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자국산 칼로스 쌀의 한국내 저조한 유통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장 개선 문제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부는 18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지난 14일 최소시장접근(MMA) 물량 쌀 수입에 대한 양국간 연례 협의회에서 포장규격 등의 개선방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밝혔다.
현재 밥쌀용 수입쌀은 10㎏과 20㎏짜리 포장 단위로 수입되고 있으나 미국은 국내 소비자들이 쉽게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장 단위를 소량화·세분화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미국은 2005년도분에 이은 2006년도분 밥쌀용 수입물량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면서 가능한한 조기에 물량과 일정을 통고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와 관련, 농림부는 그동안 미국 쌀의 저조한 판매가 소비자의 낮은 선호도 때문인 점을 강조하고 2006년도분 수입물량은 가급적 정상적인 일정에 맞춰 수입을 추진할 것이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한편 2005년도분 밥쌀용 수입쌀 2만1564톤 중 지난 14일 현재 판매량은 67.4%인 1만4533톤이며 나라별로는 중국산이 1만2767톤 중 1만2682톤(99.3%)이 팔려 판매 속도가 가장 빠르고 미국산은 5504톤 중 1683톤(30.6%), 태국산은 3293톤중 168톤(5.1%)이 각각 판매됐다.
성홍식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농림부는 18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지난 14일 최소시장접근(MMA) 물량 쌀 수입에 대한 양국간 연례 협의회에서 포장규격 등의 개선방안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밝혔다.
현재 밥쌀용 수입쌀은 10㎏과 20㎏짜리 포장 단위로 수입되고 있으나 미국은 국내 소비자들이 쉽게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장 단위를 소량화·세분화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미국은 2005년도분에 이은 2006년도분 밥쌀용 수입물량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면서 가능한한 조기에 물량과 일정을 통고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와 관련, 농림부는 그동안 미국 쌀의 저조한 판매가 소비자의 낮은 선호도 때문인 점을 강조하고 2006년도분 수입물량은 가급적 정상적인 일정에 맞춰 수입을 추진할 것이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한편 2005년도분 밥쌀용 수입쌀 2만1564톤 중 지난 14일 현재 판매량은 67.4%인 1만4533톤이며 나라별로는 중국산이 1만2767톤 중 1만2682톤(99.3%)이 팔려 판매 속도가 가장 빠르고 미국산은 5504톤 중 1683톤(30.6%), 태국산은 3293톤중 168톤(5.1%)이 각각 판매됐다.
성홍식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