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응 전략으로 지지율 하락세를 가까스로 막아냈던 이명박 후보에게 또한번의 검증 국면이 몰아닥치고 있다. 이 후보 검증의 최대 복마전이라고까지 일컬어지던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이 문제됐다. 이 후보측은 자신과는 상관없는 문제라고 손사래를 치고 있지만 검증 2라운드가 시작되는 것 아니냐며 바짝 긴장하고 있다.
◆김재정씨 땅 224만㎡ 논란 =
2일 경향신문이 보도한 이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가 전국 각지에 소유하고 있는 47필지 224만㎡(67만여평)의 부동산의 실소유주 논란의 파장이 세지고 있다. 이날 보도에 따르면 김씨는 서울 강남은 물론, 경기 화성·가평, 충남 당진군, 충북 옥천, 대전시 유성, 강원 고성·평창, 경북 군위·영주 등에 넓은 땅을 소유하고 있다.
이 중 당진땅은 80년대 아산신항 건설 발표에 이어 90년 한보철강이 들어서면서 땅값이 올랐고, 고성땅은 김씨가 매입한 지 한달 뒤에 국세청이 지가 급등지역으로 지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또 이 후보의 형 상은씨와 공동명의로 산 서울 도곡동 땅 6553㎡를 95년 263억원에 팔았는데 이 중 145억은 김씨 몫이었다고 경향신문은 보도했다. 그러나 김씨는 2년 후인 97년 9월 빚 4억여만원을 갚지 못해 논현동 자택을 가압류당한 바 있고, 97년 11월에도 빅 2억 6000만원을 갚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95년에 받은 145억이 있으면서도 빚을 갚지 못했다는 것은 뭔가 속사정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 후보측의 유승민 의원은 “김씨가 불과 몇억의 빚을 갚지 못했다니 김씨가 진짜 소유주가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재정씨 변호인인 김용철 변호사는 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본인의 고유재산을 야당 유력경선후보의 차명재산인양 근거없는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개탄스럽다”며 법적 대응을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시장 시절 도덕성 논란도 =
또 하나 터져나온 문제는 이명박 후보가 시장 때 개인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직무수행을 했던 것 아니냐는 논란이다. 3일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이 후보가 서울시장 재임시 본인 이름으로 돼 있는 건물 두 채가 있는 서울 서초구 법조단지의 고도제한을 완화하는 내용의 ‘도시 정비계획’을 구청에 내려보내 결국 제한이 풀렸다.
또 서울 은평뉴타운 사업지구에는 이 전 시장의 큰형 이상은씨, 큰 누나, 여동생, 조카 등 일가의 땅이 있었던 것으로 보도됐다. 특히 이 땅은 이 후보와 이상득 부의장도 각각 지분을 가족 있었지만 93년 국회의원 재산신고 직전 제3자에게 넘어갔다가 다시 조카에게 돌아온 뒤에 2005년 10월 SH공사에 수용됐던 것으로 보도돼 재산신고 때 재산을 줄이기 위해 수를 쓴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김재정씨 땅 224만㎡ 논란 =
2일 경향신문이 보도한 이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가 전국 각지에 소유하고 있는 47필지 224만㎡(67만여평)의 부동산의 실소유주 논란의 파장이 세지고 있다. 이날 보도에 따르면 김씨는 서울 강남은 물론, 경기 화성·가평, 충남 당진군, 충북 옥천, 대전시 유성, 강원 고성·평창, 경북 군위·영주 등에 넓은 땅을 소유하고 있다.
이 중 당진땅은 80년대 아산신항 건설 발표에 이어 90년 한보철강이 들어서면서 땅값이 올랐고, 고성땅은 김씨가 매입한 지 한달 뒤에 국세청이 지가 급등지역으로 지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또 이 후보의 형 상은씨와 공동명의로 산 서울 도곡동 땅 6553㎡를 95년 263억원에 팔았는데 이 중 145억은 김씨 몫이었다고 경향신문은 보도했다. 그러나 김씨는 2년 후인 97년 9월 빚 4억여만원을 갚지 못해 논현동 자택을 가압류당한 바 있고, 97년 11월에도 빅 2억 6000만원을 갚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95년에 받은 145억이 있으면서도 빚을 갚지 못했다는 것은 뭔가 속사정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 후보측의 유승민 의원은 “김씨가 불과 몇억의 빚을 갚지 못했다니 김씨가 진짜 소유주가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재정씨 변호인인 김용철 변호사는 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본인의 고유재산을 야당 유력경선후보의 차명재산인양 근거없는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개탄스럽다”며 법적 대응을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시장 시절 도덕성 논란도 =
또 하나 터져나온 문제는 이명박 후보가 시장 때 개인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직무수행을 했던 것 아니냐는 논란이다. 3일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이 후보가 서울시장 재임시 본인 이름으로 돼 있는 건물 두 채가 있는 서울 서초구 법조단지의 고도제한을 완화하는 내용의 ‘도시 정비계획’을 구청에 내려보내 결국 제한이 풀렸다.
또 서울 은평뉴타운 사업지구에는 이 전 시장의 큰형 이상은씨, 큰 누나, 여동생, 조카 등 일가의 땅이 있었던 것으로 보도됐다. 특히 이 땅은 이 후보와 이상득 부의장도 각각 지분을 가족 있었지만 93년 국회의원 재산신고 직전 제3자에게 넘어갔다가 다시 조카에게 돌아온 뒤에 2005년 10월 SH공사에 수용됐던 것으로 보도돼 재산신고 때 재산을 줄이기 위해 수를 쓴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