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계 미국인도 “일본 총리 사과하라”
아베 “연민의 정 느낀다” 면피성 사과
아베 신조 일본총리의 방미에 맞춰 위안부 문제 등을 규탄하고 사죄를 요구하는 민간단체와 정치인의 분노가 터져나오고 있다.
◆“위안부 문제는 일본이 아시아 전체를 상대로한 범죄” = 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미국에 도착한 26일 워싱턴에서는 군대위안부 동원 등 일제 만행을 규탄하고 아베 총리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시위와 집회가 개최돼 ‘일본 규탄의 날’을 방불케 했다.
이날 낮 백악관 앞 라파에트 광장에서는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위한 워싱턴지역 범동포대책위원회와 국제사면위원회(앰네스티 인터내셔널)가 공동으로 주최한 미 하원의 종군위안부 결의안 지지 집회가 열렸다. 집회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인 이용수 할머니(78)는 “15살 때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가 일본군 성 노예 생활을 했다”면서 일본 총리의 진정한 사과와 배상을 촉구했다. 국제사면위원회 등 참여 단체 대표들도 “아베총리가 미국에 머무는 동안 무조건 일제만행에 대해 일본정부 차원에서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중국계 민간단체 대표는 “일제의 위안부 동원 만행은 한일간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과 모든 아시아 국가들간의 문제”라며 “아베 총리는 일제의 위안부만행을 인정하고 일본 정부 차원에서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과 뉴욕 등 한인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위안부 결의안 지원 동포 단체들은 이날자 워싱턴 포스트 6면에 ‘위안부에 대한 진실’이라는 제목의 전면 광고를 싣고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어린 소녀 20만 명을 강제로 일본군 위안소로 끌고가 성 노예로 시켰다”고 규탄했다.
이날 저녁에는 일본계로서 위안부 결의안 통과에 가장 열성적인 마이크 혼다(일본계 2세. 민주) 미 하원의원과 대책위원회가 공동으로 위안부 관련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일본계 미국인들의 단체인 ‘일본계 미국인 시민연맹’마저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아베 무마시도 불구, 워싱턴 정치권 싸늘 =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인식한 듯 아베 일본 총리가 미 의원들을 상대로 무마에 나섰으나 워싱턴 정치권에서는 싸늘한 반응만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의회 지도자들과 만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자신의 3월 발언이 와전됐다며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려는 미의회의원들을 무마하려 시도했다. 그는 “개인으로서, 또 총리로서, 어려움을 겪었던 종군 위안부 출신들에게 가슴속 깊은 곳으로부터 연민의 정(sympathy)을 느낀다”며 사과의 뜻을 밝힌 것으로 AFP 통신이 전했다. 또 “그들(위안부들)이 아주 고통스런 상황에 강제적으로 처하게 된 것을 매우 미안하게 느낀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종군위안부들이 그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동원됐음을 시인한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수동태 어법을 사용, 위안부 강제동원의 주체가 누구인지 여전히 언급을 피함으로써 일본정부의 직접 책임을 인정하거나 진솔한 사죄를 하지는 않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때문인 듯 워싱턴 정치인들도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 지도자들의 행동에 실망과 때론 분노를 표시하고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정계를 은퇴했지만 워싱턴의 대표적 보수정객으로 꼽히는 공화당 출신 헨리 하이드 미하원 전 국제관계위원장은 이날자 워싱턴 타임스에 게재된 기고문을 통해 일제의 군대위안부는 20세기 인류 역사상 최대 인신매매 범죄라며 일본의 사과를 촉구했다.
26일까지 하원에 제출된 위안부 결의안에 모두 93명의 미 연방하원의원들이 지지서명했으며 현재 의회에서 정식채택될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아베 “연민의 정 느낀다” 면피성 사과
아베 신조 일본총리의 방미에 맞춰 위안부 문제 등을 규탄하고 사죄를 요구하는 민간단체와 정치인의 분노가 터져나오고 있다.
◆“위안부 문제는 일본이 아시아 전체를 상대로한 범죄” = 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미국에 도착한 26일 워싱턴에서는 군대위안부 동원 등 일제 만행을 규탄하고 아베 총리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시위와 집회가 개최돼 ‘일본 규탄의 날’을 방불케 했다.
이날 낮 백악관 앞 라파에트 광장에서는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위한 워싱턴지역 범동포대책위원회와 국제사면위원회(앰네스티 인터내셔널)가 공동으로 주최한 미 하원의 종군위안부 결의안 지지 집회가 열렸다. 집회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인 이용수 할머니(78)는 “15살 때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가 일본군 성 노예 생활을 했다”면서 일본 총리의 진정한 사과와 배상을 촉구했다. 국제사면위원회 등 참여 단체 대표들도 “아베총리가 미국에 머무는 동안 무조건 일제만행에 대해 일본정부 차원에서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중국계 민간단체 대표는 “일제의 위안부 동원 만행은 한일간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과 모든 아시아 국가들간의 문제”라며 “아베 총리는 일제의 위안부만행을 인정하고 일본 정부 차원에서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과 뉴욕 등 한인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위안부 결의안 지원 동포 단체들은 이날자 워싱턴 포스트 6면에 ‘위안부에 대한 진실’이라는 제목의 전면 광고를 싣고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어린 소녀 20만 명을 강제로 일본군 위안소로 끌고가 성 노예로 시켰다”고 규탄했다.
이날 저녁에는 일본계로서 위안부 결의안 통과에 가장 열성적인 마이크 혼다(일본계 2세. 민주) 미 하원의원과 대책위원회가 공동으로 위안부 관련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일본계 미국인들의 단체인 ‘일본계 미국인 시민연맹’마저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아베 무마시도 불구, 워싱턴 정치권 싸늘 =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인식한 듯 아베 일본 총리가 미 의원들을 상대로 무마에 나섰으나 워싱턴 정치권에서는 싸늘한 반응만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의회 지도자들과 만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자신의 3월 발언이 와전됐다며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려는 미의회의원들을 무마하려 시도했다. 그는 “개인으로서, 또 총리로서, 어려움을 겪었던 종군 위안부 출신들에게 가슴속 깊은 곳으로부터 연민의 정(sympathy)을 느낀다”며 사과의 뜻을 밝힌 것으로 AFP 통신이 전했다. 또 “그들(위안부들)이 아주 고통스런 상황에 강제적으로 처하게 된 것을 매우 미안하게 느낀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종군위안부들이 그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동원됐음을 시인한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수동태 어법을 사용, 위안부 강제동원의 주체가 누구인지 여전히 언급을 피함으로써 일본정부의 직접 책임을 인정하거나 진솔한 사죄를 하지는 않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때문인 듯 워싱턴 정치인들도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 지도자들의 행동에 실망과 때론 분노를 표시하고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정계를 은퇴했지만 워싱턴의 대표적 보수정객으로 꼽히는 공화당 출신 헨리 하이드 미하원 전 국제관계위원장은 이날자 워싱턴 타임스에 게재된 기고문을 통해 일제의 군대위안부는 20세기 인류 역사상 최대 인신매매 범죄라며 일본의 사과를 촉구했다.
26일까지 하원에 제출된 위안부 결의안에 모두 93명의 미 연방하원의원들이 지지서명했으며 현재 의회에서 정식채택될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