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집단 이주 발상 ‘잘못’
국고 지원 기대도 어려워
박준영 전남지사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행복마을 조성 계획’이 시작전부터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공무원마저도 ‘행복마을 조성 계획’에 반대하고 있어 사업 추진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박 지사는 취임과 동시에 빈집이 늘어가는 농촌 주거형태 개선방안으로 ‘행복마을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전남 도내 빈집은 전체 농가의 2.9%를 차지하는 1만1491동. 빈집이 30% 이상인 마을도 104개 마을(전체 마을의 1.6%)이나 된다.
전남도는 특히 노인들이 자연마을 별로 거주해서 복지서비스 비용이 과다 소요된다며 ‘행복마을 조성 계획’을 서두르고 있다.
이 계획에 따라 이달 초까지 ‘행복마을과’가 신설되고, 실태 조사를 거쳐 ‘면소재지 재개발형’ ‘마을 통합형’ ‘기존 마을 정비형’ 등으로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이 중 전남도가 유력하게 검토하는 방안은 ‘면소재지 재개발형’이다. 면소재지 재개발형은 빈집이 많은 곳에 사는 주민들을 면 소재지로 이주시키고, 이곳에 도서관·목욕탕·병원 등을 확충, 생활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이다.
◆탁상행정 ‘비판 제기’ = 이 같은 계획이 알려지자 주민실태 조사도 없이 사업을 졸속 추진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주민 이주 대책이다.
몇 십년동안 한 곳에 살며, 삶의 터전을 일궈 온 주민들이 면소재지로 쉽게 이주하겠냐는 지적이다. 박광서 전남대 교수는 “정부가 추진했던 정주권 개발계획도 실패했다”며 “수요도 조사조차 없이 이런 계획을 만든 것 자체가 황당하다”고 지적했다.
시·군 공무원도 박 교수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
무안군 한 공무원은 “주민들을 이전시킨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라며 “차라리 면소재지에 도서관·목욕탕·병원 등을 갖춘 휴양시설을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고 대안까지 제시했다.
◆재원조달도 문제 = 재원조달 방안도 석연치 않다. 전남도는 재원조달 방안으로 △정부 각 부처 ‘농어촌마을 정비사업’ 집중 배정 요청 △행정자치부가 추진하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시범사업에 ‘행복마을 조성 계획’을 포함시켜, 재원을 요청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양수 행정혁신국장은 “재원은 국비와 도비로 조달되며, 업무는 각 실·과 사업을 통·폐합해서 추진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구상 역시 여의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도가 기대하는 행자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사업은 아직 구상 단계에 있으며, 정부 각 부처 ‘농어촌마을 정비사업’이 전남에 집중 배정될 가능성도 희박하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한 관계자는 “예산을 한 지역에만 집중 배정할 수 없다는 것은 전남도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전남도 예산 확보계획에 회의적 반응을 나타냈다.
◆공직사회도 ‘시큰둥’ = 행복마을 조성사업은 공무원들도 반대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행정 혁신방안을 연구, ‘조직·인사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공무원들은 ‘농촌마을 정비사업 일원화(행복마을 조성)’에 반대 입장을 제시했다. 보고서 작성과정에 참여했던 박 모씨는 “획일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될 수 있는 농어촌 정비사업 일원화에 반대 한다”고 밝혔다.
정 모씨 역시 “선택과 집중은 필요하나, 예산 확보와 타 시도 기구 등을 감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전남도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직 통·폐합으로 자기 업무가 없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일부 공무원들의 반발”이라고 반박했다.
/전남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고 지원 기대도 어려워
박준영 전남지사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행복마을 조성 계획’이 시작전부터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공무원마저도 ‘행복마을 조성 계획’에 반대하고 있어 사업 추진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박 지사는 취임과 동시에 빈집이 늘어가는 농촌 주거형태 개선방안으로 ‘행복마을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전남 도내 빈집은 전체 농가의 2.9%를 차지하는 1만1491동. 빈집이 30% 이상인 마을도 104개 마을(전체 마을의 1.6%)이나 된다.
전남도는 특히 노인들이 자연마을 별로 거주해서 복지서비스 비용이 과다 소요된다며 ‘행복마을 조성 계획’을 서두르고 있다.
이 계획에 따라 이달 초까지 ‘행복마을과’가 신설되고, 실태 조사를 거쳐 ‘면소재지 재개발형’ ‘마을 통합형’ ‘기존 마을 정비형’ 등으로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이 중 전남도가 유력하게 검토하는 방안은 ‘면소재지 재개발형’이다. 면소재지 재개발형은 빈집이 많은 곳에 사는 주민들을 면 소재지로 이주시키고, 이곳에 도서관·목욕탕·병원 등을 확충, 생활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이다.
◆탁상행정 ‘비판 제기’ = 이 같은 계획이 알려지자 주민실태 조사도 없이 사업을 졸속 추진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주민 이주 대책이다.
몇 십년동안 한 곳에 살며, 삶의 터전을 일궈 온 주민들이 면소재지로 쉽게 이주하겠냐는 지적이다. 박광서 전남대 교수는 “정부가 추진했던 정주권 개발계획도 실패했다”며 “수요도 조사조차 없이 이런 계획을 만든 것 자체가 황당하다”고 지적했다.
시·군 공무원도 박 교수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
무안군 한 공무원은 “주민들을 이전시킨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라며 “차라리 면소재지에 도서관·목욕탕·병원 등을 갖춘 휴양시설을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고 대안까지 제시했다.
◆재원조달도 문제 = 재원조달 방안도 석연치 않다. 전남도는 재원조달 방안으로 △정부 각 부처 ‘농어촌마을 정비사업’ 집중 배정 요청 △행정자치부가 추진하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시범사업에 ‘행복마을 조성 계획’을 포함시켜, 재원을 요청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양수 행정혁신국장은 “재원은 국비와 도비로 조달되며, 업무는 각 실·과 사업을 통·폐합해서 추진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구상 역시 여의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남도가 기대하는 행자부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사업은 아직 구상 단계에 있으며, 정부 각 부처 ‘농어촌마을 정비사업’이 전남에 집중 배정될 가능성도 희박하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한 관계자는 “예산을 한 지역에만 집중 배정할 수 없다는 것은 전남도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전남도 예산 확보계획에 회의적 반응을 나타냈다.
◆공직사회도 ‘시큰둥’ = 행복마을 조성사업은 공무원들도 반대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행정 혁신방안을 연구, ‘조직·인사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공무원들은 ‘농촌마을 정비사업 일원화(행복마을 조성)’에 반대 입장을 제시했다. 보고서 작성과정에 참여했던 박 모씨는 “획일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될 수 있는 농어촌 정비사업 일원화에 반대 한다”고 밝혔다.
정 모씨 역시 “선택과 집중은 필요하나, 예산 확보와 타 시도 기구 등을 감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전남도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직 통·폐합으로 자기 업무가 없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일부 공무원들의 반발”이라고 반박했다.
/전남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