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정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억류돼 있는 한국인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한국정부의 노력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특히 한국인 인질 구출작전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국이 원치 않는 탈레반에 대한 군사 작전을 벌이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미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무장세력에 의한 한국인 23명 피랍사태에 신중한 태도를 취해온 미국정부가 닷새만에 처음으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미 국무부는 23일 숀 매코맥 대변인과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를 통해 아프간 탈레반 무장 세력에 납치된 한국인 23명의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한국정부의 구출노력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공표했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발표를 통해 “아프간에서 납치된 한국인들은 그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 않는 무고한 시민들”이라며 “그들은 즉각 석방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이어 “미국은 이 문제에 긴밀히 대처하고 있는 한국 정부를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이날 6자회담 결과에 대한 브리핑을 마친후 아프간에서 납치된 한국인 23명은 즉각 석방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힐 차관보는 “이들 한국인들은 누구에게도 위해를 가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며 “이들을 즉각 석방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을 납치자들에게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한국인 납치 사태는 미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에게도 커다란 우려사항”이라며 “우리는 한국 정부와 사태해결을 위해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힐 차관보와 매코맥 대변인이 한국정부의 구출 노력을 지지한다고 공표한 것은 한국인들을 잡고 있는 탈레반 세력들에 대한 섣부른 군사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며 한국정부의 대화를 통한 석방노력을 지지할 것임을 공개 약속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미국은 특히 아프간 주둔 미군병력과 아프간 정부군 및 경찰 병력을 동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으나 군사작전은 끝까지 자제하고 한국정부의 구출노력을 주시한다는 입장인 것 으로 미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등 미 언론들은 “미군과 아프간군이 한국인 피랍 지역에 병력을 집결해 구출작전을 준비하고 있다”며 “그러나 군사작전에 즉각 돌입할 태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뉴욕 타임스와 AP 통신은 한국인 인질들은 아직도 군사적인 방법이 아닌 협상을 통해 석방될수 있다는 낙관론이 우세하다고 강조하고 미국정부는 한국정부의 인질석방노력을 예의주시하면서 한국인 인질들이 무사귀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무장세력에 의한 한국인 23명 피랍사태에 신중한 태도를 취해온 미국정부가 닷새만에 처음으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미 국무부는 23일 숀 매코맥 대변인과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를 통해 아프간 탈레반 무장 세력에 납치된 한국인 23명의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한국정부의 구출노력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공표했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발표를 통해 “아프간에서 납치된 한국인들은 그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 않는 무고한 시민들”이라며 “그들은 즉각 석방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이어 “미국은 이 문제에 긴밀히 대처하고 있는 한국 정부를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이날 6자회담 결과에 대한 브리핑을 마친후 아프간에서 납치된 한국인 23명은 즉각 석방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힐 차관보는 “이들 한국인들은 누구에게도 위해를 가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며 “이들을 즉각 석방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을 납치자들에게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한국인 납치 사태는 미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에게도 커다란 우려사항”이라며 “우리는 한국 정부와 사태해결을 위해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힐 차관보와 매코맥 대변인이 한국정부의 구출 노력을 지지한다고 공표한 것은 한국인들을 잡고 있는 탈레반 세력들에 대한 섣부른 군사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며 한국정부의 대화를 통한 석방노력을 지지할 것임을 공개 약속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미국은 특히 아프간 주둔 미군병력과 아프간 정부군 및 경찰 병력을 동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으나 군사작전은 끝까지 자제하고 한국정부의 구출노력을 주시한다는 입장인 것 으로 미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등 미 언론들은 “미군과 아프간군이 한국인 피랍 지역에 병력을 집결해 구출작전을 준비하고 있다”며 “그러나 군사작전에 즉각 돌입할 태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뉴욕 타임스와 AP 통신은 한국인 인질들은 아직도 군사적인 방법이 아닌 협상을 통해 석방될수 있다는 낙관론이 우세하다고 강조하고 미국정부는 한국정부의 인질석방노력을 예의주시하면서 한국인 인질들이 무사귀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