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1년 학비로 졸업까지한다
’ 사이버대학 어때요
천정부지로 치솟는 대학 등록금 때문에 사이버대학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이버대학은 일반 대학의 1년 학비면 졸업까지 가능하고, 학력인정 등 모든 조건은 일반 대학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공·사립에 구분이 없이 전국의 대학들이 등록금 인상을 놓고 몸살을 앓고 있다. 학생들은 물론 여론도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연간 등록금이 1000만원대에 진입한 대학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다.
올해 공대에 진학한 학생들은 거의 100만원에 육박한 등록금을 내야 한다. 예체능 계열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전통적으로 등록금이 높은 치·의학계열은 이미 1000만원을 넘어선 곳이 많다.
문제는 각 대학들이 당분간 등록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라는 점이다. 대학들은 재정지원이 OECD 회원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고 기금 모금 또한 힘들어 거의 유일한 수입원인 등록금을 인상하는 수밖에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국 아직은 600~700만원대 등록금을 내야하는 학과들도 머지않아 100만원에 육박하는 등록금을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대안으로 떠오르는 곳이 사이버대학교들이다. 사이버대학의 4년간 학비는 일반 대학에서 한 해 등록금 수준이다.
여기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공간적 제약도 받지 않는다. 수업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회수에 제한 없이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없다.재한 없이 반복반복해서 wpdiur도 받지 않는다. 교육의 질도 우수하고,
또한 사이버대학교는 시 · 공간을 초월할 수 있고 반복 횟수에 제한이 없는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점, 한류문화언어학과나 문화예술경영학과와 같은 실용적이고 특색 있는 학과가 많은 점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사이버대학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고는 하지만, 최근 들어 각 사이버대학들의 신 · 편입생 지원자 수 증가나 졸업 후 대학원 진학률의 증가 및 사이버대학 졸업생들에 대한 각 기업 인사 담당자들의 호의적인 태도는 변화한 사이버대학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처음 사이버대학이 개교할 때에는 기존에 있었던 대학이 주는 낭만이나 캠퍼스 생활 등 오프라인적 프로그램을 향유할 수 없었던 것이 단점으로 꼽혔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희사이버대학교와 같은 오프라인 대학을 기반으로 탄탄한 명성과 실력으로 만들어진 사이버대학교에서는 학교주관의 입학식과 학위수여식, 정기적인 체육대회, 대동제, 학술제 및 방학 시즌을 이용한 학생들의 해외 탐방 등의 다양한 행사들을 개최하는 등 오프라인 대학에서의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그대로 제공하고, 학비는 일반대학들의 1/4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혜택으로 사이버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지원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시대의 흐름일 수도 있다. 또한 학교 차원 뿐 만 아니라 각 학과별로도 과의 특성에 맞는 행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례로 경희사이버대학교의 벤처농업경영학과는 그동안 배운 유통과 마케팅을 직접 체험한다는 모토아래 학과생 중 농촌 거주 학생들의 농산물을 학교 캠퍼스 내에서 ‘직거래 장터’의 형태로 판매함으로써 재학생 및 주변 관계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관광레저경영학과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한 번씩 국·내외 관광지 답사를 통해 학생들의 견문을 넓혀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사이버대학에는 학생들이 관심만 있다면 얼마든지 참여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 대학 못지않은 대학생활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사이버대학은 대학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 수험생들뿐 아니라 배움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행복한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비싼 등록금만큼 대학들이 그 값어치를 하고 있느냐?, 비싼 대학등록금 때문에 ” 가 화두가 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단순한 간판에 불과한 학력을 떠나 진정한 지성인으로써의 소양과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사이버대학교는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대학 등록금 년 1,000만원 인 우리시대의 새로운 대학교육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년 학비로 졸업까지한다
’ 사이버대학 어때요
천정부지로 치솟는 대학 등록금 때문에 사이버대학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이버대학은 일반 대학의 1년 학비면 졸업까지 가능하고, 학력인정 등 모든 조건은 일반 대학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공·사립에 구분이 없이 전국의 대학들이 등록금 인상을 놓고 몸살을 앓고 있다. 학생들은 물론 여론도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연간 등록금이 1000만원대에 진입한 대학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다.
올해 공대에 진학한 학생들은 거의 100만원에 육박한 등록금을 내야 한다. 예체능 계열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전통적으로 등록금이 높은 치·의학계열은 이미 1000만원을 넘어선 곳이 많다.
문제는 각 대학들이 당분간 등록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라는 점이다. 대학들은 재정지원이 OECD 회원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고 기금 모금 또한 힘들어 거의 유일한 수입원인 등록금을 인상하는 수밖에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국 아직은 600~700만원대 등록금을 내야하는 학과들도 머지않아 100만원에 육박하는 등록금을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대안으로 떠오르는 곳이 사이버대학교들이다. 사이버대학의 4년간 학비는 일반 대학에서 한 해 등록금 수준이다.
여기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공간적 제약도 받지 않는다. 수업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회수에 제한 없이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없다.재한 없이 반복반복해서 wpdiur도 받지 않는다. 교육의 질도 우수하고,
또한 사이버대학교는 시 · 공간을 초월할 수 있고 반복 횟수에 제한이 없는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점, 한류문화언어학과나 문화예술경영학과와 같은 실용적이고 특색 있는 학과가 많은 점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사이버대학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고는 하지만, 최근 들어 각 사이버대학들의 신 · 편입생 지원자 수 증가나 졸업 후 대학원 진학률의 증가 및 사이버대학 졸업생들에 대한 각 기업 인사 담당자들의 호의적인 태도는 변화한 사이버대학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처음 사이버대학이 개교할 때에는 기존에 있었던 대학이 주는 낭만이나 캠퍼스 생활 등 오프라인적 프로그램을 향유할 수 없었던 것이 단점으로 꼽혔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희사이버대학교와 같은 오프라인 대학을 기반으로 탄탄한 명성과 실력으로 만들어진 사이버대학교에서는 학교주관의 입학식과 학위수여식, 정기적인 체육대회, 대동제, 학술제 및 방학 시즌을 이용한 학생들의 해외 탐방 등의 다양한 행사들을 개최하는 등 오프라인 대학에서의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그대로 제공하고, 학비는 일반대학들의 1/4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혜택으로 사이버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지원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시대의 흐름일 수도 있다. 또한 학교 차원 뿐 만 아니라 각 학과별로도 과의 특성에 맞는 행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례로 경희사이버대학교의 벤처농업경영학과는 그동안 배운 유통과 마케팅을 직접 체험한다는 모토아래 학과생 중 농촌 거주 학생들의 농산물을 학교 캠퍼스 내에서 ‘직거래 장터’의 형태로 판매함으로써 재학생 및 주변 관계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관광레저경영학과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한 번씩 국·내외 관광지 답사를 통해 학생들의 견문을 넓혀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사이버대학에는 학생들이 관심만 있다면 얼마든지 참여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 대학 못지않은 대학생활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사이버대학은 대학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 수험생들뿐 아니라 배움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행복한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비싼 등록금만큼 대학들이 그 값어치를 하고 있느냐?, 비싼 대학등록금 때문에 ” 가 화두가 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단순한 간판에 불과한 학력을 떠나 진정한 지성인으로써의 소양과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사이버대학교는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대학 등록금 년 1,000만원 인 우리시대의 새로운 대학교육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