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소가 자체검증시스템을 갖추는 등 과학계의 연구윤리 강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연구윤리에 대한 자체검증시스템 구축기관 수가 지난해 10월말 15개에서 올 9월 현재 111개로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기관별로는 대학 72, 출연연 30, 연구관리전문기관 9개다
자체검증시스템은 연구부정행위가 드러났을 때 자율적으로 연구윤리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로 해당 업무 담당 부서와 검증절차 등을 담은 규정, 조사 결과 및 연구윤리제도를 심의하는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과기부는 앞으로 △연구윤리 가이드북 배포 △연구윤리 저해요소 발굴?개선방안 마련 △연구윤리 심포지엄 개최 등을 통해 연구윤리 확립과 연구부정행위 사전예방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과기부는 우선 10월 중순쯤 연구데이터의 적절한 관리와 올바른 인용, 연구결과공로배분 등에 관한 기본원칙과 방향을 담은 연구윤리 가이드북을 만들어 전국 500여 연구기관에 배포하고 11월에는 연구윤리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연구윤리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또,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과제작성, 수행평가 등에서 정직하고 공정한 학습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애니메이션 형태의 교재를 개발해 올해 1학기 시범적으로 활용했고 2학기부터는 일선 중·고등학교에서도 교재로 활용하도록 배포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또 최근 연구부정 행위의 원인으로 과학의 상업화와 성과주의, 연구자간 경쟁 심화 등 제도·환경적 요인이 지적됨에 따라 연구에 대한 질적 평가 강화와 정직한 실패 인정, 개인단위 연구과제 확충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제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부는 연구윤리에 대한 자체검증시스템 구축기관 수가 지난해 10월말 15개에서 올 9월 현재 111개로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기관별로는 대학 72, 출연연 30, 연구관리전문기관 9개다
자체검증시스템은 연구부정행위가 드러났을 때 자율적으로 연구윤리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체계로 해당 업무 담당 부서와 검증절차 등을 담은 규정, 조사 결과 및 연구윤리제도를 심의하는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과기부는 앞으로 △연구윤리 가이드북 배포 △연구윤리 저해요소 발굴?개선방안 마련 △연구윤리 심포지엄 개최 등을 통해 연구윤리 확립과 연구부정행위 사전예방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과기부는 우선 10월 중순쯤 연구데이터의 적절한 관리와 올바른 인용, 연구결과공로배분 등에 관한 기본원칙과 방향을 담은 연구윤리 가이드북을 만들어 전국 500여 연구기관에 배포하고 11월에는 연구윤리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연구윤리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또,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과제작성, 수행평가 등에서 정직하고 공정한 학습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애니메이션 형태의 교재를 개발해 올해 1학기 시범적으로 활용했고 2학기부터는 일선 중·고등학교에서도 교재로 활용하도록 배포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또 최근 연구부정 행위의 원인으로 과학의 상업화와 성과주의, 연구자간 경쟁 심화 등 제도·환경적 요인이 지적됨에 따라 연구에 대한 질적 평가 강화와 정직한 실패 인정, 개인단위 연구과제 확충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제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