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4년 과학공원 개장 이후 계속되는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엑스포과학공원이 활로는 찾지 못한 채 13년이 지나도록 용역만 남발하고 있다. 그동안 10차례의 용역이 진행됐지만 어떤 결론도 내리지 못한 채 또 다시 새로운 계획과 그에 따른 타당성 용역이 추진되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발표도 되지 못한 용역도 많아 = 엑스포과학공원은 지난 1994년 8월 7일 공원으로 개장한 후 13년 동안 10여 차례의 각종 용역을 통해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5억6700만원의 용역비용만 낭비한 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만 남겼다. 과학공원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첫 번째 용역은 95년 8월 진행된 과학공원 장기발전 방향에 대한 타당성 검토. 과학공원을 국민과학교육의 장, 국제교류의 장 등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필요한 재원 2000억원을 조달할 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98년에는 과학공원 시설 리모델링을 위한 용역이 진행됐지만 과학공원 소유권이 대전시로 넘어가면서 용역 자체가 활용되지 못한 채 그대로 휴지조각이 됐다.
이후 2000년 들어 3억5700만원의 거액을 들여 과학공원 활성화 마스터플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했지만 이 역시 ‘189억원의 거액을 들이고도 수익성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유보됐다.
2001년과 2004년 과학공원 자체로 두 번의 용역을 더 진행했지만 역시 예산확보가 어렵다거나 사업타당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없었던 일이 됐다. 2004년 말 한 차례 더 진행된 용역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2003년부터 2004년 사이 수익시설 조성 검토, 과학관련 시설 검토, 수족관사업 타당성 조사, 로봇체험관 조성 타당성 검토 등 4차례 진행한 부분검토 용역도 하나같이 빛을 보지 못했다.
◆타당성 용역은 계속된다(?) = 이런 상황에서 대전시는 또다시 타당성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최근 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를 위한 TF팀 활동을 마무리하고 새 구상에 따른 타당성 용역을 검토 중이다.
TF팀 단장을 맡았던 대전시 양승찬 정책프로젝트팀장은 “이번 용역은 그동안 이뤄졌던 용역과는 다를 것”이라며 “이미 충분한 검토를 거친 구상이기 때문에 타당성 검토보다는 실시설계에 가까운 용역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의 이러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이번 구상이 실천으로 이어질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대전시가 마련한 구상은 과학공원을 과학·문화·레저가 어우러진 복합 테마파크로 만들겠다는 것. 우선 과학 분야는 인접한 국립중앙과학관과의 기능 중복을 이유로 기능을 최소화하고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문화 분야는 영상특수효과타운 운영의 경험을 살려 문화산업을 집적시키겠다는 것. 이를 위해 KAIST 문화기술(CT)대학원, 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협력해 관련 콘텐츠를 한 자리에 모으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레저시설을 유치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실내스키돔이나 수족관, 물놀이시설인 워터파크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대전시의 새로운 구상이라는 것이 대부분 그동안의 용역에서 검토됐던 내용이어서 결과 역시 비슷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용역이 진행되면 최소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고, 용역 후 사업을 추진하더라도 설계와 시공 등을 거치면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용역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전문가 의견과 엇갈릴 경우 다시 한 번 시간과 비용만 허비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발표도 되지 못한 용역도 많아 = 엑스포과학공원은 지난 1994년 8월 7일 공원으로 개장한 후 13년 동안 10여 차례의 각종 용역을 통해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5억6700만원의 용역비용만 낭비한 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만 남겼다. 과학공원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첫 번째 용역은 95년 8월 진행된 과학공원 장기발전 방향에 대한 타당성 검토. 과학공원을 국민과학교육의 장, 국제교류의 장 등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필요한 재원 2000억원을 조달할 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98년에는 과학공원 시설 리모델링을 위한 용역이 진행됐지만 과학공원 소유권이 대전시로 넘어가면서 용역 자체가 활용되지 못한 채 그대로 휴지조각이 됐다.
이후 2000년 들어 3억5700만원의 거액을 들여 과학공원 활성화 마스터플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했지만 이 역시 ‘189억원의 거액을 들이고도 수익성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유보됐다.
2001년과 2004년 과학공원 자체로 두 번의 용역을 더 진행했지만 역시 예산확보가 어렵다거나 사업타당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없었던 일이 됐다. 2004년 말 한 차례 더 진행된 용역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2003년부터 2004년 사이 수익시설 조성 검토, 과학관련 시설 검토, 수족관사업 타당성 조사, 로봇체험관 조성 타당성 검토 등 4차례 진행한 부분검토 용역도 하나같이 빛을 보지 못했다.
◆타당성 용역은 계속된다(?) = 이런 상황에서 대전시는 또다시 타당성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최근 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를 위한 TF팀 활동을 마무리하고 새 구상에 따른 타당성 용역을 검토 중이다.
TF팀 단장을 맡았던 대전시 양승찬 정책프로젝트팀장은 “이번 용역은 그동안 이뤄졌던 용역과는 다를 것”이라며 “이미 충분한 검토를 거친 구상이기 때문에 타당성 검토보다는 실시설계에 가까운 용역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의 이러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이번 구상이 실천으로 이어질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대전시가 마련한 구상은 과학공원을 과학·문화·레저가 어우러진 복합 테마파크로 만들겠다는 것. 우선 과학 분야는 인접한 국립중앙과학관과의 기능 중복을 이유로 기능을 최소화하고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문화 분야는 영상특수효과타운 운영의 경험을 살려 문화산업을 집적시키겠다는 것. 이를 위해 KAIST 문화기술(CT)대학원, 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협력해 관련 콘텐츠를 한 자리에 모으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레저시설을 유치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실내스키돔이나 수족관, 물놀이시설인 워터파크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대전시의 새로운 구상이라는 것이 대부분 그동안의 용역에서 검토됐던 내용이어서 결과 역시 비슷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용역이 진행되면 최소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고, 용역 후 사업을 추진하더라도 설계와 시공 등을 거치면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용역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전문가 의견과 엇갈릴 경우 다시 한 번 시간과 비용만 허비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