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중 절반 가량은 노후대비 자금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지역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노후대책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 ‘노후준비 자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직장인이 42.4%, ‘생각해 본적이 없다’는 직장인이 2.5%인 것으로 조사돼 44.9%가 현재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5월 조사 때보다 9.5%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 노후대책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취업난에 따른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기 지연’(20대) ‘결혼과 주택마련 연령 상승’(20~30대), ‘사교육비 및 세금 증가’(40~50대) 등으로 실제 노후를 대비할 경제력은 부족한데 따른 것이라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전 연령대에 걸쳐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20대는 51.1%에서 61.6%로, 30대는 35.2%에서 45.0%로 늘어났으며, 40대는 25.1%에서 32.8%로, 50대는 27.7%에서 37.4%로 증가했다.
노후 준비는 못하지만 노후 대비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금 규모는 더 늘었다.
지난해의 조사에서는 노후를 위해 3억원 이상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의 72.1%를 차지했지만 올해는 80%로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3억~4억미만’이라는 답변이 30%로 가장 많았고, ‘5억~7억 미만’이 17.8%, ‘7억 이상’이라는 응답도 17.4%나 됐다.
희망 은퇴연령에 대해서는 20대가 50.9세, 30대가 55.2세, 40대가 60.8세, 50대가 63.3세로 답해 나이가 많을수록 더 늦은 나이까지 일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자금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직장인들은 저축·이자소득(34.2%)을 가장 많이 꼽았고, 개인연금(22.7%), 국민연금(17.7%), 부동산 임대료(11.8%), 퇴직금(6.8%) 등이 뒤를 이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지역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노후대책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 ‘노후준비 자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직장인이 42.4%, ‘생각해 본적이 없다’는 직장인이 2.5%인 것으로 조사돼 44.9%가 현재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5월 조사 때보다 9.5%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 노후대책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취업난에 따른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기 지연’(20대) ‘결혼과 주택마련 연령 상승’(20~30대), ‘사교육비 및 세금 증가’(40~50대) 등으로 실제 노후를 대비할 경제력은 부족한데 따른 것이라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전 연령대에 걸쳐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20대는 51.1%에서 61.6%로, 30대는 35.2%에서 45.0%로 늘어났으며, 40대는 25.1%에서 32.8%로, 50대는 27.7%에서 37.4%로 증가했다.
노후 준비는 못하지만 노후 대비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금 규모는 더 늘었다.
지난해의 조사에서는 노후를 위해 3억원 이상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의 72.1%를 차지했지만 올해는 80%로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3억~4억미만’이라는 답변이 30%로 가장 많았고, ‘5억~7억 미만’이 17.8%, ‘7억 이상’이라는 응답도 17.4%나 됐다.
희망 은퇴연령에 대해서는 20대가 50.9세, 30대가 55.2세, 40대가 60.8세, 50대가 63.3세로 답해 나이가 많을수록 더 늦은 나이까지 일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자금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직장인들은 저축·이자소득(34.2%)을 가장 많이 꼽았고, 개인연금(22.7%), 국민연금(17.7%), 부동산 임대료(11.8%), 퇴직금(6.8%) 등이 뒤를 이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