8%), 수입쇠 갈비(-5.3%), 등유(-1.3%) 등은 내림세를 나타냈다.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156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전월에 비해서는 0.6% 각각 올랐다.
생활물가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02년 10월 2.2% 이후 최저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