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일단 이전 후 대체부지 마련”
주민, “현 차고지 더 이용하다 이전”
사진 - 부천공영차고지시위 (2장 비니로 보냄. 오늘자)
주거지역에 있는 시내버스 차고지를 외곽으로 이전하려는 부천시의 계획이 이전 대상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이들 주민들의 민원 등을 고려해 일단 해당부지로 이전했다가 장기적으로 인근 시흥시와 공동으로 대체 부지를 마련해 차고지를 옮기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대체부지가 마련될 때까지 현 차고지를 더 사용하다가 옮기는 게 낫다며 이전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부천시는 지난 2003년 소사고교 옆에 위치한 ㈜소신여객 버스차고지(소사본3동)를 옮겨달라는 소사고와 인근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현 차고지 건너편 개발제한구역에 공영차고지를 조성해 이전키로 했다. 소사고측은 시가 차고지를 옮긴 뒤 이 터를 매입해 급식시설과 다목적 체육관을 지어달라고 요구했다.
시는 공영차고지 조성계획을 공고한 뒤 2004년 9월 중앙정부의 개발제한구역 사용승인을 받아 올 3월 착공했다. 내년 1월까지 소사본1동 산 52-1번지 일원 2700여평에 버스(38대) 승용차(25대) 등 모두 63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영차고지를 건립할 방침이다.
그러나 시가 공사에 들어가자 인근 주민들은 ‘소사공영차고지건립반대비상대책위(이하 비대위)’를 구성해 반대운동에 돌입했다. 비대위는 “당초 공원부지였던 곳에 차고지가 웬 말이냐”며 “조망권 훼손과 소음피해는 물론 심각한 교통체증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는 공사를 늦추다가 지난 5월 지방선거가 끝난 직후 공사를 시작했다. 하지만 비대위측이 공사현장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기 시작했고, 지난 7월 소사구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중재에 나서면서 공사가 중단됐다.
이후 시는 차명진 국회의원 등 해당지역 정치권과 경기도의 중재로 인근 시흥시와 공동으로 대체 부지를 마련해 공영차고지를 옮기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대체부지 마련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일단 현 예정부지로 차고지를 옮기는 게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시는 공영차고지와 함께 계획했던 1만1594평 규모의 소사대공원과 한울빛도서관 공사도 시기를 앞당겨 공영차고지와 동시에 착공하겠다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그러나 비대위는 지난 11일 시청 남문광장에 600여명이 모여 집회를 열고 ‘공영차고지 건설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사진>
비대위 기희준(52) 위원장은 “현 차고지를 계속 사용하다가 나중에 시흥시와 마련한 공용차고지로 이전하면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며 “주민이 반대하는 공사를 왜 강행하는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부천에서 유일하게 도시락 급식을 하고 있는 소사고에 급식시설과 체육시설을 지으려면 하루빨리 차고지를 이전해야 한다”며 “늦어도 10월 안에는 공사를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사진>
주민, “현 차고지 더 이용하다 이전”
사진 - 부천공영차고지시위 (2장 비니로 보냄. 오늘자)
주거지역에 있는 시내버스 차고지를 외곽으로 이전하려는 부천시의 계획이 이전 대상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이들 주민들의 민원 등을 고려해 일단 해당부지로 이전했다가 장기적으로 인근 시흥시와 공동으로 대체 부지를 마련해 차고지를 옮기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대체부지가 마련될 때까지 현 차고지를 더 사용하다가 옮기는 게 낫다며 이전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부천시는 지난 2003년 소사고교 옆에 위치한 ㈜소신여객 버스차고지(소사본3동)를 옮겨달라는 소사고와 인근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현 차고지 건너편 개발제한구역에 공영차고지를 조성해 이전키로 했다. 소사고측은 시가 차고지를 옮긴 뒤 이 터를 매입해 급식시설과 다목적 체육관을 지어달라고 요구했다.
시는 공영차고지 조성계획을 공고한 뒤 2004년 9월 중앙정부의 개발제한구역 사용승인을 받아 올 3월 착공했다. 내년 1월까지 소사본1동 산 52-1번지 일원 2700여평에 버스(38대) 승용차(25대) 등 모두 63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영차고지를 건립할 방침이다.
그러나 시가 공사에 들어가자 인근 주민들은 ‘소사공영차고지건립반대비상대책위(이하 비대위)’를 구성해 반대운동에 돌입했다. 비대위는 “당초 공원부지였던 곳에 차고지가 웬 말이냐”며 “조망권 훼손과 소음피해는 물론 심각한 교통체증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는 공사를 늦추다가 지난 5월 지방선거가 끝난 직후 공사를 시작했다. 하지만 비대위측이 공사현장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기 시작했고, 지난 7월 소사구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중재에 나서면서 공사가 중단됐다.
이후 시는 차명진 국회의원 등 해당지역 정치권과 경기도의 중재로 인근 시흥시와 공동으로 대체 부지를 마련해 공영차고지를 옮기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대체부지 마련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일단 현 예정부지로 차고지를 옮기는 게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시는 공영차고지와 함께 계획했던 1만1594평 규모의 소사대공원과 한울빛도서관 공사도 시기를 앞당겨 공영차고지와 동시에 착공하겠다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그러나 비대위는 지난 11일 시청 남문광장에 600여명이 모여 집회를 열고 ‘공영차고지 건설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사진>
비대위 기희준(52) 위원장은 “현 차고지를 계속 사용하다가 나중에 시흥시와 마련한 공용차고지로 이전하면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며 “주민이 반대하는 공사를 왜 강행하는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부천에서 유일하게 도시락 급식을 하고 있는 소사고에 급식시설과 체육시설을 지으려면 하루빨리 차고지를 이전해야 한다”며 “늦어도 10월 안에는 공사를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사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