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엔환율 급락 … 중소기업 89.2%, 수출감소 전망
사업조정 불가피 … 87.2% 수출분 한계상황 도달
중소수출기업들은 원엔환율 급락으로 대일 수출의 채산성 악화와 수출감소를 우려했다.
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현오석)가 지난 2월 지난해 대일 수출실적이 10만불 이상인 업체 102개사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9.2%가 2006년 대일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수출이 10%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4.7%에 달했다. 반면 ‘변화없다’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10.8%에 불과했다. 업종별로 보면 1차 상품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연구소에 따르면 2004년 12월 1012원이던 원-100엔 환율은 1년 후 859원으로 급락했고 2006년 3월 현재 835원으로 떨어졌다.
2006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면서 책정한 원-엔환율이 100엔당 ‘900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중소수출업체는 54.9%, 820원 미만과 820~840원 미만으로 사업계획 환율을 책정한 업체는 각각 1.0%와 6.9%에 불과했다. 최근 환율 수준(100엔당 830원대)을 고려하면 10개사 중 9개사 이상이 사업계획 조정이 불가피한 것이다.
최근 원엔환율 하락이 중소기업 기존 수출분의 채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87.2%가 기수출분이 한계상황에 도달했거나, 적자로 전환됐다고 응답했다. 일정수준의 마진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은 10.8%에 머물렀다.
신규수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의 39.2%가 채산성이 맞지 않아 신규오더 받는 것을 포기하거나 수출물량을 축소할 것이라는 응답했다. 44.1%는 적자수출에도 불구하고 바이어와의 거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수출을 그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업종별로 보면 1차산품은 수출물량 축소가, 중화학과 경공업은 출혈수출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원엔환율 하락 부분을 수출가격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업체의 59.8%가 수출가격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37.3%는 일정부분만을 반영한다고 응답했다. 수출가격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바이어가 응해주지 않아서’와 ‘경쟁국과 경쟁력 약화 우려 때문’이라는 응답이 각각 42.6%, 41.0%로 조사됐다.
이러한 현상은 올해 1월 들어 한국은 5.3% 감소한 반면 중국과 미국의 대일수출이 각각 7.5%, 6.0%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수출비중이 일본의 경우 50.3%로 중국 33.9%, 미국 33.6% 등에 매우 높아 중소기업의 대일수출의 경쟁력 상실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무역협회는 “현재의 원엔환율 수준은 대일 중소기업에게 감내하기 힘든 상황인 만큼 원엔환율 안정은 절대적이며 동시에 대일 중소수출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및 수출시장개척 지원 등 미시적 차원에서의 지원정책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사업조정 불가피 … 87.2% 수출분 한계상황 도달
중소수출기업들은 원엔환율 급락으로 대일 수출의 채산성 악화와 수출감소를 우려했다.
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현오석)가 지난 2월 지난해 대일 수출실적이 10만불 이상인 업체 102개사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9.2%가 2006년 대일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수출이 10%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4.7%에 달했다. 반면 ‘변화없다’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10.8%에 불과했다. 업종별로 보면 1차 상품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연구소에 따르면 2004년 12월 1012원이던 원-100엔 환율은 1년 후 859원으로 급락했고 2006년 3월 현재 835원으로 떨어졌다.
2006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면서 책정한 원-엔환율이 100엔당 ‘900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중소수출업체는 54.9%, 820원 미만과 820~840원 미만으로 사업계획 환율을 책정한 업체는 각각 1.0%와 6.9%에 불과했다. 최근 환율 수준(100엔당 830원대)을 고려하면 10개사 중 9개사 이상이 사업계획 조정이 불가피한 것이다.
최근 원엔환율 하락이 중소기업 기존 수출분의 채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87.2%가 기수출분이 한계상황에 도달했거나, 적자로 전환됐다고 응답했다. 일정수준의 마진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은 10.8%에 머물렀다.
신규수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의 39.2%가 채산성이 맞지 않아 신규오더 받는 것을 포기하거나 수출물량을 축소할 것이라는 응답했다. 44.1%는 적자수출에도 불구하고 바이어와의 거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수출을 그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업종별로 보면 1차산품은 수출물량 축소가, 중화학과 경공업은 출혈수출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원엔환율 하락 부분을 수출가격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업체의 59.8%가 수출가격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37.3%는 일정부분만을 반영한다고 응답했다. 수출가격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바이어가 응해주지 않아서’와 ‘경쟁국과 경쟁력 약화 우려 때문’이라는 응답이 각각 42.6%, 41.0%로 조사됐다.
이러한 현상은 올해 1월 들어 한국은 5.3% 감소한 반면 중국과 미국의 대일수출이 각각 7.5%, 6.0%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수출비중이 일본의 경우 50.3%로 중국 33.9%, 미국 33.6% 등에 매우 높아 중소기업의 대일수출의 경쟁력 상실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무역협회는 “현재의 원엔환율 수준은 대일 중소기업에게 감내하기 힘든 상황인 만큼 원엔환율 안정은 절대적이며 동시에 대일 중소수출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및 수출시장개척 지원 등 미시적 차원에서의 지원정책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