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일 재개되는 6자회담에서 북한핵폐기를 시작하는 실질적인 첫 번째 조치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가 밝혔다.
첫 조치에 합의할 경우 북한은 핵활동을 동결하고 국제사찰을 다시 허용하는 대신 미국은 중유제공을 재개하는 조치를 취하게 될 것으로 워싱턴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일(현지시간) 6자회담 참석과 한·일 양국 방문을 위해 워싱턴을 떠나기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6자회담은 지난해 12월 회담과 분명히 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힐 차관보는 특히 “이번 6자회담에서는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기 위한 단계들중에서 첫 번째 조치(First Tranche)에 동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우리는 한꺼번에 비핵화를 성취할 수는 없지만 이번 회담에서는 9·19 공동 성명을 이행하는 첫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비핵화 초기조치에 합의할 가능성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이번 회담에서 초기조치에 합의하면 한반도 비핵화를 명시한 9·19 공동성명의 전면 실행을 위한 ‘실질적인 시작’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힐 차관보는 “이번 라운드 회담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믿을만한 근거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핵협상의 진전이 있어야 하지만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북한을 방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자신의 방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힐 차관보가 이날 △회담 진전 기대의 근거 △방북의 전제조건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워싱턴의 안보전문가들은 9·19 공동성명을 근거로 이번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동결 조치에 합의하고 양측이 처음으로 시행할 조치들을 결정하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 언론들은 이번 회담에서 초기조치에 합의할 경우 북한은 우선 핵활동을 동결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입국과 사찰을 4년만에 허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에 상응해 미국은 북한에게 중유를 다시 제공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만 ‘핵 동결 vs 에너지 제공’이라는 구도가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와 비슷하고 부시 행정부가 제네바 합의에 심한 거부감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행동과 이에 대한 상응조치의 틀은 다소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우리 당국자도 1일 “아직까지 에너지 지원 등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며 “8일 6자회담이 열려야 비로소 상응조치에 대해 협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이 강력히 요구해온 금융제재 해제 문제는 6자회담과는 계속 별개의 사안처럼 다루되 조속한 시일내에 매듭 지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때에는 이번 베이징 북미 금융실무회의 결과를 토대로 북한측이 일부 불법행위를 시인하며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미국은 합법자금 1300만달러 규모를 동결해제하는 해법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미 언론들은 내다보고 있다. 우리 당국자도 “금융협상 문제가 6자회담 개최나 성과 도출에 암운을 드리운다는 소식은 듣지 않고 있다”고 말해 북-미간 이 문제해법에 가닥을 잡았음을 시사했다.
힐 차관보는 2일 워싱턴을 출발, 서울과 도쿄에서 각각 이틀씩 묵으며 6자회담 전략을 논의한뒤 베이징에 도착해 8일 오후부터 6자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han5907@aol.com
조숭호 기자 shc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첫 조치에 합의할 경우 북한은 핵활동을 동결하고 국제사찰을 다시 허용하는 대신 미국은 중유제공을 재개하는 조치를 취하게 될 것으로 워싱턴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일(현지시간) 6자회담 참석과 한·일 양국 방문을 위해 워싱턴을 떠나기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번 6자회담은 지난해 12월 회담과 분명히 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힐 차관보는 특히 “이번 6자회담에서는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기 위한 단계들중에서 첫 번째 조치(First Tranche)에 동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우리는 한꺼번에 비핵화를 성취할 수는 없지만 이번 회담에서는 9·19 공동 성명을 이행하는 첫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비핵화 초기조치에 합의할 가능성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이번 회담에서 초기조치에 합의하면 한반도 비핵화를 명시한 9·19 공동성명의 전면 실행을 위한 ‘실질적인 시작’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힐 차관보는 “이번 라운드 회담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믿을만한 근거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핵협상의 진전이 있어야 하지만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북한을 방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자신의 방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힐 차관보가 이날 △회담 진전 기대의 근거 △방북의 전제조건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워싱턴의 안보전문가들은 9·19 공동성명을 근거로 이번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동결 조치에 합의하고 양측이 처음으로 시행할 조치들을 결정하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 언론들은 이번 회담에서 초기조치에 합의할 경우 북한은 우선 핵활동을 동결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입국과 사찰을 4년만에 허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에 상응해 미국은 북한에게 중유를 다시 제공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만 ‘핵 동결 vs 에너지 제공’이라는 구도가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와 비슷하고 부시 행정부가 제네바 합의에 심한 거부감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행동과 이에 대한 상응조치의 틀은 다소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우리 당국자도 1일 “아직까지 에너지 지원 등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며 “8일 6자회담이 열려야 비로소 상응조치에 대해 협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이 강력히 요구해온 금융제재 해제 문제는 6자회담과는 계속 별개의 사안처럼 다루되 조속한 시일내에 매듭 지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때에는 이번 베이징 북미 금융실무회의 결과를 토대로 북한측이 일부 불법행위를 시인하며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미국은 합법자금 1300만달러 규모를 동결해제하는 해법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미 언론들은 내다보고 있다. 우리 당국자도 “금융협상 문제가 6자회담 개최나 성과 도출에 암운을 드리운다는 소식은 듣지 않고 있다”고 말해 북-미간 이 문제해법에 가닥을 잡았음을 시사했다.
힐 차관보는 2일 워싱턴을 출발, 서울과 도쿄에서 각각 이틀씩 묵으며 6자회담 전략을 논의한뒤 베이징에 도착해 8일 오후부터 6자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han5907@aol.com
조숭호 기자 shc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