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교수는 21일 삼성생명 휴먼센터에서 열린 ‘금융기관 최고경영자 연찬회’에서 정부·은
행 등에 잇달아 강한 독설을 퍼부었다.
김 교수의 첫 화살은 은행을 겨냥했다. 김 교수는 “외국인들과 얘기해보면 한국에는 뱅커보다 뱅크
가 많다고 얘기한다”면서 “이는 결국 마땅한 CEO감이 없다는 얘기”라고 밝혔다.
김병주 교수는 “은행의 CEO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각종 청탁에 좌우돼서는 곤란하다”며 “은행
경영을 단계적으로 해도 안되고 세계의 흐름을 적절히 알아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은행장의 자질과 관련 “은행의 CEO는 국제적 자질이 있어야 한다”며 “외국인 투자
자들이 얘기하는 숨은 의도까지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외국인
들이 이런 부분들을 지적할 때 반박할만한 입장이 안되더라”며 “지금 내 얘기가 기분 나쁠 수도 있
지만 각자 분발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정부의 금융정책에 대해서도 거듭 주장을 폈다. 김 교수는 정부의 국민·주택은행 지
분 보유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과 관련해 정부는
보유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기회임에도 합병은행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 이를 유보하고 있다”고 지
적하고 “정부는 이들 은행의 지분을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양 은행주가가 높은데 이를 정부가 매각하면 이익도 많이 나고 공적자금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이를 팔지 않는 것은 이들 은행에 개입을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또 “정부는 신뢰를 구축하는 작업을 해야한다”고 전제한 뒤 “서울보증보험의 재정난을 못
메우고 금융기관에 피해를 준다면 누가 정부를 믿겠는지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
다. 금감원과 관련 “감독기관은 건전성 감독에 초점을 맞춰야”하고 “인사청탁 등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감독기관의 도덕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체신금융과 관련, “민간금융기관을 체신금융이 약올리고 있다”며 “정부가 왜 그대로
두는지 모르겠다. 이것은 명백히 불공정거래가 아닌가. 체신금융은 예금뿐 만이 아니라 공제 형식으
로 보험까지 취급하고 있다. 이들을 조속한 시간내에 독립부서로 만들어 민영화해야 한다. 세계주요
국가는 대부분 이러한 상태다. 단, 일본에서만 그렇지 않은데 나쁜점은 배울 필요가 없다”고 조목조
목 지적했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행 등에 잇달아 강한 독설을 퍼부었다.
김 교수의 첫 화살은 은행을 겨냥했다. 김 교수는 “외국인들과 얘기해보면 한국에는 뱅커보다 뱅크
가 많다고 얘기한다”면서 “이는 결국 마땅한 CEO감이 없다는 얘기”라고 밝혔다.
김병주 교수는 “은행의 CEO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각종 청탁에 좌우돼서는 곤란하다”며 “은행
경영을 단계적으로 해도 안되고 세계의 흐름을 적절히 알아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은행장의 자질과 관련 “은행의 CEO는 국제적 자질이 있어야 한다”며 “외국인 투자
자들이 얘기하는 숨은 의도까지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외국인
들이 이런 부분들을 지적할 때 반박할만한 입장이 안되더라”며 “지금 내 얘기가 기분 나쁠 수도 있
지만 각자 분발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정부의 금융정책에 대해서도 거듭 주장을 폈다. 김 교수는 정부의 국민·주택은행 지
분 보유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과 관련해 정부는
보유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기회임에도 합병은행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 이를 유보하고 있다”고 지
적하고 “정부는 이들 은행의 지분을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양 은행주가가 높은데 이를 정부가 매각하면 이익도 많이 나고 공적자금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이를 팔지 않는 것은 이들 은행에 개입을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또 “정부는 신뢰를 구축하는 작업을 해야한다”고 전제한 뒤 “서울보증보험의 재정난을 못
메우고 금융기관에 피해를 준다면 누가 정부를 믿겠는지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
다. 금감원과 관련 “감독기관은 건전성 감독에 초점을 맞춰야”하고 “인사청탁 등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감독기관의 도덕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체신금융과 관련, “민간금융기관을 체신금융이 약올리고 있다”며 “정부가 왜 그대로
두는지 모르겠다. 이것은 명백히 불공정거래가 아닌가. 체신금융은 예금뿐 만이 아니라 공제 형식으
로 보험까지 취급하고 있다. 이들을 조속한 시간내에 독립부서로 만들어 민영화해야 한다. 세계주요
국가는 대부분 이러한 상태다. 단, 일본에서만 그렇지 않은데 나쁜점은 배울 필요가 없다”고 조목조
목 지적했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