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동계 시즌이 시작되는 내달 28일부터 강점이 있는 노선을 늘리고 취약 노선을 과감히 줄여 수익성 극대화를 시도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하계 시즌이 끝나감에 따라 최근전략회의를 열고 내달 28일부터 2008년 3월 29일까지인 동계 시즌에 ''항공노선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노선별 운항편수를 최적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특히 올해 동계 시즌에는 수익성이 낮은 일부 중국 노선의 운항편수를 줄이는 대신 동남아와 일본 노선을 증편하는 등 양 항공사가 철저하게 수익성 위주로 노선을 조정키로 했다.대한항공은 글로벌 명품 항공사를 지향한다는 원칙에 입각해 미주와 구주 등 장거리 노선을 지난해 동계 시즌보다 늘리는 대신 중국 선양 등 겨울철에 인기가 없는중국 일부 지역은 감편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올해 동계 시즌에 미주의 인천-호놀룰루, 인천-워싱턴을 각각 주 7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회와 2회 늘리며 인천-밴쿠버, 인천-토론토도 주 4회와주 6회로 각각 1회와 2회 증편키로 했다.유럽 지역은 인천-취리히(주3회.이하 조정후 운항편수), 인천-프라하(주4회), 인천-이스탄불(주4회), 인천-블라디보스토크(주5회)가 각각 1회씩 증편된다.
동남아 대표 노선인 인천-방콕은 오는 11월부터 12월까지는 주 18회, 내년 1월부터 2월까지는 21회, 3월에는 14회 등으로 4-7회 늘어나며 김포-홍차오 노선은 한.중.일 삼각 셔틀 합의 덕분에 내달 28일부터 주 7회 신규 취항한다.
반면 대양주의 인천-괌은 올 동계 시즌에 주 11회로 지난해에 비해 3회가 줄어들며 동남아의 인천-페낭은 운항을 중단하고 중국의 인천-선양(주7회), 인천-텐진(주7회)도 4회씩 감소된다. 인천-창사도 주 4회로 1회 감편된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은 올 동계 시즌에 하계 휴양지가 있는 중국 노선에 신규 취항하고 전통적으로 강점을 갖고 있는 일본 노선도 집중적으로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은 11월 26일부터 하이난성의 싼야, 하이커우를 각각 주 7회와 주 4회 신규 취항하며 최대 거점 휴양지로 키우고 있는 사이판의 경우도 부산-사이판을주 4회 일정으로 신규로 여객기를 띄운다.
일본의 경우 동계 시즌에 부산-후쿠오카(주4회), 인천-오키나와(5회)가 각각 2회, 인천-미야자키(주4회), 인천-후쿠시마(주5회)가 각각 1회와 2회가 늘어난다.
또한 인천-프놈펜(주7회)은 3회, 인천-마닐라(주7회)와 인천-난닝(주2회)은 2회가 증편되며 인천-타이베이(주2회)와 인천-구이린(3회)은 각각 2회와 1회가 추가 투입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해외 여행객이 늘어나는 만큼 수요를 정확히 반영해 동계 시즌 노선을 짜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면서 "올해 동계 시즌 운항 스케줄은 대대적은 증편은 없지만 선택과 집중으로 수익성이 높은 노선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1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하계 시즌이 끝나감에 따라 최근전략회의를 열고 내달 28일부터 2008년 3월 29일까지인 동계 시즌에 ''항공노선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노선별 운항편수를 최적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특히 올해 동계 시즌에는 수익성이 낮은 일부 중국 노선의 운항편수를 줄이는 대신 동남아와 일본 노선을 증편하는 등 양 항공사가 철저하게 수익성 위주로 노선을 조정키로 했다.대한항공은 글로벌 명품 항공사를 지향한다는 원칙에 입각해 미주와 구주 등 장거리 노선을 지난해 동계 시즌보다 늘리는 대신 중국 선양 등 겨울철에 인기가 없는중국 일부 지역은 감편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올해 동계 시즌에 미주의 인천-호놀룰루, 인천-워싱턴을 각각 주 7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회와 2회 늘리며 인천-밴쿠버, 인천-토론토도 주 4회와주 6회로 각각 1회와 2회 증편키로 했다.유럽 지역은 인천-취리히(주3회.이하 조정후 운항편수), 인천-프라하(주4회), 인천-이스탄불(주4회), 인천-블라디보스토크(주5회)가 각각 1회씩 증편된다.
동남아 대표 노선인 인천-방콕은 오는 11월부터 12월까지는 주 18회, 내년 1월부터 2월까지는 21회, 3월에는 14회 등으로 4-7회 늘어나며 김포-홍차오 노선은 한.중.일 삼각 셔틀 합의 덕분에 내달 28일부터 주 7회 신규 취항한다.
반면 대양주의 인천-괌은 올 동계 시즌에 주 11회로 지난해에 비해 3회가 줄어들며 동남아의 인천-페낭은 운항을 중단하고 중국의 인천-선양(주7회), 인천-텐진(주7회)도 4회씩 감소된다. 인천-창사도 주 4회로 1회 감편된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은 올 동계 시즌에 하계 휴양지가 있는 중국 노선에 신규 취항하고 전통적으로 강점을 갖고 있는 일본 노선도 집중적으로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은 11월 26일부터 하이난성의 싼야, 하이커우를 각각 주 7회와 주 4회 신규 취항하며 최대 거점 휴양지로 키우고 있는 사이판의 경우도 부산-사이판을주 4회 일정으로 신규로 여객기를 띄운다.
일본의 경우 동계 시즌에 부산-후쿠오카(주4회), 인천-오키나와(5회)가 각각 2회, 인천-미야자키(주4회), 인천-후쿠시마(주5회)가 각각 1회와 2회가 늘어난다.
또한 인천-프놈펜(주7회)은 3회, 인천-마닐라(주7회)와 인천-난닝(주2회)은 2회가 증편되며 인천-타이베이(주2회)와 인천-구이린(3회)은 각각 2회와 1회가 추가 투입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해외 여행객이 늘어나는 만큼 수요를 정확히 반영해 동계 시즌 노선을 짜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면서 "올해 동계 시즌 운항 스케줄은 대대적은 증편은 없지만 선택과 집중으로 수익성이 높은 노선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