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관계의 최대걸림돌이었던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가 이번 6자회담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미 재무부가 결정을 내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05년 7월까지 미 정부의 북한 불법활동 합동조사팀을 이끌었던 데이비드 애셔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선임자문관은 9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회견에서 “미 재무부가 이미 BDA 관련 조사를 끝내고 최종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며 “마카오 금융당국도 이미 일부 북한의 합법적 계좌를 푼다는 결정을 내린것으로 짐작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북한의 협상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갖고 있지 않지만 BDA에 동결된 북한 자금 중 불법행위와 관련된 자금과 일부 불법행위와 관련됐을 가능성이 낮은 자금이 구별된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자신의 불법 금융행위에 대해 미국 측에 북한 노동당이나 지도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일부 범죄인들이 북한법을 어긴 것이며 전혀 일상적인 행위가 아니라고 해명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비판했다.
그는 따라서 “지금 미 부시 행정부가 한반도 안정을 이유로 마카오 은행에 대한제재를 풀려는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5년 7월까지 미 정부의 북한 불법활동 합동조사팀을 이끌었던 데이비드 애셔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선임자문관은 9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회견에서 “미 재무부가 이미 BDA 관련 조사를 끝내고 최종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며 “마카오 금융당국도 이미 일부 북한의 합법적 계좌를 푼다는 결정을 내린것으로 짐작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북한의 협상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갖고 있지 않지만 BDA에 동결된 북한 자금 중 불법행위와 관련된 자금과 일부 불법행위와 관련됐을 가능성이 낮은 자금이 구별된 것 같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자신의 불법 금융행위에 대해 미국 측에 북한 노동당이나 지도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일부 범죄인들이 북한법을 어긴 것이며 전혀 일상적인 행위가 아니라고 해명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비판했다.
그는 따라서 “지금 미 부시 행정부가 한반도 안정을 이유로 마카오 은행에 대한제재를 풀려는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