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산업개발 직원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3월3일의 최종부도처리와 관련, 현대자동차의 정
몽구 회장, 현대아산의 정몽헌 회장을 상대로 손해배상소송 등 민·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14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고려산업개발의 부도는 현대그룹 수뇌부와 정부의 책
임”이라며 “정부, 현대그룹, 금감위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비대위는 현대그룹에게 고려산업개발의 경영정상화와 직원들의 고용보장대책을
마련할 것과 직원 및 협력업체 아파트 분양자들에게 손해를 끼진 부분에 대한 보상을 요구
헸고, 채권단에 대해서는 경영정상화를 위한 채권단의 출자전환을 요구했다.
비대위는“고려산업개발은 98년 계열사합병 당시 부실퇴출기업으로 분류된 현대리바트와 현
대알루미늄을 고려산업개발의 의사와 상관없이 인수하면서부터 경영난이 시작됐다”며“당
시 합병을 주도한 정몽구-몽헌 현대그룹 공동회장이 고려산업개발 부도의 원죄를 지고 있
다”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이들에 대해 “서로 책임만 떠넘기려 할 뿐 최고경영자로서 책
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비대위는 또 “지난해‘왕자의 난’이라 일컬어지는 정몽구-몽헌 형제간 다툼에서 고려산
업개발의 유동성 위기가 시작됐다”면서 “현대사태로 인해 신용등급이 하락, 신규차입이
막히고 기존차입금 회수로 결국 부도에 처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정부와 금감위에 대해서도 책임을 추궁했다.
비대위는 “기업합병과 금융지원은 형평성과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전제한 후 “경영부실
을 감추고 자의적으로 합병한 현대그룹과, 원칙없이 갑작스럽게 고려산업개발의 채권을 회
수하고 현대계열사에 자금을 지원한 채권단을 제대로 감독하지 않은 금감위는 직무유기의
책임을 벗어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비대위는 앞으로 그룹 수뇌부의 부도책임 증거와 전경영진의 비리 등이 파악되는 대로 계속
국민에게 진상을 밝혀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들은 오전에는 계동 현대사옥에서, 오후에는 여의도 금감위에서 집회를 가졌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