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끼리 통합 … ‘조연’ 자처
울산 경실련·참여연대 이어 인천 자치연대·희망21 통합
대전참여자치연대, 마을 어린이도서관 만들기 성과
전국의 지역단위 시민단체들이 파격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단체와 단체를 통합해 새로운 조직을 결성하고, 지역주민을 이끌어내기보다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나름대로 지니고 있던 기득권(?)을 과감히 버리고 운동의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운동 제대로 해보자" = 울산경실련과 울산참여연대는 지난 1월29일 두 단체를 통합한다고 선언했다. 이어 두 단체는 ‘(가칭)사회불평등 해소와 참여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울산시민연대 준비위원회’를 발족, 오는 4월5일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통합소식은 지역사회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두 단체 모두 10년 넘게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대표적인 시민단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원들 대부분이 ‘변화’를 갈망하고 있었다. 시민운동의 체질개선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통합과정에서 이탈하는 회원도 거의 없었다.
울산의 독특한 지역특성도 한몫 했다. 노동운동에서 시민운동이 태동했고, 노동운동세력이 워낙 세다보니 시민단체들의 연대활동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노동운동과 연대활동을 함께 경험한 상근자들은 통합에 대한 거부감이 거의 없었다. 오히려 "지역운동을 제대로 한번 해보자"는 공감대가 강했고, 이것이 두 단체가 통합한 이유였다.
울산시민연대는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내용적인 민주주의 실현’을 목표로, 공공성 강화와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을 세부 방향으로 정했다. 우선 회원들 스스로 생활정치인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0개년 회원 교육계획’부터 세우고 있다. 김태근 공동사무처장(전 울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회원들이 생활에서 느낀 문제의식의 해결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지역주민과 만나며 고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 새로운 주민운동조직 건설 = 새로운 비전을 찾기 위한 움직임은 인천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인천참여자치연대’와 ‘주민자치를 여는 인천희망21’도 통합의 깃발을 올리기로 했다. 인천참여자치연대는 지난달 총회에서 지난 5년간의 활동을 평가하고, 새로운 지역주민운동 조직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이 단체는 수개월 간 ‘장기발전기획위원회’를 구성해 지역운동의 방향을 모색했다. 그 결과 같은 목표를 갖고 있는 단체(개인)와의 연대 및 새 지역주민운동 조직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그동안 주민운동을 펼쳐온 ‘희망21’측에 통합을 제안, 동참을 이끌어냈다.
유진수 인천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은 "제도개선이나 권력 감시활동 등이 일정정도 성과를 거뒀지만 삶의 변화로 이어지지는 못했다"며 "주민 속에서 주민과 함께하는 활동방식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현재 준비위원회를 구성해 통합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앞으로 이 단체는 마을단위의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한 주민공동체 운동을 발굴, 지원하는 방향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지역주민 ‘주연’, 시민단체 ‘조연’ = 울산 인천 등 전국의 시민단체들이 강조하는 ‘주민주도형’ 운동은 과연 어떤 것일까. 시민단체들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의 ‘마을 어린이도서관 사업’을 모델로 꼽고 있다.
지난 2005년 아이들 공부방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중구 석교동 주민들이 ‘알짬도서관’을 만들면서부터 본격화됐다. 이후 주민들의 참여가 계속 늘어나면서 추진단이 구성됐고, 오는 3월29일 ‘대전 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가 발족한다. 이미 지난달 문을 연 중천동 ‘짜장도서관’을 포함해 올해 대덕구 와동, 서구 관저동, 중구 태평동 등 4곳에 도서관이 건립된다.
시설임대료 등 비용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지원받는다.
