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토지보상금이 대거 풀리면서 2월 시중유동성 증가율이 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중유동성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무서운 증가세를 보여오다가 올해 1월 부동산대출 규제와 지급준비율 인상 등의 영향으로 22개월만에 감소했으나 이번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중 광의유동성(L) 동향’에 따르면 2월말 광의유동성잔액은 1857조1000억원으로 전달보다 18조1000억원(1%) 증가했다.
시중유동성은 전달에 1000억원 가량 줄어 2005년 3월 이후 1년10개월 만에 감소세를 보였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작년 같은 달에 비해서는 무려 11.3%나 급증해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에서 2003년 2월의 12.9% 이후 가장 높았다.
전년 동월 대비 유동성 증가율은 작년 9월과 10월 10.1%, 11월 10.3%, 12월 11.2%에서 올해 1월 11.1%로 소폭 둔화됐지만 6개월째 두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토지공사 등 토지보상을 위해 공기업들이 회사채를 많이 발행한데다 전달 부가세 납부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던 예금취급기관의 결제성 상품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부와 기업이 공급한 유동성 잔액은 310조8000억원으로 한달간 7조6000억원(2.5%)이 늘어나 전달 증가액 2조5000억원(0.8%)을 3배 가량 웃돌았다.
전달 2조5000억원 감소했던 금융기관의 유동성 잔액도 10조5000억원(0.7%)이 늘어난 1546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중유동성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무서운 증가세를 보여오다가 올해 1월 부동산대출 규제와 지급준비율 인상 등의 영향으로 22개월만에 감소했으나 이번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중 광의유동성(L) 동향’에 따르면 2월말 광의유동성잔액은 1857조1000억원으로 전달보다 18조1000억원(1%) 증가했다.
시중유동성은 전달에 1000억원 가량 줄어 2005년 3월 이후 1년10개월 만에 감소세를 보였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작년 같은 달에 비해서는 무려 11.3%나 급증해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에서 2003년 2월의 12.9% 이후 가장 높았다.
전년 동월 대비 유동성 증가율은 작년 9월과 10월 10.1%, 11월 10.3%, 12월 11.2%에서 올해 1월 11.1%로 소폭 둔화됐지만 6개월째 두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토지공사 등 토지보상을 위해 공기업들이 회사채를 많이 발행한데다 전달 부가세 납부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던 예금취급기관의 결제성 상품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부와 기업이 공급한 유동성 잔액은 310조8000억원으로 한달간 7조6000억원(2.5%)이 늘어나 전달 증가액 2조5000억원(0.8%)을 3배 가량 웃돌았다.
전달 2조5000억원 감소했던 금융기관의 유동성 잔액도 10조5000억원(0.7%)이 늘어난 1546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