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외펀드 투자자들이 일부 이머징마켓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위험이 크게 높아졌다는 진단이 나왔다.
삼성증권 신상근 자산배분파트장은 현재투자관행을 “고수익추구와 위험관리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다”며 “개별국가의 수익률이 좋아지면 자금이 집중되다가 시장환경 악화시에는 선진국으로 이탈하는 패턴이 형성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해외투자규모는 크게 늘었지만 소수국가에 투자가 집중돼 국내시장의 대안투자로서는 부족하다”며 “원칙과 전략이 없는 개별국가 및 시장중심의 주먹구구식 투자로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덧붙였다.
신 파트장은 “지난해 말 현재 해외 주식형 펀드의 41%를 차지하던 중국펀드가 3월 말 현재 33% 수준으로 낮아지고 인도펀드도 지난해 10%대에서 최근 5%대로 낮아지는 등 지난해 70%를 넘어섰던 이머징마켓의 비중이 올해 들어 60% 수준으로 하락했다”고 전한 뒤 “그러나 여전히 이머징마켓 비중이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행스럽게도 올 들어 일본과 유럽 등 선진시장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면서 지역별 포트폴리오는 지난해에 비해 향상, 위험대비 수익률이 지난해 말 현재 30.4%에서 3월 말 현재 33.9%로 다소 개선됐다”며 “그러나 MSCI 지수를 이용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위험 대비 수익률이 69%인 점을 감안할 때 아직까지도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펀드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은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위험대비 수익률이란 연 수익률을 연 표준편차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효율적인 투자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 파트장은 이와 함께 “올해 3월 말 현재 해외펀드 판매액은 7조원 수준”이라며 “이미 지난해 증가액 12조2천억 원의 절반 수준을 넘어서는 등 지난해보다 빠른 속도로 해외펀드가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채권금리의 장기하락세와 국내 주식시장의 약세 등 상대적으로 낮아진 국내 자산의 투자매력과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획득 비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데다 판매사들의 적극적인 상품출시와 마케팅에 따른 것이라고 신 파트장은 설명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삼성증권 신상근 자산배분파트장은 현재투자관행을 “고수익추구와 위험관리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다”며 “개별국가의 수익률이 좋아지면 자금이 집중되다가 시장환경 악화시에는 선진국으로 이탈하는 패턴이 형성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해외투자규모는 크게 늘었지만 소수국가에 투자가 집중돼 국내시장의 대안투자로서는 부족하다”며 “원칙과 전략이 없는 개별국가 및 시장중심의 주먹구구식 투자로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덧붙였다.
신 파트장은 “지난해 말 현재 해외 주식형 펀드의 41%를 차지하던 중국펀드가 3월 말 현재 33% 수준으로 낮아지고 인도펀드도 지난해 10%대에서 최근 5%대로 낮아지는 등 지난해 70%를 넘어섰던 이머징마켓의 비중이 올해 들어 60% 수준으로 하락했다”고 전한 뒤 “그러나 여전히 이머징마켓 비중이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행스럽게도 올 들어 일본과 유럽 등 선진시장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면서 지역별 포트폴리오는 지난해에 비해 향상, 위험대비 수익률이 지난해 말 현재 30.4%에서 3월 말 현재 33.9%로 다소 개선됐다”며 “그러나 MSCI 지수를 이용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위험 대비 수익률이 69%인 점을 감안할 때 아직까지도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펀드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은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위험대비 수익률이란 연 수익률을 연 표준편차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효율적인 투자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 파트장은 이와 함께 “올해 3월 말 현재 해외펀드 판매액은 7조원 수준”이라며 “이미 지난해 증가액 12조2천억 원의 절반 수준을 넘어서는 등 지난해보다 빠른 속도로 해외펀드가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채권금리의 장기하락세와 국내 주식시장의 약세 등 상대적으로 낮아진 국내 자산의 투자매력과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획득 비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데다 판매사들의 적극적인 상품출시와 마케팅에 따른 것이라고 신 파트장은 설명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