협의회는 평범한 지역주민들이 모여서 만들었다. 시민단체는 회의진행보조와 공문서작성 등 보조역할만 담당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윤혜정 연구원은 "시민운동이 ‘저항’에서 ‘소통’의 전략으로 바뀌고 있다"며 "이 사업도 시민운동이라기보다 주민들이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흐름에 시민단체가 따라가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울산 경실련·참여연대 이어 인천 자치연대·희망21 통합
대전참여자치연대, 마을 어린이도서관 만들기 성과
전국의 지역단위 시민단체들이 파격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단체와 단체를 통합해 새로운 조직을 결성하고, 지역주민을 이끌어내기보다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나름대로 지니고 있던 기득권(?)을 과감히 버리고 운동의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운동 제대로 해보자" = 울산경실련과 울산참여연대는 지난 1월29일 두 단체를 통합한다고 선언했다. 이어 두 단체는 ‘(가칭)사회불평등 해소와 참여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울산시민연대 준비위원회’를 발족, 오는 4월5일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통합소식은 지역사회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두 단체 모두 10년 넘게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대표적인 시민단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원들 대부분이 ‘변화’를 갈망하고 있었다. 시민운동의 체질개선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통합과정에서 이탈하는 회원도 거의 없었다.
울산의 독특한 지역특성도 한몫 했다. 노동운동에서 시민운동이 태동했고, 노동운동세력이 워낙 세다보니 시민단체들의 연대활동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노동운동과 연대활동을 함께 경험한 상근자들은 통합에 대한 거부감이 거의 없었다. 오히려 "지역운동을 제대로 한번 해보자"는 공감대가 강했고, 이것이 두 단체가 통합한 이유였다.
울산시민연대는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내용적인 민주주의 실현’을 목표로, 공공성 강화와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을 세부 방향으로 정했다. 우선 회원들 스스로 생활정치인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0개년 회원 교육계획’부터 세우고 있다. 김태근 공동사무처장(전 울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회원들이 생활에서 느낀 문제의식의 해결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지역주민과 만나며 고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 새로운 주민운동조직 건설 = 새로운 비전을 찾기 위한 움직임은 인천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인천참여자치연대’와 ‘주민자치를 여는 인천희망21’도 통합의 깃발을 올리기로 했다. 인천참여자치연대는 지난달 총회에서 지난 5년간의 활동을 평가하고, 새로운 지역주민운동 조직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이 단체는 수개월 간 ‘장기발전기획위원회’를 구성해 지역운동의 방향을 모색했다. 그 결과 같은 목표를 갖고 있는 단체(개인)와의 연대 및 새 지역주민운동 조직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그동안 주민운동을 펼쳐온 ‘희망21’측에 통합을 제안, 동참을 이끌어냈다.
유진수 인천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은 "제도개선이나 권력 감시활동 등이 일정정도 성과를 거뒀지만 삶의 변화로 이어지지는 못했다"며 "주민 속에서 주민과 함께하는 활동방식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현재 준비위원회를 구성해 통합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6월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앞으로 이 단체는 마을단위의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한 주민공동체 운동을 발굴, 지원하는 방향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지역주민 ‘주연’, 시민단체 ‘조연’ = 울산 인천 등 전국의 시민단체들이 강조하는 ‘주민주도형’ 운동은 과연 어떤 것일까. 시민단체들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의 ‘마을 어린이도서관 사업’을 모델로 꼽고 있다.
지난 2005년 아이들 공부방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중구 석교동 주민들이 ‘알짬도서관’을 만들면서부터 본격화됐다. 이후 주민들의 참여가 계속 늘어나면서 추진단이 구성됐고, 오는 3월29일 ‘대전 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가 발족한다. 이미 지난달 문을 연 중천동 ‘짜장도서관’을 포함해 올해 대덕구 와동, 서구 관저동, 중구 태평동 등 4곳에 도서관이 건립된다.
시설임대료 등 비용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지원받는다.
협의회는 평범한 지역주민들이 모여서 만들었다. 시민단체는 회의진행보조와 공문서작성 등 보조역할만 담당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윤혜정 연구원은 "시민운동이 ‘저항’에서 ‘소통’의 전략으로 바뀌고 있다"며 "이 사업도 시민운동이라기보다 주민들이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흐름에 시민단체가 따라가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